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지희,김화중,이준철,Lee, Ji-Hee,Kim, Wha-Jung,Lee, Jun-Cheol 大韓建築學會 201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0 No.10
One of the challenges in planning fire-safety structures is predicting fire temperature. This takes top priority to fire safety engineers since it helps figure out moments that put human lives at risk, identify flashover and when a structure will collapse. Fire engineers around the world have conducted numerous tests to predict fire temperature. Formula for predicting fire before and after flashover is one of the test outputs. Pre-flashover helps identify time allowed for evacuation, which protects human lives, and post-flashover helps identify time in which structures are at risk of collapse i.e. structural stability. This research studied fire temperature predicting formula by limiting compartment fire at its peak from the 1950s and post-flashover. It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compartment fires.
이지희,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 행위주체성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사 행위주체성이 직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에 전국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 초등교사 의 행위주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연구결과]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행위주 체성은 직무만족도에 직결되는 중요한 변인이기 때문에, 교사가 다양한 교육공동체 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행위주체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토대를 마련해 야 한다. 둘째, 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과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 교사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교사 행위주체성이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해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증진해야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and to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impact of teacher agenc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eacher agency is an important variable direc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 foundation must be established to support teachers so that they can exercise agency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various educational communities. Second, measures must be taken to increase teacher job satisfaction, which can lead to students' positive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 agency is a variable that increases teacher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vidence that teachers' agency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teacher job satisfaction.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
이지희,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을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2명의 상담 경력 5년 이상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은 132개의 핵심개념, 5개의 영역,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5개의 영역은 ‘집단 수퍼비전 운영’, ‘사례 이해와 상담 진행에 대한 교육’, ‘집단의 상호작용 촉진과 활용’,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 활용’, ‘수퍼바이저의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집단 수퍼바이저의 개입은 ‘수퍼바이저가 의도를 가지고, 집단원들이 서로 질문하고 답하도록 이끔’과 ‘다양한 방법으로 수퍼바이지들을 교육함’, ‘개별 수퍼바이지를 한 인간으로 존중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가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단 수퍼비전 운영과 관련되어 ‘구조화’와 ‘편안한 분위기 조성’이 확인이 되었고, 집단 수퍼바이저의 특성으로서 ‘상담자로서 먼저 경험한 어른, 선배로 도움을 주는 존재’로 ‘진심’으로 돕고자 하며, ‘여유와 유머가 있으며, 표현력이 좋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와 비교하고, 향후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의 개입에 대한 연구 과제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근피로 유발 후 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이 운동수행력, 통증 자각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이지희,이정우,문양규,김기정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6
Background: The number of daily sports enthusiasts is increasing rapidly, but the general public lacks expertise in removing fatigue substances that occur when participating in exercise,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return to daily life after exercise, increasing the rate of stopping exercise. Objectives: To find out the effects of using stretching board treatment after causing muscle fatigue on motor performance, pain perception, oxidative stress, and fatigue substances. Methods: 24 healthy adults were randomly assigned a group and treated with using board stretching, general stretching and non-treatment after muscle fatigue. A bicycle ergometer was performed to induce muscle fatigu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when each treatment method was applied after muscle fatigue. Board stretching treatment did not affect motor performance, pain perception, oxidative stress, and fatigue substances. Conclusions: When stretching treatment using boards conducted on a one-time basus for healthy ad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이지희,박혜원,안동현,이현주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및 신경발달장애아를 포함한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 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은 2세 6개월-7세 7개 월 유아의 발달적 특성 및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인지, 신체, 감각, 실행기능 발달을 위한 통 합내용으로 개발하여 총 16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문제로 S시 소재 대학병원의 소아과와 소아정신과에 내원하고 있거나 내원했었던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 24명으로 인지조 기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집단 13명을 실험집단, 참여가 어려운 11명을 통제집 단으로 배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2회 실시하였다. 인 지발달은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Ⅳ)의 2가지 소검사로, 실행기능 발달은 실행기능 행동평가-유아용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 부모 평정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인지조기중재 프로 그램은 지능의 수행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 실행기능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 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다양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 요가 있으며 더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장기적인 효과 또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지희,박성륜,이채연,이지혜,엄정호,이상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4
This study searched for the goal-selection-action strategies which could differentiate the four groups that Masten identified; resilient, unchallenged-competent, maladaptive, and vulnerable group. 335 undergraduates were assigned to the four groups.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goal-selection- action strategies of these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First, resilient students use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s action strategies, and rarely use selection based on loss. In contrast, maladaptive and vulnerable students use opposite action strategies. They use selection based on loss as an action-selection strategy and rarely use optimization or compensation. In the case of unchallenged-competent students, compensation operates as a discriminant func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factors.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goal-selection-action strategies separate the resilient group from the unchallenged-competent group.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pproached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al-selection-action strategy. 본 연구는 탄력성 집단과 역경부재-유능성 집단, 부적응 집단, 취약성 집단을 구별하는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경험 정도, 대학생활 적응도, 선택-최적화-보상 전략(SOC)을 조사하였다. 스트레스 수준과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Masten의 탄력성 모델 4개 집단(탄력성, 역경부재-유능성, 부적응, 취약성)으로 연구대상을 분류하고, 이들 4개 집단의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탄력성 집단과 다른 세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첫째, 탄력성 집단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적화와 보상을 행동전략으로 사용하고, 상실에 기반한 선택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 집단과 취약성 집단은 탄력성 집단이 가진 특징의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상실에 기반한 선택을 전략으로 사용하고, 최적화와 보상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셋째, 역경부재-유능성 집단은 보상이 다른 변인들과 부적으로 상관을 보이는 판별함수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자원을 찾는 행동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발달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의 관점에서 탄력성을 연구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특히, 탄력성 집단이 역경부재-유능성 집단과 구분되는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을 지적했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