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의 개선 가능성과 상담을 위한 일본 공적기관의 이용 고찰

        추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4

        At present, the term developmental disability is widely known. In the case of Japan, a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act has been enforced since April, 2005. In our country, a developmental disability law has taken effect since December, 2015. Due to these institutional measures, that is used as a term that has a comprehensive meaning, but it's not yet easy to discove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diagnose them, and to predict whether it's possible for them to improve or not.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to provide counseling and assistance early until a person i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apanese literatures to determine barriers to the diagnosis proces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hat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offered assistance.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iculties in discovering and defin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primarily in terms of the matter of concept, the matter of diagnosis and changes in parents and society, and the functions and roles of public institutions available were explored. Regard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s concluded that it's important to take a synthetic look at the develop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ause it's found that the concept was neither simple nor clear, that in terms of diagnosis, diagnosis criteria were ambiguous, that it'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diagnosis on account of multiple complications, and that there were limits to early diagnosis. Concerning public institutions available for early counseling and diagnosis, public health centers, child counseling centers,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centers, mental health centers and comprehensive counseling centers attached to college laboratories were put to use. This was statutory, and the law made it possible to receive help in each life cycle. 현재는 발달장애라는 용어가 많이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일본의 경우 2005년 4월부터 발달장애자지원법으로 시행, 우리나라는 2015년 12월부터 발달장애인법이 시행되어 제도적 마련을 통해 용어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발달장애인을 발견하고 진단하는 것과 그들의 개선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발달장애 진단을 받기까지 초기에 상담하고 지원해 주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진단과정에 따른 어려운 요인을 찾고, 어떤 공적인 상담기관을 통해서 지원을 받고 있는지 일본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로는 발달장애의 발견과 정의의 어려움은 개념의 문제, 진단의 문제, 부모와 사회의 변화를 중심으로 알아보았고, 이용 가능한 공적 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탐색했다. 연구 결론으로는 단순명료하지 못한 개념과 진단 문제로는 부정확하고, 애매한 진단 기준, 중복 합병으로 명확하지 못함, 조기진단의 한계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발달장애인의 발달을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초기 상담 및 진단을 위한 공적기관으로 보건소·보건센터, 아동상담소, 발달장애자지원센터, 정신보건센터, 대학 연구실 병설의 종합상담센터 등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법으로 잘 규정되어 있고 생애주기별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아동의 연구 동향 고찰: 한국·일본·미국을 중심으로

        추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mon denominators in the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the laws and dictionaries of three different countries, as there have been differences among countries i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respectively represented the academic communitie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ur countr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KADD, JASSDD and IASSID. And then the history, state and research trends of the association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ways took place in early childhood or childhood, and the kind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retardation that were(was) closely linked to the biological matur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mostly appear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occurred in early childhood or childhood usually remained unchanged in adulthood as well, and one of their major characteristics were that they showed little changes such as being alleviated nor reappeared. Second, as for the history, major phenomena and research tren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hree countries, the concept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mbraced. In terms of the scope of research, the findings and content of studies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lot in common with those of studies on medicine, welfare, education, psychology and labor.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e, intellectual disabilities continued to be the most typical area on which lots of studies had focused on. 발달장애에 관한 각 나라의 개념과 정의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기에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사전적, 법적 근거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되는 점을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연구를 우리나라는 한국발달장애학회(KADD), 일본은 일본발달장애학회(JASSDD), 미국은 국제지적장애연구연맹(IASSID)으로 선정하여 발달장애 학계를 대표하는 각 학회의 역사와 현상,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항상 유아기나 아동기에 발증하고, 중추신경계의 생물학적 성숙에 강력하게 관련하는, 기능의 발달 장애 또는 지체가 나타난다. 그리고 성인의 정신장애로 나타나기 쉬워 병이 가벼워지거나 재발이 없는 안정된 경과를 취한다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각 나라의 대표적인 발달장애아동의 역사와 현상 그리고 연구동향은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의 개념을 수용하고, 연구 영역에서 의료, 복지, 교육, 심리, 노동 영역의 연구 발표와 연구내용이 공통적이라 할 수 있고, 발달장애 영역별로는 꾸준히 지적장애가 그 대표성을 갖고 연구와 발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서울 수난과 최종준비

        추연구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2001 統一世界 Vol.- No.6

        하나님의 뜻 성사는 함께 일할 대상, 즉 상대기대가 마련돼야 하기에, 원리의 어떤 부분도 발표할 수 없는 준비과정에서 묵묵히 민족해방의 날을 기다리며 하늘이 준비한 섭리기대를 찾아 여러 지하교회를 답사했다. 해방 3년 전부터 국내 실정을 면밀히 파악하고, 전국의 유명한 부흥사들과 신령교단을 편답하며 그들의 영적 위치와 사명의 급위를 점검해 나갔다. 이미 10대부터 나라의 시운과 세계대전의 결말 상황을 예견했던 참아버님은 특히 이 무렵 서울 근교 북악산, 삼각산 등지 산정을 돌며 민족의 앞날을 염려하며 많은 기도를 했다. ‘너, 대한민국아! 슬퍼하지 마라. 세상은 망하더라도 내가 있는 한 너는 망하지 않을 것이다.’하며 뜻 사랑의 탑을 높이 쌓아 갔다. 나라와 세계 위한 간곡한 기도의 사연들을 가슴 가득 품은 채 박두한 광복의 전야를 맞은 것이다.

      • 계획하기 능력의 발달적 고찰

        추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4 敎育硏究 Vol.22 No.-

        본 연구는 아동들의 계획하기 능력을 찾아내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계획하기 능력의 형성을 이끄는 기초적 능력과 행동을 제어하는 심리적 도구인 언어의 역할 그리고 각 발달단계를 중심으로 계획하기에 관한 특징을 알아보았다. 문헌을 중심으로 밝힐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일반아동의 계획하기 능력의 발달이 어떤 준비과정을 거쳐 형성되는지를 Piaget의 실험과 깍꿍 놀이를 통해서 밝혔다. 둘째, 계획기능 능력의 준비과정에서 행동을 제어하는 언어기능을 Vygotsky와 Luria의 실험을 통해서 4세경에 이르러 형성됨을 밝혔다. 셋째, 계획하기 능력의 발달적 과정을 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연령 단계별로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lanning ability of children.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find out the basic ability of children, which could be linked to planning skills, their language, one of the psychological features to control behavior, and their planning characteristics in each developmental stage. To attain the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Piaget's experiment and Kaggung play were utilized to determine how the plan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no disabilities developed. Next, according to Vygotsky and Luria's study, it's found that children's verbal skills, which affected the preparatory stage for planning ability and controlled behavior, started to grow at the age of 4. Finally, how their planning ability made a progress with age was identified on the basis of development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