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발달과 인지발달 중재 프로그램

        윤혜경 인지발달중재학회 20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 No.1

        인간발달은 유전과 환경 ? 경험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의 인지적 측면이나 지적 능력의 변화도 마찬가지로 연령과 더불어 발달하면서 또한 교육의 영향을 받는다. 본 고에서는 인지와 인지발달, 특히 여러 인지발달 이론들이 가정하는 인지발달의 원동력이나 기제를 살펴본다. 또한 인지와 사고와의 관계, 사고의 특성 등을 검토하고 인지의 변화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실제적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상이한 시각의 인지발달중재 프로그램(사고력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사고력 프로그램의 형태나 특성, 사고력 프로그램의 필요성, 그리고 사고력 프로그램 선택의 문제를 논하였다.

      • KCI등재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이지희,박혜원,안동현,이현주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및 신경발달장애아를 포함한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 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은 2세 6개월-7세 7개 월 유아의 발달적 특성 및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인지, 신체, 감각, 실행기능 발달을 위한 통 합내용으로 개발하여 총 16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문제로 S시 소재 대학병원의 소아과와 소아정신과에 내원하고 있거나 내원했었던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 24명으로 인지조 기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집단 13명을 실험집단, 참여가 어려운 11명을 통제집 단으로 배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2회 실시하였다. 인 지발달은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Ⅳ)의 2가지 소검사로, 실행기능 발달은 실행기능 행동평가-유아용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 부모 평정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인지조기중재 프로 그램은 지능의 수행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 실행기능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 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다양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 요가 있으며 더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장기적인 효과 또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게임 중재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인지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최인경(Ingyeong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게임 중재를 통해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인지능력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회당 45분∼50분, 총 124회기의 게임 중재가 진행되었다. 인지능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2회에 걸쳐 K-WISC-IV를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를 토대로 초기 단계, 중기단계, 후기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게임 중재 방법과 목표는 단계별로 정서 및 행동조절, 정서와 인지행동수정, 인지적 활동능력 강화 순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이후 사후 검사를 통해 인지능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지능지수가 77에서 88로 변화되었다. 각 주요 지표에서 언어이해는 사전, 사후 모두 84로 나타났다. 지각추론은 80에서 102로 변화되었고, 작업기억은 117에서 120으로 변화되었다. 처리속도는 55에서 59로 변화되었다. 결론: 게임 중재 이후 대상 아동은 전체지능지수와 각 주요 지표 및 하위 소검사 점수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여 본 연구에서 실시한 게임 중재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인지능력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상담을 지능검사를 통해 영역을 세분화시켜 게임으로 접근했다는 점과 단계별로 시간 배분을 다르게 진행했다는 점, 정서 상담을 병행해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through game therapy. Methods: In this study, game therapy was conducted for 45 minutes to 50 minutes per session for one child with BIF, dividing it into early, middle, and late period based on the preK-WISC-IV test. The change in cognitive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postK-WISC-IV test. Results: The Full Scale Intelligence Quotient (FSIQ) changed from 77 to 88. In each major index, Verbal Comprehension Index (VCI) was 84 in both pretest and posttest. Perceptual Reasoning Index (PRI) changed from 80 to 102, Working Memory Index (WMI) from 117 to 120, and Processing Speed Index (PSI) from 55 to 59. Conclusions: The postK-WISC-IV test revealed that the FSIQ, each major index, and subtest scores general increased. Therefore, the game therapy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case study in chang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one child with BIF.

      • KCI등재

        A Pilot Investigation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ost-Strok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and Satisfaction: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전산화 인지재활의 예비연구: 인지기능 및 만족도

        문종훈(Jonghoon Moon),전민재(Minjae Je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3

        본 예비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의 효과를 규명하고 재활 만족도와 나이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18명이 연구에 참여했고, 두 군은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6명으로 할당되었다. 두 군은 하루 30분, 주 5회, 4주간의 중재를 받았다. 실험군은 전산화 인지재활을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전통적 인지재활을 수행하였다. 두 군은 재활치료 일정에 따라 4주간의 전통적인 인지재활을 수행하였다. 측정은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Lowenstein 작업치료 인지평가를 실시하였다. 인지재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상사 만족척도를 이용하였다. 만족도 측정 영역은 전반적인 만족도, 치료 효과, 흥미, 재이용 의사를 측정하였다.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인지기능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의 더 많은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중재 후, 두 군 간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에서 노인은 중년에 비해 전산화 인지재활의 전반적 만족도와 흥미가 유의하게 낮았다. 전산화 인지재활은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노인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patients after they had each experienced an acute stroke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habilitation satisfaction and age. Eighteen patients who had each experienced an acute strok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 = 12) and control group (n = 6).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with each group for 30 minutes per day,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In addition, both groups engaged in traditional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four weeks according to an established schedule.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test (LOTCA) was perform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The Visual Analog Satisfaction Scale (VASS) was used to measure satisfaction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specifically, overall satisfaction, therapeutic effects, interest, and intention to reuse. After the interventions, total cognitive function scores for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scores before the intervention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re sub-items of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all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elderly participants when compared to middle-aged participants.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However,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mee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lderly str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인지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 FIE-B 프로그램 사례연구

        이근애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1

        본 논문은 인지발달이 지연된 만 6세 아동을 대상으로 Feuerstein의 인지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한 사례이다. Feuerstein의 FIE-B 프로그램 도구 중 점조직(OD)와 정서이해(EM)을 중심으로 10개월 동안 주 1회 50분씩 총 44회기에 거쳐 진행되었다. 접수 당시 아동은 인지발달과 언어 발달이 지연되어 있었고, 사회 및 정서발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초등학교 입학을 연기한 상태였다. 중재가 마무리 될 무렵 아동의 인지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용어휘력 수준도 증가하였으며 집중력 및 인지적 책략 사용의 빈도, 정서 표현 및 이해능력이 증가하였다. FIE-B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재학습경험은 아동의 인지능력 향상 뿐 아니라 정서 및 행동적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Feuerstein의 인지발달 중재프로그램 개관

        전효정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2

        본고에서는 역동적 지능관에 바탕을 둔 대표적인 인지발달 중재프로그램의 하나인 Feuerstein의 중재프로그램(Feuerstein Instrumental Enrichment: FIE)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심리학자인 Reuven Feuerstein(1979)은 모든 인간은 자신을 변형시킬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부족한 인지적 기능은 적절한 중재를 통해 언제든 보상이 가능하다는 구조적 인지수정이론(Structural Cognitive Modifiability)을 주장하였다.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Vygotsky의 인지이론 및 정보처리이론과 대비되는 FIE 프로그램은 만 3세에서 성인까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도구를 매체로 하는 인지발달 중재프로그램이다. Feuerstein의 구조적 인지수정이론을 살펴보고, 응용프로그램(LPAD, IE 도구: Standard, Basic)을 소개하고 장애인, 일반인 그리고 작업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하는 현황을 개관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인지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원영식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3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 중인 18명의 뇌졸중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8명의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모두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를 4주간 주 5회, 1일 30분씩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 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30분씩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과 후에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A와 B), 숫자 외우기(바로와 거꾸로), MVPT-3의 시각기억을 사용하여 집중력, 작업기억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후에 치료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적 수치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중재 전과 후로 선 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숫자 외우기,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대조군은 중재 전과 후로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A,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선추적 검사와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치료 선호도 비교에서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한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중재를 받은 65세 미만의 대상자들은 65세 이상의 대상자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치료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 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만 수행하는 것보다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했 을 때,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시각기억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추후 에는 나이에 따른 스마트 기기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비교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인지적 실행통제 기능 훈련이 인지와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

        윤혜경,박혜원,이한준,권오식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이 노인의 우울감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지적 실행통제기능(executive control function)은 주의력, 지각력, 기억력 등의 하위 인지기능을 관리 통제하여 특정한 과제의 목적에 부합하는 자극이나 행동반응은 강화시키고 이에 방해가 되는 자극이나 습관적 반응경향성은 억제시킴으로써 현재 당면하고 있는 과제요구에 맞게 행동하고 반응하게 하는 능력이다. 최근 노인의 인지기능감퇴의 핵심 기제가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저하라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 련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복지관에서 운동바우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58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성 지능검사와 우울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 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6주간 주 2회(1회 15-20분) 총 12회에 걸쳐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우울정서 와 지능검사 점수를 비교하였다. 지능검사 수행점수를 보면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을 받 은 실험집단에서는 지능의 의미 있는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우울감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간의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이라도 노인 의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우울감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과 노인의 운동 프로그램만으로 인지능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인지기능검사에 기반한 중증 알츠하이머 치매와중증 혈관성 치매의 변별

        김용숙 인지발달중재학회 2025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6 No.1

        연구목적: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임상양상은 치료 방향과 임상증상의 이해, 질환의 진행 예측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증 알츠하이머 치매와 중증 혈관성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치매 유형별 인지기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두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인지기능의 하위 영역과 두 치매를 변별할 수 있는 영역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중재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55명과 혈관성 치매 환자 15명이었다. 두 집단의 인지기능 비교는 ANOVA 통계를 이용하였고, 치매 분류 정확도는 판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증의 두 치매 집단의 인지기능 비교에서 단어지연재인 영역에서만 혈관성 치매 환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더 높았고, 나머지 인지기능은 차이가 없었다. 단어지연재인으로 두 집단을 분류한 정확도는 65.7%였다. 결론: 두 치매 집단에서 유일하게 변별력이 있는 인지기능 영역은 단어지연재인이었다. 치매 환자의 중재 방법으로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 단어지연재인을 이용한 의사소통 기법을 고려해볼 만하다. Objectives: The clinical features of Alzheimer’s dementia and vascular dementia are very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treatment direction, understanding clinical symptoms, and predicting disease progress. This study compared cognitive functions according to dementia typ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nd vascular dementia. We examined the sub-areas of cognitive function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the two diseases, the extent to which the two dementias can be differentiated by area, and how this can be used for interv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55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nd 15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wo groups was compar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accuracy of dementia classification was determined using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When cognitive func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word-delayed recognition domai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maining cognitive functions.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e two groups based on word-delayed recognition domain was 65.7%. Conclusions: Word-delayed recognition was the only cognitive domain that showed discriminatory power between the two dementia groups. A communication technique using word-delayed recognition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 인지구조중재이론의 FUG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송미경,박혜원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2

        국내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 못한 Feuerstein 인지구조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 석하기 위해 3세 ~ 7세 15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FIE-B 프로그램중의 FUG 프로그램 을 6주간 실시한 후 통제집단아동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주 의집중능력을 측정하는 지능검사(K-WISC-Ⅲ)의 숫자 검사 수행, 충동억제능력을 측정 하는 STROOP 검사 수행, 처리속도와 주의전환을 측정하는 Lahi 검사 그리고 비언어성 지능검사의 수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경우 FIE-B 프로그램 시 행을 통해 중재학습경험을 가짐으로써 문제접근 방법이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탐색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재자의 중재와 더불어 또래간의 중재활동을 통해 다양한 문제 해결방법과 학습 기술전략을 획득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인 훈련효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인지구조중재 프로그램 전반에 걸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11개 도구들을 모두 연구할 뿐 아니라 각 도구의 중재 특성을 비교 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