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주간의 감각-운동 기능성 훈련이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신체구성, 근 기능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Kim, Seung-Hwan),박성준(Park, Sung-Jun) 한국무예학회 2022 무예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12주간의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이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신체구성, 근 기능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19명의 대한태권도협회 등록된 겨루기 선수를 대상으로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 집단(10명)과 통제 집단(9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불안정한 지면의 테라센사 위에서 워터 백을 사용한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을 1~6주는 RPE 11~13 수준, 7~12주는 RPE 13~15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주 3회 빈도로 12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을 실행한 결과,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 집단에서 근육량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제지방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12주간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을 실행한 결과,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 집단에서 배근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제자리멀리뛰기와 서전트 점프는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셋째, 12주간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을 실행한 결과,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 집단에서 우측 앞돌려차기와 뒤후려차기 동작 시 근 활성도는 모든 부위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보면, 감각-운동 기능성 트레이닝은 근육량 증가, 근 기능 발달 및 근 활성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sensory-motor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muscular function and muscular activity in high school taekwondo gyeorugi players. Nineteen taekwondo gyeorugi p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sensory-motor functional training(n=10)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sensory-motor functional training for intensity of RPE 11-13, three times per week for 1-6 weeks and intensity of RPE 13-15, three times per week for 7-12 weeks.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nsory-motor functional training group. 2) broad jump and sargent jum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nsory-motor functional training group. 3) Mean muscular activity in kicking and supporting leg of right forefoot doliyeachagi and right dwhuryeochag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nsory-motor functional training group. It was concluded that 12 weeks of sensory-motor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body composition, muscular function, and muscular activity in high school taekwondo gyeorugi players.

      • KCI등재

        아마추어 선수의 만성 발목 불안정성이 발목 안쪽번짐과 가쪽번짐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두희,신윤아,이근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아마추어 운동선수 30명을 대상으로 발목 안쪽번짐과 가쪽번짐의 등속성 근 기능 평가를 통해 환측과 건측 간 최대근력, 근지구력, 근피로도, 안쪽번짐 대비 가쪽번짐의 근 기능 차이를 분석하여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운동처방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등속성 근 기능 평가는 환측과 건측에 각속도 60 °/sec으로 4회, 180 °/sec으로 25회를 각각 실시하여 최대우력, 총일량을 산출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 운동선수의 환측과 건측 간 최대근력, 근지구력, 근피로도, 안쪽번짐 대비 가쪽번짐 근 기능 비율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환측은 건측에 비해 안쪽번짐(p<.05)과 가쪽번짐(p<.01)의 최대근력이 낮았고, 안쪽번짐과 가쪽번짐의 근지구력(p<.05) 역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근피로도와 안쪽번짐 대비 가쪽번짐 근 기능 비율은 환측과 건측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마추어 선수의 만성 발목 불안정성은 발목 안쪽번짐 과 가쪽번짐의 최대근력과 근지구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아마추어 선수의 만성 발목 불안정성은 발목 안쪽번짐과 가쪽번짐의 근피로도와 발목 안쪽번짐 대비 가쪽번짐의 근 기능 비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ankle eversion and inversion of 30 amateur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exercise prescription data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by evaluating the maximum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muscle fatigue and muscle function ratio of ankle eversion and inversion difference between the involved and non-involved. Isokinetic muscle function evaluation was performed 4 repetitions at 60°/ sec angular velocity and 25 repetitions at 180〬 / sec angular velocity on the affected to calculate the peak torque and total work.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maximum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muscle fatigue, and muscle function ratio of ankle eversion and inversion to the amateur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volved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was lower in invertor (p<.05) and evertor (p<.01) than non-involv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vertor and evertor muscular endurance(p<.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fatigue and muscle function ratio of ankle eversion and inversion between the involved and non-invol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ronic ankle instability of amateur athletes may be reduce the maximu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invertor and evertor ankles. Second, the chronic ankle instability of amateur athletes may not affect the muscle fatigue and muscle function ratio of ankle eversion and inversion between the involved and non-involved.

      • KCI등재

        열 스트레스가 여성노인들의 근기능 및 근손상에 미치는 영향

        박석(Park, Sok),이천호(Lee, Chone Ho),백승옥(Back, Seung Ok),신용업(Shin, Yong Up),김정석(Kim, Jung Suk),조영웅(Cho, Young Wung),이영준(Lee, Young Ju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3

        열 스트레스는 건강의 위험요인으로 장시간 노출시 열손상과 근기능 감소 등 신체 기능을 감소시키며 특히 생리적 기능이 감소되어 있는 노인에서 영향을 받기 쉽다. 본 연구는 여름철 폭염주의보 수준의 열 스트레스가 여성노인들의 근기능 및 근손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65세 이상의 여성 자원자 총 8명을 대상으로 2주일 간격으로 상온(20°C) 그리고 폭염주의보 수준의 고온(33°C)에서 등속성 슬관절 근기능을 측정하였으며, 폭염주의보 수준의 열 스트레스가 근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근기능 측정 전과 후에 채혈을 실시하였다. 각속도 60°/sec 운동시, 고온(33°C) 환경에서 우측 굴곡근과 신전근에서 최대우력, 단위체중당 최대우력, 평균파워 그리고 단위체중당 평균파워에서 근기능이 감소하였다(p<0.05). 또한 각속도 180 °/sec 운동시, 고온(33°C) 환경에서 우측 슬관절 신전근 피로도가 증가하였으며(p<0.05), 굴곡근 총일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고온환경(33°C)에서 근손상 지표인 HSP70, CK 그리고 LDH는 상온(20°C)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열 스트레스가 여성노인들의 근기능을 감소시키고 근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노인들의 건강유지를 위하여 여름철 폭염환경에서 열 스트레스의 노출 및 신체활동을 최소화 시키는 방안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xtreme heat on muscle function and muscle injury marker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ight post-menopausal elderly women without any metabolic disease. All eight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knee joint isokinetic exercise using isokinetic equipment (cybex) in the laboratory and experimental temperature within laboratory was adjusted to two conditions: extreme heat temperature(33 ±0.5°C) and normal temperature(20±0.5°C) maintained in 50±3% humidity conditions. Each experimental exercise was monitored and analyzed the change of HSP70, LDH and CK. Muscular functions (peak torque, total work, percentage of peak torque body weight, fatigue index, average power and total work)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exercise between temperatural conditions (p<.05). In extreme heat temperature, muscular injury markers (HSP70, LDH and CK) were increased, threfore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temperature(p<.05). These results show that extreme heat temperature can decrease muscle function in elderly women.

      • KCI등재

        종아리 기능성 의류가 발목 관절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알찬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aring functional clothing over calf muscles on the muscle function of the calf and to verify whether functional clothing can increase calf muscle fun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1 male students from University B who had no lower extremity abnormality. The measurement method was measured at 30°/sec and 120°/sec angle speed before and after wearing functional clothing on the right and left calves using Humac Norm of CSMI, a constant speed muscle function measuring instru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during dorsiflexion when wearing functional clothing, but in plantar flexion,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wearing functional clothing over the calv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xercise function, and future research suggests a study comparing the degree of muscle function improvement between those wearing functional clothing and those not wearing it for athletes training ahead of the competition. 본 연구에서는 종아리 근육에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것이 종아리의 근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기능성 의류가 종아리 근기능 증가에 활용가치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하지에 이상이 없는 B 대학교의 남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측정 하였다. 측정방법은 등속성근기능측정기인 CSMI사의 Humac Norm을 이용하여 오른쪽, 왼쪽 종아리에 기능성 의류 착용 전, 후 각속도 30°/sec, 120°/sec로 측정하였다. 피실험자들이 기능성 의류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를 측정 해본 결과 발목 배측굴곡(Dorsi flexion)에서는 기능성 의류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발목 저측굴곡(Plantar flexion)에서는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 근력, 근파워,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아리의 기능성 의류 착용이 운동기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대회를 앞두고 훈련을 하는 선수에게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인원과 착용하지 않은 인원의 근기능 향상정도를 비교해보는 연구를 제시하는 바이다.

      • KCI등재

        12주 운동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심폐기능과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문정화,옥정석,안근옥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12 weeks exercise on cardiopulmonary and muscular function in chronic obstructed pulmonary disease(COPD) patients. [METHOD]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31 chronic obstructed pulmonary disease patients men aged in the range of 40-80 years old. They were assigned to the mild group(=17) and the severe group(=14) to disease severity(FEV1). All subjects were carried out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for 40 to 60 minutes a day, five times per week in the period of 12weeks. The aerobic exercise was carried out walking exercise and its intensity was increased step by step in the range of 60-70%VO2max. The resistance exercise was carried out elastic-band exercise and weight-bearing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was increased step by step to the muscular function test result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s within group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o compare means between two groups. [RESUL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VO2max of two groups between pre and post tes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f exercise effect between groups in ANCOVA. Significant lower values of HRmax(p=.029) of severe group and dyspnea scale(p=.044) of mild group between pre and post tests were founded,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dyspnea scale(p=.013) only between groups. Improvement of leg fatigue scale(p=.010) in the severe group between pre and post tests but no difference between groups(p=.013). Treadmill walking endurance of two groups(p=.000) were enhanced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p=.025). Upper limbs muscular function(mild group; p=.004, severe group; p=.005) and lower limbs muscular function(mild group: p=.001, severe group: p=.010) were all enhanced in two groups. There was a marked improvement of the lower limbs muscular function of mild group(p=.046) in between groups compariso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exercise training is effective to COPD patients and it is suggested that it is possibile its effect is different to disease severity(FEV1)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uscular function. [서론]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 운동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심폐기능과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40-80세 남성 31명으로서 이들을 COPD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경증집단(n=17)과 중증집단(n=14)으로 구분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60-70%VO2max 강도의 걷기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하여 하루 40-60분, 주 5회,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적용 직전 및 12주 운동 후에 심폐기능과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심폐기능은 운동부하검사(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호흡곤란정도, 다리피로정도)와 오래걷기검사를 측정하였고, 근기능은 아령들기와 앉았다가일어서기를 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차 검증을 위하여 대응 t-검정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12주 운동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은 집단별 사전사후검사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나 공변량분석결과 집단간 운동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사후검사결과 최대심박수는 중증집단에서, 호흡곤란척도는 경증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집단간 차이는 호흡곤란척도만 나타났다. 다리피로척도는 사전사후거사결과 중증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오래걷기시간은 경증집단과 중증집단 모두 사전사후검사결과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집단간 차이도 있었다. 아령들기와 앉았다가일어서기 모두 사전사후검사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앉았다가일어서기에서만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결론] 운동은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심폐기능과 근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이 연구에서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 심폐기능이 경증집단보다는 중증집단에서 더 좋은 향상을 가져왔으나 근기능에서는 경증집단에서 더 나은 효과를 보임으로써 향후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질환의 중증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저생식샘자극호르몬생식샘기능저하증을 동반하는 근긴장디스트로피 1예

        허준,유효경,장이선,김혜수,이종민,윤종수,김군순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

        Myotonic dystrophies (DM) are genetic neuromuscular diseases that have 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 and are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muscular weakness. Myotonic dystrophy type 1 (DM1) is caused by the expansion of an unstable CTG repeat in the DMPK (myotonic dystrophy protein kinase) gene on chromosome 19q13.3. Endocrine disorders associated with DM1 include primary hypogonadism with testicular atrophy and insulin resistance. However, DM1 accompanying hypogonodotropic hypogonadism has not previously been reported in Korea. A 56-year-old man who suffered from progressive weakness and walking disturbance for many years was hospitalized due to pneumonia. During his treatment for pneumonia, he received oral hypoglycemic agents because of hyperglycemia. He was diagnosed with DM1, based on the results of an EMG and genetic analyses. He also displayed anosmia and gynecomastia and was diagnosed with hypogonodotropic hypogonadism, based on the results of hormone tests. (Korean J Med 2011;80:S233-S238) 56세 남자 환자가 당뇨병의 과거력 및 근력저하 그리고 생식샘기능저하증 소견을 보였다. 당뇨병의 신경병증을 검사하기 위해서 근전도검사를 시행하였고, 우연히 특징적인 1형 근긴장디스트로피 소견을 발견하여 말초혈액에서 채혈한 혈액으로 유전자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형 근긴장디스트로피로 진단하였다. 이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당뇨병 및 일차 생식샘기능저하증을 보이는데, 환자의 외형에서 생식샘기능저하증의 모습이 있었고, 내분비호르몬검사상 저생식샘자극호르몬생식샘기능저하증을 확인하였다. 현재 1형 근육퇴행위축에 대한 뚜렷한 치료법은 없는 상태이고, 증상에 대한 보조적인 치료법으로 부족한 테스토스테론을 보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적이고 적용 가능한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1형 근긴장디스트로피 환자에게 비교적 흔히 발생 하는 저생식샘기능저하증에 대해서 조기에 적절한 호르몬 대체요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전기근육자극 적용 시 근수축 형태에 따른 대퇴 근기능 분석

        채원식,이한얼,김종근,정재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근수축 형태에 따른 전기근육자극요법(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적용이 대퇴근육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인체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20대 성인 남자 3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30명의 피험자들을 무선할당 방식을 통해 폐쇄사슬운동(Closed Kinetic Chain, CKC) 집단, 개방사슬운동(Open Kinetic Chain, OKC) 집단, 등척성운동(Isometric Exercise, IE)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EMS를 적용한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운동 전후의 증가율을 비교·분석하였다. 집단간 통계적 유의차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날 시 사후검증은 bonferroni를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검증의 유의성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등속성 근기능 검사 시 OKC 집단의 최대근력과 근파워 증가율이 IE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최대근력 평균 적분근전도에서 대퇴직근(Rectus Femoris, RF)과 내측광근(Vastus Mediaiks, VM)에서 CKC 집단에 비해 OKC 집단이, IE 집단에 비해 OKC 집단의 평균 적분근전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에서 CKC 집단의 평균 적분근전도 값이 IE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근파워 평균 적분근전도에서 VM의 OKC 집단의 평균 적분근전도 값이 IE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근파워 최대 적분근전도에서 VL의 IE 집단에 비해 CKC 집단이, IE 집단에 비해 OKC 집단의 최대 적분근전도 증가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섯 째, 근지구력 최대 적분근전도에서 RF에서 OKC 집단의 최대 적분근전도 증가율이 IE 집단에 비해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8주간의 EMS적용에 따른 개방사슬, 폐쇄사슬, 등척성 근수축 운동이 최대근력과 근파워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근활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개방사슬운동과 EMS 병행 시 다른 근수축 형태에 비해 운동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하지의 기능적 운동이 슬관절의 근기능과 고유수용성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정석률(Jung, Suk Yool),이성기(Lee, Sung K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운동이 슬관절의 근기능과 고유수용성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대상자들은 운동 전·후 2회에 걸쳐 슬관절의 근력과 근지구력 및 고유수용성 위치감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능적 운동그룹과 트레드밀 운동그룹은 10주 동안 주당 3회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시간은 60분, 운동 강도는 RPE 12-13으로 실시하였다.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ɑ=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능적 운동은 트레드밀 운동에 비해 각속도60˚/s에서 슬관절의 신전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우측 슬관절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 또한 기능적 운동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기능적운동은 트레드밀운동보다 슬관절근기능과 고유수용성 위치감각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functional exercise on Knee joint muscular function and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Therefor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ested twice before and after exercise for knee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Functional exercise group and treadmill exercise group peformed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 for 10 weeks and each exercise program designed for 60minutes and strength was RPE 12-13. To compare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the test, the paired t-test was used. The significance level for processing of all statistics was determined at a=0.0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unctional exercise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readmill exercise that the angular velocity of 60˚/s extension strength of knee joint and also, the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of right knee j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d by functional exercise. In conclusion, functional exercise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han treadmill exercise to improving muscular function and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of the knee joint.

      • KCI등재

        32주간의 기능성 훈련프로그램 적용이 중학교 남자태권도 선수들의 체력, 근기능과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혜민,이웅배,이진석,박규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6

        본 연구는 기능성 훈련이 중학교 남자태권도 선수들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근기능과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신체기능의 변화를 바탕으로 태권도 선수들의 훈련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G도 C시에소재한 중학교 남자태권도 선수들 10명을 대상으로 기능성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32주간 주 2회 기능성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훈련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전(0주), 중간(16주), 사후(32주) 3번의 측정평가가 이루어졌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Turkey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2주간의 기능성 훈련을 통해 사전(0주)와 비교하여 사이드스텝은 중간(16주)와 사후(32주), 소리 반응은 사후, 손-눈 반응시간은중간, 사후 그리고 오른쪽 무릎관절의 굽힘근 근파워은 사후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2주간의 기능성 훈련프로그램이 중학교 남자태권도 선수들의 기초체력 및 근기능을 향상시켜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training for 32 weeks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anaerobic capacity of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Ten male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age: 13.80 ± 0.79 years) from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irty-two weeks. A functional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thirty-two weeks, and the measurements were taken three times (Pre; 0-week, Mid; 16-week, and Post; 32-week) to check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anaerobic capacit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urkey method was used as a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32 weeks of functional training, side-step and hand-eye cooperation at Pre and Po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Pre. Sound response at Post was de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Pre. Right knee flexors as muscular power (180°/Sec) at Post were in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Pr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training of 32 week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aekwondo performance by improving physical fitness (agility) and muscular power in male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등속성 근 기능과 외발 최대수직점프와의 상관관계 분석

        홍완기(Hong, Wan-Ki) 한국체육교육학회 2015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운동기능 평가항목으로 등속성 근력측정이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등속성 근기능 측정과 외발 최대수직점프 측정 시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발목관절의 불안정성이 없는 초등체육영재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피험자들은 60?° /sec으로 등속성 근기능 측정하였으며, 적외선 카메라 6대와 지면반력기, 근전도를 통해 얻은 자료를 Kwon3D XP와 Myoresearch 이용해 산출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최대수직점프는 운동기능의 높은 재현성을 가지지만 초등학생들의 경우 하지의 근기능을 통해 이루어지기보다 또 다른 변인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등속성 근기능 측정은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신중히 선택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학생, 고등학생, 엘리트 선수와의 비교를 통해 등속성 근기능 측정의 신뢰성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ement the problem of the sports events measured in selecting kinesthetic elementar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fifteen elementary student(mean age: 11.4±1.25 yrs; mean mass: 43.21±4.1kg; mean height: 151.0±6.0cm) with no lower extremity symptoms or injuri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Isokinetic muscle measuring equipment(HumacNorm, USA) was used five times at 60 degree/sec to measure the knee joint peak torque value(extension) of each study subject. In this case, EMG(Noraxon, USA) was also used to measure the maximum muscular activity of rectus femoris muscle and vastus medialis muscle. To look into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the data were applied to Pearson’s correlations. To transmit explanatory power of correlations,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20.0 at p<.05. Results: When isokinetic muscle function was measured, peak torque, the representative value, had no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than knee joint power at the time of maximum vertical jump. In particular, muscle activity showed high explanatory power in maximum vertical jump, but peak torque had no relation with muscle activity. Conclusion: It indicates that peak torque of isokinetic measuring equipment is not a proper item to evaluate the muscle fun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muscle is not formed compl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