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육 교과서 변천 과정 및 해외 사례를 통한 시사점 탐색

        임재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02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9 No.5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교육과정 변천 과정에서 체육 교과서의 변화를 분석하고, 해외 주요 국가들의 체육 교과서 활용 실태를 비교하여 체육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체육 교과서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지시적내용 분석을 통해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첫째, 우리나라 체육 교과서는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발전해 왔으나, 디지털 교육 전환에 따라 체육 교과서의 내용과 형식에도 변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해외 주요 국가들의 체육 교과서 활용 방식이국가별로 상이하며, 이러한 차이가 한국 체육 교과서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함을 발견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디지털 교과서 전환으로의 대비책이 강구되어야 하며, 체육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체육 교육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격차 문제와 다양한 학습 자료 및 평가 방법의 개발도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체육 교과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한국 체육 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olu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Korea's curriculum and to compare the usage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major foreign countries,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and directed content analys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data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Results: The study found, first, that Korea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have evolved with changes in the curriculum, ye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ransition to digital textbooks. Second,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revealed that the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varies significantly by country, offering cri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physical education. Conclusion: Therefore,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is essential, a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as foundational data for redefining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digital era and advancing Korea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임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뉴노멀 시대 체육교육의 방향 탐색

        함명환,유지은,류태호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which requires changes in daily life, normality, and standards, which have been destroyed by the COVID-19. Method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in the related fields, the conclusion was drawn through the process of reconceptualizing the inherent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embracing and integrating the concepts. In order to revitalize deep discussion, the results of an open-ended survey on key ideas applicable to the field in the new normal era were used as evidence for 117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first-class teachers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perated by the Seoul K University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in 2021. Results: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of the body’, the process of ‘feeling, acting, and reflecting on the ‘body’, the original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must be restored. Second, students should enjoy the fun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play’ and experience ‘purposeless pleasure’. Third, physical education of 'convergence' should be shared by sharing 'various values' that focus on 'the quality of sports' rather than 'the usefulness of physical education'. Conclusion: Rethinking at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at this point in time, whe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from the past, is meaningful in re-establishing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udden new normal era. 목적: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된 교육환경 속에서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인해 무너진 일상성과 정상성, 표준성의 변화를 요구하는 뉴노멀 시대 체육교육의 역할을 재고찰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관련 분야의 연구결과와 제언들을 바탕으로 개념을 포섭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내재된 의미를 재개념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깊은 논의의 활성화를 위해 2021년 서울 K대학 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한 체육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중학교 체육교사 117명을 대상으로 뉴노멀 시대 현장에 적용 가능한 핵심 아이디어에 대해 개방형 설문 결과를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몸’을 ‘느끼고 행동하고 성찰하는 과정인 ‘체찰(體察)’을 통해 체육 본연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놀이’를 통해 체육에 대한 재미를 느끼고 ‘목적 없는 즐거움’을 경험하게 해야 한다. 셋째, ‘체육의쓸모’가 아닌 ‘체육다움’에 집중한 ‘다양한 가치’를 공유하여 ‘융합’의 체육이 되어야 한다. 결론: 교육환경이 과거와는 다르게 급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체육교육의 역할을 다시 보는 것은 뉴노멀 시대 체육교육의 역할과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체육교육 발전을 위한 체육계열 대학 교원의 역할과 과제

        정주혁(Joo Hyug J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급변하는 초·중·고 학교체육 현장과 정책의 변화 속에서 체육교사교육(PETE)과 스포츠 지도자 양성의 책임을 맡고 있는 체육계열 대학 교원의 앞으로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학교체육활성화 정책 시행 이후 현재 학교체육이 안고 있는 문제와 함께 이와 관련한 대학교육의 상황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체육계열 대학 교원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체육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학생선수와 학부모 및 스포츠지도자 들에게 학습권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학생선수를 위한 체계적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과 제공, 운동부 코치에 대한 교육자로서 역할의 중요성 강조 및 코치평가 방식 개선, 대학 학생선수들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제공, 대학교원의 초·중·고 학교체육 현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함께 대학과 학교체육의 연계성 강화와 이를 통한 예비 체육교사 및 스포츠 지도자 양성 과정의 전문성 강화,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학교체육시설 및 스포츠 시설 확충을 위한 노력 및 적극적인 정책적 제안 등이 체육계열 대학 교원의 앞으로의 중요한 역할과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or kinesiology faculty in universities. They are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ETE) and have the responsibility to foster future youth sport coaches or instructors in this rapid-changing PE sit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changes in policie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which are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system along with the recent changes in education circle such as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to revitaliz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s we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for changing recognitions of student athletes, parents, and sports instructors, regarding the right to learn; to build and provide a systematic mentoring system for student athlet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oles of sports coaches as an educator and improve the coach assessment system; to provid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athlete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it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to strengthen the connectivity of physical education among universities,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o complement training curricula of PE teachers and sports instructors to make efforts to expand school PE facilities and outside sports facilities and suggestions for polices.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사례연구

        김현우(Kim, Hyun Woo),김주영(Kim, Ju Yo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G광역시에서 실시한 체육·예술 교육기부 거점대학 사업에서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교육 기부 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0년도 9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 수업관찰, 수업 촬영 영상, 전문가 협의, 학생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과정은 시작이 어려운 봉사 활동과 체육지도자의 역할 탐색, 그리고 체육지도자로의 성장으로 의미를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의 정서적 경험은 교육현장의 실제와 간극으로 인해 분노나 좌절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등 예상치 못한 반응과 어려움을 겪었어나, 교육신념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 현장에 적용가능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히고 실효성 있는 교육을 이끌어 나갈수 있는 지혜와 안목을 형성함으로써 적응을 통한 공감을 이루었다. 결론: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으로 대학과 유관기관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제도적 체계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liminary sports coach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G-city as part of the pivotal project fund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We tried to find a way to activate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an effective way by conducting this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 class video-recording footage, expert consultation, and student evaluation fo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Results: First, the process of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by preliminary PE teachers was meaningful in terms of volunteer activities which are difficult to begin, exploration of the role of sports coaches, and growth into sports coaches. Second, the preliminary PE teachers suffered unexpected reactions and difficulties by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or frustration due to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by partially modifying the educational beliefs, i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applicable to the field and formed the wisdom and perspective that can lead to realistic education, thereby achieving sympathy through adaptation. Conclus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clear and specific institutional system of universities and related institutions as a way to activate educational donations.

      • KCI등재

        심신양생(心身養生), 심신 단련(心身鍛鍊)의 전인적(全人的) 체육교육 사상(體育敎育 思想) 연구

        김종철(Jong Chul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2

        활인심방(活人心方)은 조선 왕조(한반도의 마지막 왕조)의 퇴계 이황 선생님이 지으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균형을 맞추어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한 방법을 말해주는 심신양생(心身養生)의 의료 책이다. 건강법으로 삼아온 활인심방(活人心方)을 통하여 전통체육으로서 심신 건강의 조화를 강조한 참된 건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그 속에 내제된 심신일 여(心身一 如)의 체육교육 사상을 이해하고 학교체육에 활용되어 신체적인 기능은 물론 정신적인 측면에서 체육교육의 심신단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오늘날 대학입시에 초점을 맞추고 입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체육교육은 그 중요성을 상실하고 체육교육의 목적인 전인적(全人的)인 인간형성 이라는 목적이 학교체육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어가고 있는 실정에서 활인심방(活人心方)은 학교 체육 교육을 활성화 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 활인심방(活人心方)을 통해 내제된 심신일 여의 체육교육사상을 탐색하여 체육 철학을 이해하고 학교 체육 교육의 순서는 학생 자신의 신체와 마음을 효과적으로 잘 다스리는 심신단련법(心身鍛鍊法)에 있으며, 정신과 아울러 신체가 건강해야 된다는 심신일 여(心身一 如)의 체육을 교육 함으로서 마음과 몸이 황폐(荒廢)되어가는 학생들에게 참된 체육교육의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 다. 따라서, 우리의 동시대를 살고 있는 그들 자신들의 인간성을 회복하고 그들의 마음이 내부 와 외부가 하나 되어야 건강 을 유지 할 수 있다는 것의 중요함을 깨닫게 하기 위하여 이 책을 재해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HWARIN SIMBANG’ is a medical book written by Lee Hwang, a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the last dynasty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lays weight on the balance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Herea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health reflected in the medical book, ‘HWARIN SIMBA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give our contemporaries an opportunity to make a systematical study of HWARIN SIMBANG, to make them understand the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in the book, and to apply it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hat students may train their body and mind with effect. Modern-day educational system is focused on feeding universities with students, and as a result physical education has been regarded as inconsequential. In this regard, ‘HWARIN SIMBANG’ is expected to be a way to revitaliz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us, there is a need to reinterpret the book in order to make our contemporaries aware that it is more important for them to rehumanize themselves and to master their mind to the end that inside and outside may be one and may be kept healthy.

      • KCI등재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 분석

        양갑렬(Gab Rul Yang),박동곤(Dong Gon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0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를 분석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수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발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체육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만족에 따른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초등체육 교육과정 이해 실태 분석, 체육수업 계획 실태 분석, 단위시간 체육수업 과정 실태 분석, 체육수업 평가실태 분석의 4가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연구참여자는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절대평균치가 높은 교사 2명과 낮은 교사 2명 등, 4명을 선정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서술적 조사 등을 실시하고,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 분석, 귀납적 범주분석, 다각도검증 등의 절차를 거쳐 교육과정 이해, 수업계획, 수업과정, 수업평가 등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교육과정 이해연구참여자들은 초등체육의 가치와 목적에 대하여는 4명 모두 신체활동을 통한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과 바른 인성의 함양, 건강한 생활의 영위, 체육 지식의 습득이라고 밝혀 교육과정에 제시된 체육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상당히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이나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노력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나,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노력하고 있지 않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학급담임을 맡아 10개 교과 모두를 지도해야 하는 부담감과 잡무의 과다 등으로 인한 교재연구 시간의 부족을 들며 교과전담제의 확대 시행과 잡무의 감축 등을 올 그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였다.교육과정 운영에 대하여는 연구참여자 모두 교육과정에 배정된 주당 3시간의 시수를 제대로 이수하지 못한다고 답하였으며, 연간계획대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 다른 교과지도나 학교 행사로의 대체, 시설 및 용구의 부족 등을 들었으며, 학교 실정을 고려하지 못한 연간계획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하였다.초등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실태는 직무만족에 따라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교수방법의 이해에 있어 보다 노력하고 있다고 답함에 비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체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지 않고 있었으며 다른 교과지도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어 소홀히 하고 있다고 답하였음을 볼 때,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교육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전담교사제의 확대와 과다한 잡무의 감축 등, 정책적인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2) 체육수업계획연구참여자들은 수업계획 단계에서의 학습 환경분석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시설 및 용구의 확보에도 큰 신경을 쓰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분석은 학급담임교사가 더 적극적으로 실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급 아동수가 적은 교사가 가장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전담교사의 경우 아동수가 너무 많음을 이유로 개개인에대한 분석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하였다. 목표설정 및 지도내용의 선정은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보다 더 목표설정 및 지도내용의 선정에 성실히 임하고 있었다. 이들은 교사용지도서나 교과서, 월간교육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목표 및 지도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아예 수업목표를 세우지 않고 일정한 성취수준 없이 수업을 진행한다고 하였다. 지도내용의 선정에도 소극적이어서 교과서의 내용만을 고집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재구성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는 모습이었다. 또, 교재의 활용은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용지도서를 주로 참고하고 있었으나, 연간계획 및 주간계획을 작성하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음을 볼 때, 체육수업의 목표달성도를 높이기 위한 지도교사의 보다 충실한 체육수업 계획이 요구된다.3) 체육수업과정연구참여자들은 흥미 및 동기유발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직무만족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동기 및 흥미유발에 보다 더 적극적이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한다고 하였는데, 직무만족이 낮은 교사는 그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별다른 노력없이 수업을 전개한다고 하였다. 준비 및 정리운동은 직무 만족도에 따른 차이 없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운동장 달리기나 국민체조 등을 형식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체력이나 보강운동은 실시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nstruction styles of temporar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in relation to the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yles of instruction and to present progressive and rational measures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data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developme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wo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two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urned out to be fairly high regardless of job satisfaction in regard to the values and purposes of elementary schools`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y turned out to have a very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s job satisfaction was lower. Second, few analyses were made of the environment of study in the area of PE plans. An analysis of students showed that there were mo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udents than job satisfaction: the smaller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more positively the analysis wa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lanning and the selection of instruction contents. Third,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more positive in the utilization of the PE curriculum.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proved to ignore or neglect it. They turned out to leave out the closing activity as was true to warm-up activity. They just let students run around the ground or do national calisthenics.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provide positive feedback, while their counterparts provide more negative feedback. Teachers provided appropriate demonstrations to students when they were good at sports skill performance while they asked students demonstrate skills when they were porr at sports skill performance. They rarely asked questions, but rely heavily on the explanations. They gave students three seconds for answering their questions. All the subjects were focused on preventing accidents and doing "good." Also they asked students to observe the activities of their peers who were supposed to answer teachers` question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교육학 연구 동향

        장병권(Chang, Byung-kweon),채창목(Chae, Chang-Mok),김영식(Kim, Young-si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체육교육학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연구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지난 10년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한국체육교육학회지」, 「한국초등체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1,242편)중에서 초등체육교육학 연구 논문 731편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학술지에서 발표된 초등체육교육학 논문은 지난 10년간 한해 평균 73.1편이다. 둘째, 연구 방법에 따른 빈도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빈도는 ‘초등학생’, ‘초등체육’, ‘초등학교’, ‘체력’, ‘체육수업’, ‘체육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결중심성이 높은 60개 키워드를 선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체육-참여-초등학교-초등학생-초등체육’, ‘체력-신체적자기개념-자기효능감-내적동기-자아탄력성-정서’, ‘뉴스포츠-즐거운생활-무용교육-다문화사회-음악줄넘기-학교스포츠클럽’, ‘초등교사-초등예비교사-예비교사’, ‘신체구성-신체조성-건강체력’이 각각 클러스터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른 향후 과제로는 첫째, 초등체육교육학 연구의 발전을 이끌 유인책 개발, 둘째, 독자적 연구 영역 탐색, 셋째, 연구 방법의 다변화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Elementary Sport Pedagogy research in Korea. Methods: 731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port Pedagogy from 2006 to 2015 were collected,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73.1 studies on Elementary Sport Pedagogy were published annually. Secondly,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ird, the main keywords were ‘elementary student’ followed b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physical fitness,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education.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f 60 high degree centrality keywords: ‘physical education ~ participation ~ elementary school ~ elementary student ~ elementary class’, ‘physical fitness ~ physical self description ~ self-efficacy ~ intrinsic motivation ~ ego-resilience ~ emotion’, ‘new sports ~ pleasant life ~ dance education ~ multicultural society ~ music rope-skipping ~ school sport club’, ‘elementary school teacher ~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 pre-service teacher’, ‘body composition ~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 trend emerged showing keywords were related to each other.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ask to undertake are ‘development of incentives’, ‘exploration of independent research area’,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