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 KCI등재

        치매환자 조호자를 위한 교육지지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비교연구

        송 흡(Heup Song),강재명(Jae Myeong Kang),김병규(Steven B. Kim),조성진(Seong Jin Cho),윤선경(Seon kyung Yun),윤혜진(Hye jin Yoon),연병길(Byeong Kil Yeon)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17 노인정신의학 Vol.21 No.1

        Objective:We studied the effect of Hyu-Sig-Gong-Gan and Hye-Ah-Rim on several evaluations and compared the two programs. We then investiga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ratings. Methods:Thirty-six patients were randomized to Hyu-Sig-Gong-Gan (n=23) or Hye-Ah-Rim (n=13). We tested for the effect of each program on several evaluations and compared the two programs through Zarit Burden Interview (ZB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Dementia Attitude Scale (DAS)-intelligence, DAS-comfort and DAS-total. We then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rating depends on other factors. Results:We observ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Hyu-Sig-Gong-Gan on DAS-comfort (t=1.843, p=0.039)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Hye-Ah-Rim on ZBI (t=-2.327, p=0.019), DAS-comfort (t=2.241, p=0.022), and EuroQol-5 Dimensions-Visual Analogue Scale (t=2.537, p=0.013). For comparing the two programs, we found a lack of evidence for the difference in any of the five commonly observed evaluations. In the secondary analysis, we observed a strong trend that the two program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for caregivers with negative pre-ratings. Conclusion:The two program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various evaluations, but some evaluations coul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rograms appear to be particularly helpful for those who are in need before the program participation.

      • 일부 운수사업장 근로자의 건강진단 유소견자의 사후관리 실행과 관련요인

        윤혜은,박종,이영선,강성득,김철호 조선대학교 200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8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up management status for medical problem to be treated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some workers at transportation busines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ward 183 workers with medical problem(C and D2) among 945 examine in 1997. Results: Sixty four point five percent of surveyee received the examination result report and 40.5% were explained about the result 80.3% of surveyee answered that they knew the result of health examination. Most workers felt the necessity of the health examination, but 54.1% were dissatisfied with present health examination system and 66.7% pointed it out as nominal The rate of follow-up management for the medical problem was 62.8%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follow-up management rate for those who knew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were 2.98 times higher than those who didn't know the result (OR=2.98, 95% CI 1.41~6.29) The rate for those who perceived the medical problem already were 2.64 times higher than those who perceived the problem for the first time (OR=2.64, 95% CI 1.13~6.15). The rate for those who had subjective symptoms were 2.83 times higher than those who didn't have subjective symptoms. Conclusion : sixty two point eight percent of workers with medical problem performed the follow-up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health examination result, perception of the problem in the past and experience of subjective symptoms were related with the follow-up management.

      • Clopidogrel에 의해 발생된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1례

        김민환,김종훈,박경일,박혜연,황철웅,김의석,도준형,남궁준,이성윤,이원로 白中央醫療院 2005 仁濟醫學 Vol.26 No.1

        Clopidogrel bisulfate, a widely used inhibitor of platelet aggregation, is considered at least as safe as aspirin. We describe a 61 year old male patient who developed a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consisting of high fever, rash, chills, impaired liver function, and mild leukopenia after receiving clopidogrel after coronary angiography and stent implantation. The reaction resolved promptly after withdrawal of the drug, thus making the diagnosis of a clopidogrel induced reaction highly probable.

      • 土壤中에 있는 phenol分解細菌의 分離·同定 및 phenol分解能에 關한 考察

        尹惠禎,金惠泳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86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38 No.-

        Phenol은 有毒性이고 分解되기 어려운 環境汚染物質이며 大部分 芳香族化合物의 中間代謝産物이다. 또한 各種 産業工程에서 高濃度로 排出되기 때문에 그 毒性으로 인해 處理時 問題를 일으키므로, phenol 廢水處理를 위하여, phenol을 sole carbon source로 利用하는 菌株를 土壤으로부터 分離하여, 그 形態學的·生化學的 特性에 의해 同定하였으며, 各 分離菌株의 溫度別 phenol分解能을 比較하여, 優秀菌株에 대하여 phenol濃度別 分解試驗을 實施하였고, 活性汚泥法으로 phenol廢水를 處理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18個 地域의 土壤試料中 4個 地域의 土壤으로부터 6株의 phenol分解細菌이 分離되었으며 모두 Pseudomonas屬이었다. 2. 初期 phenol濃度를 500mg/ℓ로 하여 溫度別 分解試驗을 한 結果, Strain Ⅰ,Ⅱ,Ⅲ는 30˚C에서 Strain Ⅳ, Ⅵ는 25˚C에서, Strain Ⅴ는 37˚C에서 各各 最高分解率을 나타내었다. 그 中 分解能이 가장 秀麗한 菌株는 Strain Ⅲ로, 20∼37˚C에서 높은 分解率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30˚C에서는 36時間後 99%가 分解되었다. 3. Strain Ⅲ에 의한 phenol濃度別 分解試驗結果, 10,50,100,200,500mg/ℓ의 境遇는 各各 3,6,12,24,36時間에 99%가 分解되었다. 1,000mg/ℓ以上에서는 顯著한 lag phase가 있었으나, 1,000mg/ℓ의 境遇 66時間後 99%가, 2,000mg/ℓ의 境遇 108時間後 98%가 分解되었다. 그러므로, Strain Ⅲ는 비록 分解에 長時間을 要하나 2,000mg/ℓ의phenol도 sole carbon source로 分解可能한 高活性菌株였다. 4. 順應活性汚泥를 利用하여, 100~800mg/ℓ의 phenol廢水를 處理한 結果, 滯留時間을 平均 28時間으로 하여 好條件에서 平均 99.9% 處理되었다. Bacteria that can degrade the toxic and persistent pollutant, phenol, were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Their phenol-degradabilities at various temperatures were compared, superior strain was selected and its phenol-degrading activity was tes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phenol. Phenol-wastewater was treated with acclimated and activated slud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ix phenol-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four of eighteen soil samples and all of them were identified as genus Pseudomonas by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2. Optimum temperature of Strain Ⅰ, Strain Ⅱ, and Strain Ⅲ was 30˚C, Strain Ⅳ and Strain Ⅵ was 25˚C and Strain Ⅴ was 37˚C. Of them, Strain Ⅲ had superior degradability at wide temperature range, 20~37˚C, especially, at 30˚C, Strain Ⅲ could degrade 99% of initial phenol 500mg/ℓ after 36 hours. 3. From the test of phenol-degrading activity of Strain Ⅲ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phenol, Strain Ⅲ was highly active strain capable of degrading phenol 2,000mg/ℓ as a sole carbon source, although it took a long time to do. 4. Phenol removal rate in the acclimated and activated sludge reactor fed phenol at 100~800mg/ℓ and operated with retention time of 28 hours in the optimum conditions was 99.9%.

      • 만성해수 치료제의 개발 연구

        김연태,하혜경,김정숙 한국한의학연구원 1999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5 No.1

        Chronic asthma is considered as an incurable disease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ment of an animal model for the chronic asthma to investigate new drugs from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we tested the animal model with a typical prescription. Chungsnagboha-tang and tried to find biochemical markers such as catecholaminers and cAMP in serum and as desities of beta-receptor in lung tissue. SD rats were actively sensitized by exposure to ovalbumine (OA). Ten days after sensitization, rats were challenged with OA aerosol by nebulizer six times every three days. Mucin was increased in bronchoalveolar lavages (BALs) after antigen (OA) challenge. Serum concentration of epinephrin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there were not changed much in serum concentration of cAMP and the densities of beta-raceptor in lung tissue. Chungsnagboha-tang (5g/kg/day) was given orally to ovalbumin-sensitized rats (n=8) for 15days. Mucin in bronchoalveolar lavages (BAL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of Chungsnagboha-tang although concentrations of epinephrine and cAMP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densities of beta-receptor in lung tissue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valbumin-sensitized rats can be a good animal model of chronic asthma and Chungsnagboha-tang is a possible dru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asthma.

      • 벼 품종의 芳香性 유전

        金光鎬,鄭允惠 건국대학교 농업자원개발연구소 2000 農資源開發論集 Vol.22 No.-

        Segregation mode of leaf aroma in F2 and F3 were studied in ten crosses between the three scented rices and five non-scented rice varieties. Three crosses among ten showed the segregation ratio of 1 scented : 3 non-scented plants in F2, two crosses indicated 3 : 13, and four cross fitted to both 1 : 3 and 3 : 13. Segregation ratio of F3 populations of Ilpumbyeo/Hyangmi and Jinbuchalbyeo/Hyangmi indicated that aroma of Hyangmi was not controlled by the single recessive gene, but a few recessive genes. The aroma and heading date in F2 of seven crosses did not segregate independently. The frequency of scented plants was lower in delayed heading plants than that of earlier heading plants.

      • KCI등재

        부산연안역에서의 대기오염기상 예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고농도 오존일의 예측을 중심으로 Centering around Forecast of Ozone Episode Day

        김유근,이화운,전병일,홍정혜,문윤섭 한국환경과학회 199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5 No.4

        Pusan is the largest coastal city with a population of about four million in Korea. Because of increased and confused traffic, photochemical air pollution become a major urban environmental problem recently. The photo-chemical air pollution weather forecasting method preciser than existing air pollution forecast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forecast ozone episode days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s using the data measured at 7 air quality continuous monitoring stations from June to September using 2 years (1994, 1995). The method developed in present study showed higher percentage correct and skill score than existing air pollution forecasting in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