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청호에서 수화(water-bloom)와 대장균군 분포도의 상관관계

        김철호,조용운 진주산업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8 環境硏究論文集 Vol.2 No.-

        중부지방의 중요한 수자원인 대청호의 회남교 부근에서 수화가 형성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대장균군의 분포도를 조사하고, 다른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수역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표층보다는 중층과 하층에 더 많은 대장균군이 분포하였다. 특히 수온약층이 형성되는 시기에는 중층에서 더 높은 분포도를 나타내다가 수온약층이 파괴되면서 수층간에 큰 차이 없이 거의 일정한 분포도를 보였다. 또한 강우량이 많은 시기인 6월 19일과 8월 5일에는 중층과 하층에서 대장균군의 분포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역의 오염원을 함유하고 있는 상류의 유입수가 수온약층의 하부로 흐름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표층에서의 대장균군 분포도는 시안세균에 의한 수화가 형성되는 시기에 비하여 다른 시기에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안세균의 높은 광합성 결과로 표층의 pH가 높아짐으로써 대장균군의 생장이 억제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자연수계의 대장균군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시안세균의 활성이 높은 시기에는 그 분포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화와 같이 환경의 변화가 심한 시기에 자연수계의 분변오염 여부를 대장균군의 분포도만으로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The authors surveyed the monthly variations of distribution of coliform bacteria in Daechung Dam reservoir during cyanobacterial water bloom, and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e distribution of coliform bacteria was higher at middle and bottom layer than at surface layer. Especially its distribution at middle layer was high during the period of thermal decline, and showed little difference in population size of coliform bacteria when thermal decline destroyed. At June 18 and August 5, the period of higher rainfall, the coliform bacteria distributed highly at middle and bottom layers, which seemed to be the result of inflow of low-temperature water. At surface layer, coliform bacterial distribution was higher during water-bloom period,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result of higher pH of surface water resulted from strong photosynthetic 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liform bacteria in natural water ecosystem originate from the inflow of water and its distribution is low during the period when cyanobacteria grow actively. This suggests that it have a problem to estimate whether the natural water is contaminated with feces.

      • SCIEKCI등재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 .) 로부터의 알콜 생산을 위한 균주 선발

        김철호,유연우,김수일 한국농화학회 198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6 No.2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thanol production from Jerusalem artichoke tubers (Helianthus tuberosus L.), various yeast strains were evaluated for their potential in metabolizing carbohydrate from Jerusalem artichoke tubers to ethanol. Among them, Kluyveromyces fragilis CBS 1555 showed the highest inulase activity and ethanol fermentability. On the batch kinetic: analysis, K. fragilis also showed the highest in parameters for ethanol production and substrate utilization, although lower than Saccharomyces cerevisiae Y-10 in cell mass yield and ethanol production yield.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김철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올림픽을 통한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 올림픽에 대한 기대 가치(Value Expectation)와 지역 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탐색적으로나마 측정 가능한 요인화 하여 살펴보고 그 측정 척도를 정리하여, 차후의 실증적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진행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잠재적 측정 모델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요인들 간의 개념타당성, 수렴타당성, 내적일관성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 개념 간 판별타당성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올림픽에 대한 기대 가치는 자존감, 경제적, 문화경험적, 관계적, 환경친화적, 축제적, 역사적 기대가치로 정리되었고, 지역 사회에 대한 소속감은 명목적 구분 없이 단일 개념으로 정리되었다. 아울러, 두 개념 간의 상관 관계에서, 지역 사회에 대한 소속감은 자존감 기대가치, 환경친화적 기대가치, 그리고 경제적 기대가치 순으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마케팅과 소비자 행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온 기대 가치 개념과, 사회학과 교육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소속감 개념을, 올림픽에 대한 태도 측정 척도 제시를 위해 학제적으로 교차 접목하여 적용한 점, 둘째, 지방 자치가 활성화 되어가는 현대 사회에서, 지역 브랜드 정체성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이의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변수를 정량화 하여 파악하고자 한 점, 셋째, 비록 탐색적인 접근이긴 하지만, 올림픽 기대 가치와 지역 주민 소속감 개념의 측정 척도를 제시, 향후 다양한 지역 스포츠 행사에 대한 지역 사회의 태도를 측정, 평가,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torize value expectation(VE) and the sense of belonging(SOB) measurably, to develop scales to measure the value expectation to the Olympics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community, and to suggest the basic foundation as a precursor to building local brands’ identities through the Olympics. After execu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Converg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also confirmed. Finally, the value expectation on the Olympics is factorized as self-respect value expectation(SRVE), economic value expectation(EVE), culture experiential value expectation(CEVE), relational value expectation (RVE), eco-friendly value expectation(EFVE), festivistic value expectation(FVE), and historic value expectation (HsVE). Sense of belonging(SOB) on community is factorized as a single concept.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shows that the sense of belonging to community is closely related with SRVE, EFVE, and EVE, in order of relevance.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it considers both value expectation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wit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Second,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building local brands’ identities and tries to understand causal variables that affect building a positive and measurable identity. Third, even though it is an exploratory approach, it suggests the scales to measure the value expectation to the Olympics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that could build the strategic foundation to measure, evaluate, and manage local communities’ attitudes toward various future sports events.

      • KCI등재

        현장적합성 검토에 기초한 도덕교과서 및 지도서의 활용방안 제언

        김철호,이민종,주선미,박상덕,이현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201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군 도덕 실험본 교과서 및 지도서에 대한 현장적합성 검토 결과를 소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활용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투입대상은 경인교대 부설초등학교 3학년, 4학년 8개 학급 224명이다. 연구결과 다양한 문제점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보완할 방향을 언급하였는데, 이 중 두 가지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적 영역에서 이전 교과서들보다 다양한 요소들을 다루고 있었지만, 방법에 있어서는 모범감화형 수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공감이나 민감성 등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들을 반영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의 예화가 수준이 너무 낮다거나 아동의 생활경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아동은 자신의 일상생활경험과 일치하는 예화에 몰입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급적 아동의 일상생활과 일치하는 예화를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포그래픽에 대한 정보 이용자의 기대가치 구성요인 연구

        김철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에서 주요 의미 공유 활성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포그래픽 개념에 커뮤니케이션 행동 참여 동인으로 기능하는 기대 가치 개념을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적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인포그래픽에 대한 정보 이용자 기대 가치의 구성 요인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2차 자료 수집으로서의 선행 연구 검토, 1차 자료 수집으로서 질적 접근인 심층 인터뷰와 양적 접근인 사전 설문 조사를 거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작성, 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포그래픽에 대한 기대 가치는 48개 측정 항목으로 요약되었고, 구체적으로 정보성, 의미 명확성, 이해성, 배치 조화성, 콘텐츠 연관성, 구성 간결성, 상호작용성, 매개성, 매력성, 예술성, 독창성, 차별성, 참신성, 공공성, 사회문화성, 호기심, 오락성, 편리성 기대 가치로 정리되었다. 범주화 된 인포그래픽 기대 가치 구성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잠재적인 측정 모델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구성 요인에 대한 표준화 적재치,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의 검토를 통해, 개념타당성, 수렴타당성, 내적일관성도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포그래픽에 대한 기대 가치 구성 요인들 간의 상관 계수, 분산 추출 지수, 및 결정 계수의 비교를 통해, 구성 개념 간 판별타당성 역시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호혜성에 기반을 둔 상호작용적 미디어가 보편화 되어 있는 현실에서, 이들 미디어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인포그래픽에 대한 정보 수용자의 기대 가치 파악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제고 및 그 효과 측정과 관련된 변인의 정량화에 실무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components of value expectation about infographics quantitatively by applying value expectation, which functions as a motivator for consumers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into infographics, an important variable for activating shared meaning. Reviewing former research as collecting secondary data, executing an in-depth interview and pre-survey as collecting primary data became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executing the main survey. As results, the value expectation about infographics was categorized into 48 variables, and they are grouped into utilitarian perspective(information, meaning-cleanness, understanding VE), functional perspective (contents- connecting, compose brevity VE), relational perspective (interactive, mediacy VE), aesthetic perspective (attractive, artistry VE), creative(differentia, novelty VE), environmental perspective(public, socio-cultural VE), and hedonic perspective(curiosity, entertainment, convenience V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value expectation towards infographics showed that the latent measurement model was reasonable. The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β), construct reliability, and variance extracted on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value expectation about infographics were also confirmed as reasonable. The discriminant validity among the latent constructs was confirmed as reasonable. The results suggest that confirming the value expectation towards infographics can contribute to quantitating variables related to measuring the effectiveness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public communication under the situation of generalizing interactive media based on reciproc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