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용구 ‘카라 베쉠 야웨’(qārā’ bᵉšēm JHWH, “야웨의 이름을 부르기”)에 관한 언어적 연구

        조남신(Nam-Shin Cho)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3 신학연구 Vol.60 No.2

        The idiom, “calling on the name of Yahweh” that appears throughout the rituals in the Old Testament, as Gerhard von Rad noted, takes main function at the heart of the cult. The idiom by itself does not speak, but describes the act of repeatedly chanting the name of YHWH before the altar with the sacrifice. “Calling on the name of Yahweh”(Gen. 4:26; 12:8, etc) literally means to pronounce His name. Hendrik Antonie Brongers’ related study of this phrase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He succinctly systematizes the work of previous scholars and defines the term as an official confession or hymn. The recent studies on the idiom, especially by William Quillian Parkinson, John Strazicich, and A. Tim Spann, lead us to conclude that the idiom “calling on the name of Yahweh” is to be a terminus technicus for legitimate YHWH-cults and YHWH beliefs. In terms of content, the idiom means ‘abad YHWH(worshiping Yahweh). ‘abad(worship), in the sense of invocare, includes more than just calling the name. Also, the idiom signifies that YHWH’s name is being proclaimed. And in terms of form, Yahweh’s name is not only called, but also proclaimed in the form of a creed or hymn, thanksgiving, praise, and petition. Seeing that this worship tradition of “calling on the name of Yahweh” is continued in the New Testament, we should not lose sight of its theological importance and succeed it.

      • 영문명과 한글명의 데이터 정제 과정에 관한 연구

        남승오 ( Seung Oh Nam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금융 거래의 특성상 대용량 자료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품질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거래 주체 정보인 한글 및 영문 성명에 대한 데이터 정제 과정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제 규칙을 제시하였다. 첫째, 데이터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존칭에 대한 부분을 제거하였다. 둘째, 영문이름과 한글이름을 모두 한글 풀어쓰기 형태로 변환시켜 이름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언어에 무관하게 동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였다. 기본적으로 이름은 "음운(音韻) 대 음운(character-by-character)"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풀어쓰기 형태로 변환하였다. 셋째, 한글 이름이 영문 이름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 성과 이름의 순서를 변환시켜서 성과 이름의 순서에 상관없이 동일인임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름 중 성을 나타내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 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내용을 활용하여 "음절(音節) 대 음절(word-by-word)" 방식으로 변환하였다. 영문이름과 한글이름은 성과 이름의 순서에 차이가 있으므로, 만약 영문이름의 뒷부분에 성으로 사용되는 문자열이 존재한다면 이를 앞으로 위치변환을 시킨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름에 특수문자 및 괄호 안의 문자 등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data quality which is natually resulted from huge datawarehouse is investigated and following data cleansing process rule is found for identifying subject name. First, English honorifics are eliminated for consistency of data. Second, English and Hangul names are converted write-in the form of unpack regardless of the language to recognize same person. Basically, the name are converted under the rule of character-by-character. Third, it is converted regardless of the first and last name order when Hangul name is written in English name to recognize same person. To find the portion of the last name among the full characters the database about the ratio of Korean last name are used and the last name is converted in a way of word-by-word. Finally, the names including special characters are converted to the names removed the special ones.

      • 해음(諧音)현상을 통한 한약재 명명법(命名法) 소고

        南基守 ( Gi-su Nam ) 동양예학회 2020 東洋 禮學 Vol.43 No.-

        10년 전부터 대구한의대학교 한약개발학과 전공강좌인 ‘한약한문’을 강의하면서, 300여종이 넘는 한약재의 이름들이 어떻게 지어졌는지 그 命名法에 대해 연구를 꾸준히 해왔다. 실제 한약재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명칭의 유래 또한 광범위하며, 특성과 효능도 각각 다르다. 따라서 여러 약재들의 특성과 효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命名法을 이해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한약재는 형태, 색, 냄새와 맛, 産地, 생장 특성, 약용 부위, 효능, 사람이름과 전설, 포제방법 등으로 命名이 되었고, 이 외에 상당수의 한약재는 해음 현상을 통해 命名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반적인 한약재 命名法과 해음 현상을 통한 한약재 命名法에 대해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해음 현상을 통한 한약재 命名法에서는 우리음과 중국 음이 같은 한약재 40종과 우리 음은 다르나 중국 음이 같은 한약재 10종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Naming methods of 300 different kinds of herbal medicines have been studied for the last ten years by teaching the Classical Chinese of Traditional Medicine(한약한문 Han Yak-Han Mun)' in the oriental medicine development department at Daegu Hanny University of Medicine. As mentioned earlier, herbal medicines have been named by shape, color, smell and taste, producing area, growth characteristics, efficacy, eponymous name, mythological legend, folktales, and processing method. Many other medicinal herbs were also named after Chinese homophonic words. Therefore, the paper examined forty types of medicinal herbs with the same Korean and Chinese tones, as well as ten types of medicinal herbs with the same Chinese notes,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on the subject of “Homonymy in the Naming of Medicinal Plants.” No plant is nameless, only we did not know their names. Through our work,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reasons and implications behind the naming of the drugs and gained a lot of knowledge about the medicinal plants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the ten types of Chinese medicinal herbs, which have become known to be the same as the Chinese phonetic alphabet, is a fir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thus rewarding as a researcher.

      • KCI등재

        박남수 시의 디아스포라적 특성 고찰

        남기택(Nam, Gi-tae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고는 미주지역 재미한인문학을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의 한 형태로 간주하여 접근하였다. 디아스포라문학에 대해서는 다양한 범주 설정이 가능하다. 오늘날 디아스포라의 양상 자체가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바 미주지역 이민과 그 문화적 부산물인 재미한인문학 역시 넓은 의미에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형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박남수는 이주 이후에도 변함없이 생의 본질을 묻는 실존적 탐구를 지속하였다. 그 과정에서 디아스포라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역시 보여주었다. 재미한인문단의 실정과 그에 관계되는 박남수의 문학적 이력 자체는 박남수 시를 미주지역 디아스포라문학으로 읽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전제가 된다. 이주 이후 박남수 시세계에는 인종과 공간의 다양한 경계 양상이 서로 충돌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도의 인종과 공간 지평은 결과적으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운명과 유비되면서 특유의 문학적 지평을 형성하게 된다. 무엇보다 디아스포라적 사건과 장소의 형상화 양상은 한민족 디아스포라문학의 관점에서 주요하게 조명되어야 한다. 박남수 시는 한민족 디아스포라와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이 여전히 구성적인 것이라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박남수 시는 재미한인문학이 전유해야 할 문학적 주제나 정체된 문학장 메커니즘의 활성화 방안을 제공한다. 재미한인문학 연구는 국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의적 의미를 지닌다. 재미한인문학장은 민족국가 단위로 설정되었던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민족공동체에 대한 탈근대적 사유를 가능케 하는 물리적 기제일 수 있다. 이처럼 박남수 시는 시인의 삶으로부터 시적 주제에 이르기까지 미주지역 디아스포라문학을 대표하는 실정적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analyzes the Park Nam-soo’s poetry in the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The recent growth in the Korean literature’s publication abroad demands the perspective of diaspora in the Stat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various levels of meanings of the Park Nam-soo’s poetry published in light of the Korean diaspora. The topics of Park Nam-soo’s poetr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the search for the placeness. It is related to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and the identity questions too. Sorrow or sadness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home countries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Park Nam-soo’s poetry are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diaspora: the hardship of the immigrant lives, the identity questions, and the search for the ethnicity. Diaspora involves not only the direct territorial immigration to another country, but also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culture. Diasporic event is a key feature of the immigrant situation in which the experiences in the ethnic ommunity still continue to influence the immigrants. Especially, LA Riots of 1992 i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Such event inevitably results from diaspora. The Korean-American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iasporic meaning of the social attitude. The Korean-American poetic literature involves the systemic imposition of the alien’s field of literatur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meaning of the space and place. Its typical examples are the poetic attributes which are the appropriate spirit of the immigrant lives and ethnic identity.

      • KCI등재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 남별궁(南別宮)의 공해적(公?的) 역할과 그 공간 활용) - 장서각 소장 "소공동홍고양가도형"."사대부가배치도형"의 분석을 통하여 -

        정정남,Chung, Jung-Nam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건축역사연구 Vol.18 No.4

        No.87 Sogong-dong where is the Chosun hotel stand. There was the Nambeol-gung(south ern royal villa) which had been a reception hall for enboys of the toadied country before Hwangudan?丘壇 being set up in the year 1897. The site of the Nambeol-gung was Gyeongjeong慶貞 princess's a lot for house in the early 15th century. But after princess's death, it occurred property dispute between her son and four daughters. As a result of the dispute, a lot and a house of all the princess's properties reverted to the government. At reverted this lot was established a big royal villa in the year 1583 and that royal villa was granted to Uian prince. The villa reverted to the government again when the Uian義安 prince was dead in 12 years old by an epidemic. After the Imjin Invasion壬辰倭亂, another houses and buildings got to be role as a palace because of all the palace in the capital was burnt down to ashes. Among others Nambeol-gung was brought into play as the royal audience chamber. As well as, the villa became brought out role as a reception hall for enboys of the toadied country instead of a damaged reception hall the Taepyong-gwan太平館. In period when the envoy didn't come, the Nambeol-gung was used to extraordinary office of government like Dogam都監. This situation is to mean that the Nambeol-gung is not the royal villa any more. Because of the Nambeol-gung was built as a royal villa, that spaces were composited like space of house and palace. But this spatial composition and spatial name were not fit to hold a ceremony of government office. After all, Nambeol-gung was used change only the spatial name conform to ceremony of office keep up the spatial composition.

      • KCI등재

        제주 4ㆍ3을 기억하는 방법 -제주 4ㆍ3평화기념관을 중심으로

        남경우 ( Nam Kyoung-wo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4ㆍ3을 지칭하는 이름은 다양했다. 그리고 다양한 이름은 각자의 방식으로 4ㆍ3을 기억한다. 4ㆍ3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대표적인 장소인 제주4ㆍ3평화기념관은 4ㆍ3을 어떠한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제주4ㆍ3평화기념관은 스토리텔링의 형태를 취하며 4ㆍ3을 기억하였다. 그러나 과거에 ‘폭동’으로 4ㆍ3을 기억하는 방식이 지배적 담론으로 자리 잡은 후였고,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서 국가가 4ㆍ3을 기억하는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화해와 상생’을 강조하는 담론이었다. 4ㆍ3을 화해와 상생으로 기억하고자 하는 방식은 화해의 주체와 화해의 과정에 대한 고려가 없는 단계적 도약을 상정하고 있다. 이것은 4ㆍ3을 기억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용서를 강요하는 것이며, 나아가 4ㆍ3의 기억을 현재가 아닌 과거에 묶어두는 결과를 야기한다. 4ㆍ3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분단체제 속에서 드러나는 분단서사의 전형적인 양상이다. 분단체제의 강력한 자장 속 피해자들은 진실을 규명하고 완전한 신원을 이루는 것을 쉽게 체념할 수 있다. 그러나 4ㆍ3이 기념관이 말하는 것처럼 화해와 상생, 그리고 평화로 나아가는 길로 기억되기 위해서는 4ㆍ3에 대한 ‘고발’과 ‘동정’의 목소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의 4ㆍ3은 어떤 하나의 이름으로 고정되지 않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많은 사람이 4ㆍ3을 다양하게 기억하는 방식, 다양한 이름과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할 때, 4ㆍ3의 진정한 청산과 치유, 나아가 분단체제라는 문제적 구조의 해체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names referring to 4 3 and looked at how the names remember 4 3. On the extension line, Jeju 4 3 Peace Memorial Hall, which is a representative place to memorize and memorialize 4 3, tried to examine how 4 3 are remembered. Jeju 4 3 Peace Memorial Hall tried to reveal the truth of 4 3 through the way of story telling. However, in the past, the way of memorizing 4 3 by ‘riot’ became the dominant discourse, an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factors did not completely remove the state from the way of memorizing 4 3. The representative case was the discourse emphasizing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The way to memorize 4 3 as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assumes the leap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reconciliation and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This forces the forgiveness of those who want to memorize 4 3, and it also results in keeping memories of 4 3 bound to the past, not to the present. This perception of 4 3 is seen as a typical aspect of the division narrative revealed in the division system. In the powerful structure of the division system, the victims of 4 3 can easily forget to identify the truth and achieve full identity. In the division system, it is safe to live without telling 4 3. However, in order to be remembered as a path to peace and reconciliation and peace, it is necessary to have a voice of ‘accusation’ and ‘sympathy’ that can overcome the divis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current 4 3 does not have to be fixed to any one name. When many people memorize 4 3 in various ways, when various names and various voices coexist, it will be possible to dismantle the structure of division system.

      • KCI등재

        Nam’s Method에 의한 下顎顆頭 및 頸部 骨折 處置 (II)

        Il Woo Nam(南日祐)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6 No.1

        It is very difficult that the fractured condylar head and upper condylar neck have to be reduced and immobilized properly. The reduction and fixaton of the fractured those bones are so difficult to be reduced and fixated that many oral surgeons are trying to study on how to operate an adequate reduction and fixation. In spite of endeavor, lots of fragments of the fractured condylar heads frequently have been removed as so-called condylectomies because complexities of the surrounding anatomical structures make adequate reductions and fixations impossible. Thus the author has developed a new method named Dr. Nam s method in terms of oblique osteotomy, interosseous wiring extraorally, and replantation by which I have successfully treated 48 patients with fractures of the condylar head or upper part of the condylar neck of the mandibles since 1976. In order to reduce and immobilize those fractured, firstly, oblique osteotomy at the affected ascending ramus of the mandible was preceded, and secondly, the separated posterior part of the ascendingramus and fractured condylar head were carefully removed out from the body to be reduced and immobilized together extraorally, and lastly, replantations were made at the same sites.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1. The author successfully has treated 48 patients with the condylar head or upper condylar neck fractures by using Dr. Nam s method. 2. No intermaxillary fixation or less than 1 week intermaxillary wiring was needed after surgery. 3. The normal mouth opening and closing, and facial appearnaces could be observed in 1 month aft er surgery. 4. Traumatic injury for instance, automobile accident, was one of the commonest causes of fractures of the condylar head and upper condylar neck. 5. The features of those fractures were type I; one single fragment of upper condylar neck, Type II ; oblique. single fracture from the inner condylar head to its articular surface, and type III ; fractures with 3 pieces condylar head in the order.

      • KCI등재

        남용익의 <독사시장편삼백이십오운(讀史詩長篇三百二十五韻)>에 대하여

        이남면 ( Lee Nam-myon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7

        본고는 남용익의 <讀史詩長篇三百二十五韻>시를 고찰한 것이다. 이 작품은 중국의 太古시대부터 淸나라 초기까지 흥망성쇠의 변천 과정을 시대 순으로 읊은 칠언고시로, 총 325운이고 650구이며 4,550자에 이르는 장편 대작이다. 창작 동기는 남용익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아울러 勸善懲惡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하였으며 명말청초의 암울한 현실을 역사의 반추를 통해 위안 받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의 특징은 儒家的 이념과 사유에 입각한 역사 인식을 보여주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유가의 인물을 칭송하고 異端을 배척했으며, 蜀漢이 漢나라의 정통을 이은 것으로 기술했고, 곳곳에서 尊王攘夷 의식을 드러내었으며, 秦始皇과 隋煬帝 등 폭군을 비판한 데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표현의 특징은, 우선 장법 면에서 褒와 貶의 반복과 그 거리 조절을 통해 긴장과 이완을 반복함으로써 단조로움을 피하였고, 역사의 전환기마다 과거와 새 시대를 연결하는 ‘聯’을 배치하여 그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였다. 시어의 사용은 ‘哀’, ‘恨’, ‘傷’ 등 감정 표현의 글자를 사용하여 비판의 효과를 높였으며, 동물과 관련한 일화를 실패와 몰락 등의 표현을 위해 원용하는 한편 고인의 목소리를 그대로 드러내어 역사를 현장감 있게 생생히 보여주었다. 구법 면에서는 7언구가 5언구에 비해 더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는 장점을 적극 활용하였다. 이 시는 다양한 역사 기술의 방법 중 하나를 제시해주었고, 家學을 통해 전승된 남용익의 역사 인식이 조선 후기 문인 학자들에게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만 긴 편폭에 너무 많은 역사를 압축 제시하여 일별하기에 쉽지 않고 그 내용 또한 난해하다. 결국 이런 방식의 역사 시 창작이 후대에 계승되지 못한 것은 이 작품의 한계라고 할 만하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Nam Yong-ik's Doksasijangpyeonsambaekisipowoon(讀史詩長篇三百二十五韻), which is a long masterpiece comprised of total 325 Woons, 650 Gus, and 4550 letters. It chronologically depicts the history of China from ancient times to early Qing throughout its rise and fall. Nam was motivated to create this work by his interest in history. He also intended to encourage good and punish evil. Witnessing the reality of the central plains of China being taken over by Qing considered as barbarians, he presumably wished to get consolation for the present from the repeating nature of history. In terms of content, this work is characterized by historical awareness based on Confucian ideas and thinking, which is verified his praising Confucian figures and excluding the heresy, stating that Shu Han by Liu Bei inherited the legitimacy of Han, revealing his consciousness of revering the kings and excluding the barbarians throughout the work, and criticizing tyrants including Qin Shi Huang and Emperor Yang of Sui. The work was then examined in expressive methods. As for its sentence styles, the work repeated Praise(褒) and Censure(貶), regulated the distance, and used the technique of creating and relaxing tension in order to avoid monotonous and dull quality that could be found in long poems. Describing history during a transition period, he placed a "stanza" connecting an old era with a new one to ensure a natural flow. As for his use of poetic words in the work, he intentionally used letters expressing emotions such as ‘哀(sad)’, ‘恨(resentful)’, and ‘傷(hurt)’ to show his criticism effectively. In his work, the author let the dead speak in their own voices to depict history vividly with a sense of realism or used animal expressions and ancient events related to animal frequently in a bid to increase the expressive effects of failure, fall or its sign. In the use of phrase, he made active use of advantages of seven-character poem form which would not be expressed in a phrase of five characters. This work holds significance by proposing one of various approaches to historiography and having impacts on writers and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rough the transmission of Nam's historical awareness. It is, however, too long and presents too many historical events in such a compressed manner, which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ts content and get a glimpse of it. As a result, poems written in this style were not transmitted to later generations,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work.

      • KCI등재

        호남평야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

        김상수,이준희,남정권,최원영,백남현,박홍규,최민규,김정곤,정광용,Kim Sang-Su,Lee Jun-Hee,Nam Jeong-Kwon,Choi Weon-Young,Back Nam-Hyun,Park Hong-Kyu,Choi Min-Gyu,Kim Chung-Kon,Jung Kwang-Yong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uppl1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품종별 적정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2002\~2004$년에 평야지인 익산에서 조생종인 삼천벼, 중생종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남평벼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비율은 삼천벼는 출수 후 $50\~55$일, 화성벼 $55\~60$일, 남평벼 60일 이후수확에서 높았고 현미천립중은 삼천벼는 출수 후 $50\~55$일, 화성벼 55일, 남평벼 $55\~60$일 수확에서 무거웠다. 2. 쌀 수량은 삼천벼는 출수 후 $45\~50$일, 화성벼 $50\~55$일, 남평벼 $55\~60$일 수확에서 많았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는 출수 후 45일, 화성벼 50일, 남평벼 $55\~60$일 수확에서 많았다. 4.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완전미 수량, 쌀 품위, 단백질 함량, Toyo 식미치 등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삼천벼는 출수 후 52일(적산온도 $1,213^{\circ}C$), 화성벼는 출수 후 56일$(1,221^{\circ}C)$, 남평벼는 출수 후 60일$(1,207^{\circ}C)$경으로 생각된다.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rice quality and the factors as the proper harvesting time of rice were examined from 2002 to 2004 at Iksan in Honam plaine area.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Samcheonbyeo (Early maturing one). Hwaseongbyeo(Medium maturing one) and Nampyeongbyeo(Mid-late maturing one). The ripened grain rates were high when the harvesting dates after heading were between 50 to 55 days,55 to 60 days, and 60 days for Samcheonbyeo, Hwaseongbyeo and Nampyeongbyeo, respectively. The yield of rice were higher when harvested 45 to 50 days, 50 to 55 days, and 55 to 60 days after heading for Samcheonbyeo, Hwaseongbyeo and Nampyeongbyeo. The highest yields of head rice were obtained when harvested 45 days after heading, 50 days and 55 to 60 days for Samcheonbyeo, Hwaseongbyeo and Nampyeongbyeo. In conclusion, in Honam plain, taking the head rice production, rice quality level, protein content and palatability of rice into account, the best harvest times were found to be 52 days(accumulated temp. : $1,213^{\circ}C$) after heading, 56 days$(1,221^{\circ}C)$, and 60 days $(1,207^{\circ}C)$, for Samcheonbyeo, Hwaseongbyeo and Nampyeongbyeo, respectively.

      • KCI등재

        영등할머니 호칭의 의미와 성격

        남향(Nam, Hya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3

        영등할머니는 음력 2월의 계절풍을 人格化한 집안의 신령으로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하늘에서 내려와 지상의 가정에 머물다가 15일이나 20일에 다시 올라간다. 그녀가 來訪하는 음력 2월은 겨울에서 봄으로 변화하는 환절기이며, 꽃샘추위가 간헐적으로 찾아오는 불안정한 시기이다. 전국 각지에서 전하는 영등할머니의 호청은 ‘영등’?‘영동’?‘영두’?‘영등지석’?‘이월할머니’?‘이월’?‘이월영등’?‘이월제석’?‘풍신할머니’?‘제석할머니’?‘제석’?‘손님’?‘손’ 등 매우 다양하다. 여러 호칭 중 핵심이 되는 낱말은 ‘영등’, ‘이월’, ‘풍신’, ‘제석’, ‘손님’ 다섯 기~I로 집약된다. 손님을 제외하고 나머지 호칭에는 각기 ‘할머니’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여기서의 할머니는 자애로움 보다는 변덕과 까탈이 심한 고약한 성미의 노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성껏 위하면 집안의 화평과 농사의 성공을 보장받을 수 있다. 영등은 오늘날 민속 상에서 음력 2월의 변화무쌍한 일기를 표현 할 때나,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는 물때를 가리키는 용어로, 혹은 영등할머니 신앙 의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신체 및 제물 등 곳곳에 반영되어 있다. ‘비영등?바람영등’, ‘영등시?영등뒷시’, ‘영등대’, ‘영등까꾸지’가 바로 그 예이다. 파편에 불과하지만 역사문헌 자료에서도 그 흔적을 확인 할 수 있다. 영등은 연등(然燈)?영동(靈童)?영등(迎燈?靈登?嶺登?盈騰)으로 기록되어 당대에도 이 신격을 대체로 영등 혹은 영동이라고 발음했음을 알 수 있다. 영등을 제외한 ‘이월’, ‘풍신’, ‘제석’, ‘손님’은 신령의 특성을 보여주는 열쇠말 역할을 한다. ‘이월’은 일상의 풍신이 아닌 음력 2월에만 내방하는 신령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풍신은 ‘虛空=天’과 직접 관계된다. 민간신앙에 불교 개념이 수용되어 그 格을 높이듯이, 영등할머니는 불교의 天王인 帝釋과 관련을 맺는다. 또한 주기적으로 각 가정에 찾아오는 來訪神이기에 귀한 손님으로 관념한다. 이를 종합하면 이 老婆神은 바람을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風神이다. 그러나 이 신령은 일반적 의미 또는 廣義의 풍신이 아닌 2월의 계절풍만 관장하는 ‘2월의 풍신’으로 그 특성을 한정시킬 수 있다. 본질적으로는 농사의 준비가 시작되는 2월이란 시간과 맞물리면서 이 老婆神은 중요한 의미와 기능을 지닌 농업신으로 확장된다. 풍농에 대한 염원을 현실화 하려는 인식과 열망 속에서 바람은 신격화의 과정을 겪고 마침내 민속상에서 영등할머니로 태어난다. Yeongdeung Grandma is a personalized home goddess of the wind of February by the lunar calendar. On the first day of February by the lunar calendar, she descends from the heaven, dwells in the world, and ascends back on the 15th or 20th day of the same month. The lunar February when she visits us is a transit from winter to spring, and also is an unstable time when the cold of the late winter or early spring visits us intermittently. The name of Yeongdeung Grandma inherited across the nation is diverse, such as Yeongdeung, Yeongdong, Yeongdu, Yeongdeungjiseok, Iwolhalmeoni, Iwol, Iwolyeongdeung, Iwoljeseok, Pungsinhalmeoni, Jeseokhalmeoni, Jeseok, and Sonnim, totaling five names. Except Sonnim, the other names have a modifier, Halmeoni, giving them the image of an old lady goddess. Of them, the most general name is Yeongdeung. When describing the weather of the lunar February, the term refers to tide time in the southern coast, and divine names are reflected in components of the Yeongdeung Grandma faith, namely, the body and ritual offerings. Typical divine names include Bi Yeongdeung, Bibaram Yeongdeung, Yeongdeung Si, Yeongdeung Dwitsi, Yeongdeung Dae, and Yeongdeung Kkkkuji. Also, historical records confirm that home goddesses worshiped in Gyeongsang-do in the lunar February include Yeongdeung (然燈), Yeongdong (靈童), Yeongdeung (迎燈), Yeongdeung (靈登), Yeongdeung (嶺登), and Yeongdeung Jeseok (盈騰帝釋). Iwol, Pungsin, Jeseok, and Sonnim are those names which highlight typical characters of Yeongdeung. Iwol emphasizes time, and is concentrated in the Chungcheong-do region. Pungsin is the Chinese characters of wind goddess, and is widely used in Gangwon-do. Jeseok is a name that massively used in the inland areas in the vicinity of Mt. Sobaek and in coastal areas in Gyeongsang-do, highlighting Yeongdeung as a heavenly deity. Lastly, Sonnim is a name that symbolizes a guest who stays at home for a while and leaves. Putting together all of this, Yeongdeung Grandma is the recognition of the natural phenomenon wind, which has long remained in our ancestors" consciousness, and furthermore is the Old Lady Goddess who can adjust and control the w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