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국내외 학술 및 행사 관련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1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치아줄기세포은행 운영위원회 학술집담회 개최 일시: 2011년 6월 16일(목) 오후 7:00 장소: 서울 성모병원 6층 세미나실 605호(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505) 주제: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의 개발 현황과 골수 줄기세포를 이용한 안면골재생의 임상적용 행사일정 1.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의 개발현황 정용준박사(우리들생명과학연구소 소장 2.골수줄기세포의 임상적용 이준 교수(원광대학교 치과대학)

      • KCI등재

        SURGICAL REPAIR OF FACIAL PALSY BY TRANFER OF TEMPORALIS MUSCLE-FASCIA AS A CIRCUMORBITAL SLING

        정필훈(Pill Hoon Choung),정영택(Young Taek Choung),양수남(Soo Nam Yang)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1 No.2

        미세수술방법의 발달로 인해 중추에서 말초까지의 안면신경노출이 가능해졌다. Fallopius가 안면신경에 대해 발표한 이래 안면신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되어서, 현재는 여러가지 방법의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고, 지금도 연구가 진행중이다.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질 수 있다. 첫째는 현미경을 이용한 미세수술방법에 의한 안면신경자체의 수술방법이고 둘째는 신경봉합, 신경이식등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신경, 근육의 마비시에 행하여지는 안면신경마비의 재건술 ( reconstruction of facial palsy)이다. 본원에서는 55세된 여자환자가 안구동통및 안면추형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검사결과 안면신경마비로 인한 안검운동장애로 각막염증세 및 관골결손으로 인한 안면추형으로 진단을 내리고, 측두근 근막단위를 상하 안검사이로 돌려서 안검운동재개 및 레진으로 관골모형을 만들어 이식하여 안면추형을 양호하게 교정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Le Fort Ⅲ Midfacial Advancement via subcranial approach in Crouzon s syndrome patient

        정필훈(Pill Hoon Choung),이정훈(Jeong Hoon Lee),채윤필(Yun Pill Chae),민병국(Byoung Kuk Min),안희용(Heui Young An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3 No.1

        충남대학병원 치과ㆍ구강외과학 교실에서는 크루즌 증후군 환자에 있어서 Le Fort Ⅲ osteotomy 술식을 이용한 전 안면골 전진성형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4.5세 남자로 전형적인 크루즌 증후군인 두개골의 조기융합, 심한 안구돌출증, 상악골 후퇴증 및 3급 부정교합, 그리고 비골 및 관골의 저성장을 보인 환자로 신경외과와 상의한 결과 아직 신경외과적 이상은 보이지 않아 구강외과적 수술만 시행하였다. 수술은 상악골, 관골, 비골 및 안와주위뼈를 동시에 절단하여 한덩어리로 전진시킨 후 (Le Fort Ⅲ osteotomy) 전진시킨 만큼은 늑골이식을 하였으며 수술후 회귀성을 줄이기 위해 Calcitite block 및 silastic을 miniplate등으로 고정하였으며 이 모든 안면골 절단 술식은 두부 절개술만을 통하여 하였으므로 얼굴에 전혀 수술자국이 없고 구강내 절개도 하지 않아 수술후 감염의 위험도 줄였다. Le Fort Ⅲ osteotomy 술식은 심한 출혈로 인한 사망, 기도폐쇄, 실명 등의 위험이 있고 뇌막 감염 등 술후 감염의 합병증 등이 있으나 수술후 환자는 별 합병증 없이 안구돌출증이 사라진 현저한 안모 개선과 함께 정상적인 교합관계를 지니고 코로 숨쉬기 힘드는 증상도 사라졌다. 이번 수술은 비골까지 포함한 전안면골을 절단하여 전진시킨 시술로서, (Classic Le Fort Ⅲ osteotomy of Tessier Ⅱ method via subcranial approach) 대개는 두부절개와 함께 안검하절개 및 구강내 절개를 동시에 하는 것이 종래 방법이었으나 최근 방법에 따른 두부절개술만으로 수술에 성공하여 안면에 반흔을 남기지 않고 구강내 절개에 따른 감염의 위험을 줄일수 있었다는 점과 어른에서 보다도 수술에 어려움이 많은 4.5세 소아에서 성공하여 이런 특수기형아의 안면 성형술에 대한 조기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저자등은 문헌적 고찰과 함께 증례보고를 하는 바이다.

      • KCI등재

        몽골 구강악안면외과의 역사와 현황

        허진영(Jin Young Huh),게.나착도르지(Natsagdorj Gochoo),이충국(Choong Kook Yi)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6 No.6

        Mongolia is a huge, landlocked, middle-Asian country bordering Russia in the north, and China in the south. Mongolia was under socialism from 1921 to 1990, and its political system has started moving toward capitalistic democratism in 1990. The history of the Mongolian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incipient period(1956~1971), the period of early development(1971~1981), the period of active development(1981~1991), and the period of reformation(1991~). Mongolian Oral & Maxillofacial Surgery had been developed by the cooperation of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before the 1990s, but the role of Korea, Japan, and western countries has been increasing from the 1990s. In Mongolia Oral & Maxillofacial Surgery is well recognized to the people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pecialized medical field. There are specialized departments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in State Central Hospital, Child & Maternal Research and Clinical Center, and Oncology Center in Ulaanbaatar. Now, the basic knowledge and surgical technique of the Mongolian Oral & Maxillofacial Surgeons are satisfactory. But because of the difficult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there is a shortage of surgical instruments and materials, and acquirement of new knowledge is not easy. In 1998 the Mongolian Association of Oral & Maxillofacial Surgeons was established and its members want to have international relationship to keep up with the new medical information. Mongolia and Korea have ethnic, linguistic and cultural similarity, so the inter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Mongolian and Korean Oral & Maxillofacial Surgeons are recommended to make a beautiful one-world.

      • KCI등재

        Surgical approach to the skull base

        이종호(Jong Ho Lee),박광(Kwang Par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1 No.4

        두개저는 그 해부학적 특성상 접근이 힘들어 이 부위에 발생한 종물의 외과적 절제는 고도의 수기를 요한다. 두개저의 외과적 접근은 병변의 침범 정도, 종물의 절제 가능성 여부 그리고 외과적 절제에 의한 치료 가능성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저자들은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다양한 두개저 접근법을 검토해 보았으며, 1990년도부터 1992년도 까지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두개저부에 발생한 양성 및 악성 병변으로 진단된 5 증례에서 두개저 접근 방법과 이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았다. 잘 피낭된 외경막 양성병변의 경우 구내접근법을 이용하였으나, 재발된 양성종양이나 과도하게 침범한 악성종양의 경우는 응용된 이하선접근법과 안면골 절단술올 이용한 복합노출에 의해 술부의 광범위한 시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증례들을 통해 두개저부 병변의 외과적 접근에 대해 다소의 지견을 얻었으나, 확실한 외과적 원리의 정립을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수술경험례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Resection of a tumor located at the skull base and/or pterygomaxillary area requires an experienced operative technique because of limited surgical access and neighboring critical neurovascular strutures. The curability, possibility of complete mass excision and the degree of tumor invasion should be assessed prior to selecting any method of skull base access. In this paper, we report five representative cases of surgical access to the skull base which present the radiological work-up, operation and the postoperative results. Various surgical approaches combined with facial osteotomi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tumor location and its anatomical relationship. With the individualized surgical technique, a direct approach to the tumor with minimal morbidity was possible. Literature related to our cases were also reviewed.

      • KCI등재

        Frontal bone advancement in crouzon s disease

        정필훈(Pill Hoon Choung),채윤필(Yun Pil Chae),이정훈(Jeong Hoon Lee),김관태(Kwan Tae Kim),염진영(Jin Yeong Yeo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8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3 No.2

        1950년 Gillies가 최초로 두개안면부 기형환자를 Le Fort Ⅲ 골절단술로 치료에 성공한 이래로 두개 안면부 기형의 교정수술이 많이 발전해 오고 있다. 크루즌 질환은 선천성 기형으로서 두개골 봉합선의 조기 융합으로 인하여 전두골이 밋밋하고 두정부가 뾰족한 모양을 나타내고 하악골을 제외한 안면골의 발육부전으로 인하여 안구 돌출증 상악골후퇴증, 3급 부정교합 및 안면중앙부가 함몰된 특징적 소견을 보인다. 한편 기능적 장애로는 두개강 용적이 적어 뇌성장에 따라 뇌압증가 현상을 보여 때로는 실명, 난청, 두통, 현기증등이 나타난다. 사회심리학적으로 이러한 환자는 특히 성인이 되어 가면서 학교 및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정서적 불안을 야기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조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환자는 8세된 여아로서 전형적인 크루즌 질환 소견을 보였으며 두통 및 현기증을 호소하여 뇌압이 증가된 상태였다. 그러나 상악골 후퇴증이 심하지 않은 상태여서 뇌압감소를 위해 신경외과와 공동으로 전두골 전방이동술을 시행하였다. 관상절개선을 통해 두피를 박리한 후 전두골 및 Orbital roof와 관골일부를 두개내 경로를 통하여 골절단술을 시행하고 동시에 전진시켜 골이식과 함께 metal plate로 고정하였다. 두개골 내면은 매우 불규칙하게 요철이 있어 뇌압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와상연의 전진만으로 안구 돌출증의 교정이 부족하여 안와 하연에 Silicone을 이식하였다. 이러한 수술의 합병증으로는 심한 출혈 및 기도 폐쇄로 인한 사망, 실명, 뇌손상, 뇌염 등이 있으나 별다른 합병증은 없었으며 개선된 안모에 대하여 환자 및 보호자가 만족하였으며, 안면 기형으로 인한 심미적, 기능적, 정서적 장애 제거에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증례를 통해 기형아에 대한 조기 치료의 가능성과 두부 및 안면부 기형시 구강외과 영역에서도 안와 및 이마 그리고 두개골 성형술에 대한 필요성도 동시에 고려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Computed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masticator space infection: report of cases

        김규식(Kim Kyoo Sik),민병일(Min Byong Il),이진규(Lee Jin Gew)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6 No.4

        저작근극은 심경근막의 표재성 층이 분지하여 4개의 저작근-측두근, 교근, 내측 익돌근, 외측 익돌근-과 하악골체의 후방 및 하악지를 둘러싸게 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여기에는 소성 결합 조직과 지방이 포함되어 있어 치성 감염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저작근극 감염은 하악 대구치-특히 제3대구치-의 감염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다. 그 외에도 하치조 신경의 전달 마취시에 생길 수 있는 감염, 하악골에 대한 외상 등이 저작근극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저작근극 감염의 특징적 증상으로는 아관긴급, 동통 및 종창 등을 들 수 있다. 아관긴급은 대개 교근 및 내측 익돌극에 대한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은 다음과 같은 상을 보여 주어 저작근극 감염의 정확한 진단 및 처치에 결정적 도움을 줄 수 있다. 1) 단순한 염증 변화의 존재 2) 골수염의 존재 3) 다른 극으로의 다발적 병발 4) 농의 존재 및 위치

      • KCI등재

        말초화 치성 섬유종

        이재휘(Lee Jae Hwy),김진(Kim Ji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3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9 No.4

        The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has been defined in the WHO classification as a peripheral odontogenic tumor representing the extraosseous counterpart of the central odontogenic fibroma. The lesion is an uncommon, benign, unencapsulated, and exophytic gingival mass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The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can occur at and age, but is most common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The sites for occurrence are equally divided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but most occur anterior to the molar region. Clinically almost all the lesion appear as painless, sessile, firm elevated masses on the gingiva, especially interdental papilla. Histologically, odontogenic epithelium may be found within the gingival mass, but appears to play a minor or inactive role when compared with the fibrous component. The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contains islands and/or strands of odontogenic epithelium ranging form scanty to numerous Mineralized material or matrix can be found throughout the lesion. Treatment for the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is surgical exci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port three cases of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to evaluate the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and peripheral ossifying fibroma

      • KCI등재

        Neoadjuv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al infusion and cisplatin for locally advanced, untrea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김명진(Myung Jin Kim),김경원(Kyoung Won Kim),조용석(Yong Seok Cho),정호균(Ho Kyun Chung),방영주(Yung Jue Bang),허대석(Dae Seog Heo)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3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19 No.4

        저자들은 1985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던 두경부의 국한성 진행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중 이전 치료력이 없는 28예를 대상으로 5-fluorouracil 지속주입과 Cisplatin을 이용한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3주기의 복하화학요법 시행후 전체 관해율은 85.7%로, 7.1% (2예)에서 완전 관해를, 78.6% (22예)에서 부분 관해를 보였다. 2. 전체 환자의 2년 생존율은 50.0%, 생존기간의 중앙치는 16개월이었다. 3. 부작용은 오심과 구토가 전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외에도 백혈구감소증이 46.4%, 탈모증이 42.8%로 흔히 관찰되었지만 부작용과 연관되어 치료를 중단한 경우 1예였다. 4. 복합화학요법 후 7예에서 수술요법이, 15예에서 방사선요법이, 2예에서 수술과 방사선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였으며 4예에서는 더 이상의 치료를 거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5-fluorouracil 지속주입과 cisplatin의 2제 복합화학요법은 매우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존율 및 근치율 증가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randomized controlled study에 의한 철저한 추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측두하악관절 장애에 대한 임상진단의 유효성 연구

        김형욱(Hyung Wook Kim),신성수(Sung-Soo Shin),김종식(Jong-Sik Kim),김기영(Ki-Young Kim),김윤지(Yoon-Ji Kim),홍순민(Soon-Min Hong),천세환(Se-Hwan Cheon),박양호(Yang-Ho Park),최원철(Won-Cheul Choi),박준우(Jun-Woo Par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3 No.4

        Purpose: The diagnostic relevancies and characteristics and of clinical methods in the diagnosis of internal derangement (ID) were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m with thos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ethods: 75 patients (150 temporomandibular joints; TMJs), who were suspected to have ID by clinical diagnoses, were included. Clinical diagnoses including mouth opening pathway and TMJ sound were conducted and MRI takings were done. Accuracies,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predictive values,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clinical diagnosis, mouth opening pathway, and TMJ sound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diagnoses with MRIs. Results: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linical diagnosis were 59.3%, 83%, 49%, 81%, and 51%. They were 59%, 82%, 25%, 73%, and 35% for mouth opening pathways. Although deviation was somewhat accurate for representing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DDWR), other discrepancies on opening pathways were not clinically relevant.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licking sounds were 85%, 49%, 78%, 85%, and 37%. TMJs with crepitus were only three. But all TMJs with crepitus were diagnosed to have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DDWOR). Conclusion: When compared with diagnoses with MRIs, clinical diagnoses for ID were not so accurate. But they were suitable for screening tests for ID. Opening pathways and TMJ sounds were not so relevant in the diagnoses of IDs and so it was concluded that considerations for other factors must be included in the diagnoses of 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