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유범상(Yu, Bem-Sang),이현숙(Lee, Hyun-S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8 No.-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 현상에 관한 비판적 성찰이다. 인문학자들의 2006년 인문학위기 선언이 있었고, 얼마 지나치 않아 현재 인문학의 열풍이라고 할 정도로 상황이 바뀌었다. 정부의 인문학지원정책과 인문학단체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과연 인문학은 위기를 극복했을까?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의 열풍의 원인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인문학대중화의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가 ‘함께 비판하고 성찰하는 집단적 활동’이며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공동체에 개입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활동의 주요 영역이 독서동아리이며 독서동아리는 시민교육의 한 유형이라고 본다. 연구결과 한국의 인문학대중화는 ‘풍요속의 빈곤’현상을 보였다. 정부의 인문학 대중화사업은 ‘연구비수주형의 행사성 인문학’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는데, 대체적으로 성과와 업적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독서동아리와 관련하여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고, 지속적인 독서동아리 활동을 위한 인프라구축이 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정부의 지원과 상관없이 시민사회에서 자발적으로 인문학을 실천하는 인문학단체의 경우 인문학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연구자 중심의 교양교육이었고, 예산부족으로 인해 고사직전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인문학독서 동아리의 관점에서 인문학대중화의 활성화 방안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 whole countray seems to be in the grip of th Humanities f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Humanities the crisis in South Korea. Behind the phenomenon, there are government policy called Humanities Popularization and proactive effor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refor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auses and problems of the humanities boom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 perspective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Humanities is ’collective activities of criticism and reflection with citizens’. In addition study circles which aim at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must be the square of the activities. In consequence, Humanities popularization of South Korea is seen as ‘poverty midst plenty’ phenomenon. Government policy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would study be criticized because it was oriented achievements or output. In particular, there was a lack of support for reading clubs. There was negligent in infrastructure, such as leader training and programs, for enabled of ongoing reading clubs. In the case of civil society, Humanities clubs face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budget and they provides general knowledge education. Moreover, the member of the clubs consisted mainly the professional resear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forma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reading club.

      • KCI등재후보

        과학활동의 문화적 이해를 위한 전망

        이지훈(Lee Ji-H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2

        과학활동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이론적 틀을 검토해 본다. 먼저 과학과 예술을 이해하는 전통적인 인식들의 내용과 한계를 간단하게 짚어보며, 그 인식 유형의 유사성을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 인식 유형에 대한 반론으로 제기된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을 살펴본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과학을 수사학의 범주로 파악함으로써 과학을 일종의 문화 활동으로서 이해하는 관점을 확장해주었다. 하지만 그 관점이 전제하는 가설들은 중요한 문제점을 내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은 과학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의 대안적 가능성 몇 가지를 살펴보았다.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제기하는 과학담론의 수사학적 성격을 인정하되, 과학담론의 특수성마저 ‘담론’이라는 일반성 속에서 소멸시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을 넘어, 과학에게 고유하고 ‘합법’적인 담론 양상을 밝히는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사례들로서 수사학적 논증과 은유, 아이러니, 환유, 제유를 비롯한 비유법을 제시해 보았다. 이 사례들은 문화영역의 고유한 유형들일 뿐 아니라 과학활동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some theoretical schemes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Activities in a broad cultural context. Resuming concisely two main philosophical tendances on the science and art, we examine the post-modern theories. We suppose that the latter, as the counter critics of two tendencies, brings some useful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science in a broad cultural context. And we propose some alternative conceptions on the rhetoric argumentation of science regarding the science as discourse activities, and the scientific tropology such as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and irony. Traditionally these are considered as pure cultural categories, but we could regard them as scientific categories as well, which reveal the original properties of scientific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기독교와 인성(人性)

        김충만(Kim, Chung-M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경성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건학이념으로 세운 기독교 대학이다. 따라서 경성대학교가 인성(人性)을 갖춘 지성인을 양성한다고 할 때 이는 기독교적 인성을 함양한 자로 교육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럼 기독교(성경, 하나님)가 목표하는 인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성취할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 기독교와 성경의 인간론을 살폈다. 기독교가 지향하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으나 죄로 말미암아 타락하여 하나님과 분리된 인간이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다시 회복되고 구원을 얻었고, 마침내 온전한 사람이 될수 있는 은혜를 입었다(에베소서 4:13-15). 하나님은 이를 성경을 통해 온전한 인성의 사람으로 만들어 가신다(디모데후서 3:15-17). 경성대학교가 채플(교목실)과 강의를 통해 성경을 가르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향후 경성대학교가 인성교육 특성화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이를 3장에서 더 발전적으로 제안해 본다. KyungSung University(in the following as KSU) is a christian higher institute founded on the faith of Christianity. The emblem that signifies KSU is to fully equip students with genuine christian Gospel. What are then those perspectives sheer based on Christianity (or, if differently put, God and the Bible) and how can we at KSU maximizely implant the perspectives on students? For this purpose in mind, starting with the second chapter, I extensively explored the human nature viewed from christian and biblical points. The status of our human beings drawn from Christianity delineates is the dismal helplessness when the first mankinds revolted against the goodness of God. The image of God in which we were created was lost and broken relationship with God ensued. However, the vicarious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made the lost image and broken relationship in and of us completely restored and guides us to grow up to "mature manhood" in Him (Ephesians 4:13-15 from ESV). By showing throughout the Bible, God completes "us in every good work"(2 Timothy 3:15-17). Biblically educating students at KSU in every good way is thus the very reason why KSU chaplain"s office and bible related lectures are readily available. In this sense, I want to make a further suggestion on the forseeable picture of KSU committed to building up students" sound character in the third chapter.

      • KCI등재후보

        기독학교 교목의 정체성과 사역 비전

        김충만(Kim, Chung-M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3 No.-

        경성대학교는 1955년 故 김길창 목사에 의해 ‘기독교 정신’으로 세워졌지만 건학 이념 보다는 대학의 성장과 발전이라는 현실적 목표를 추구해 왔다. 하지만 2014년에 경성채플과 기독교 정책과목들의 개설, 2015년에는 경성대학 교회를 설립하여 건학 이념 구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논문 2-3장에서는 이러한 사명을 감당하는 교목의 정체성과 사역에 대한 문헌 연구와, 교목실 사역을 돌아보았다. 특별히 2016년 2학기 경성채플을 수강하는 692명(성별/ 남–274/39.6%, 여–398/57.5%, 무응답–20/2.9%, 종교별/ 기독교-108/15.6%, 천주교-35/5.1%, 불교-102/14.7%, 무교-440/63.6%, 기타-7/1%)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플 평가와 만족도 분석을 통해 교목사역의 현재적 유의미성과 앞으로의 사역 비전을 제안한다. KyungSung University committed to ‘Christian Gospel’ was founded by the late reverend Gil Chang Kim in 1955. KyungSung has put more efforts on the highest standards of academic excellence over the last 60 years. Since 2014, several core classes focused on Christian Gospel were instituted through KS Chapel and Global KS. Celebrating 60th anniversary in 2015, KSU Church was officially dedicated to strengthen Christian Gospel and Campus Ministry. While treating in the 2nd and 3rd chapter of this paper, I introduce the office of KS Campus Chapel to answer for the identity and Christian ministry with further written studies. Particularly, I analyzed 692 students" questionaries of 2016 Second Semester (sex: male students 274 or 39.6%, female 398 or 57.5%, and none 20 or 2.9%; religion: Christians 108 or 15.6%, roman catholics 35 or 5.1%, buddhists 102 or 14.7%, atheists 440 or 63.6%, and none 7 or 1%). By this way, I want to suggest the present significance of and future tasks of Christian schools" campus chaplain ministry.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국어의 변화와 글쓰기 교육

        이순욱(Lee, Soon W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5 No.-

        이 논문은 교육과정의 틀을 갖추기 시작한 1950년대 이후 부산대학교 교양국어 교과목(교양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의 변천 과정을 검토하고, 교양필수 교과목 ‘열린 사고와 표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교육의 정체성과 교과 운영 방안,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교양으로서 대학국어의 정체성을 모색하기 시작한 1950년대 부산대학교 교재는 한국문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1960년대부터 문장작법과 관련된 내용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논문이나 실용문 작성과 관련된 내용을 강조하면서 1990년대까지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매체 지형의 변화를 고려한 문화적 글읽기와 글쓰기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2000년대 이후 설득과 협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말하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의사소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열린 사고와 표현’은 기존 교육과정에서 분리되어 있었던 말하기와 글쓰기를 통합한 교과목으로, 읽기와 쓰기, 토론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열린 사고를 지닌 교양인을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단순 기능 중심의 교육에서 나아가 실제 글쓰기와 토론 학습을 강화함으로써 인문교양교육의 목표와 의사소통교육의 본질을 달성하고자 했다. 이러한 취지에 걸맞게 대학 글쓰기 교육은 이해가능성, 진리성, 적합성, 진실성 등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텍스트를 읽고 쓰는 과정을 통해 존재에 대한 자각과 세계인식을 심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세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창의성을 발현하고 주체를 자각하는 글쓰기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which has played a key role in liberal arts educat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1950s, and debate the identity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latest subject and textbook of verbal communication course,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For the 1950s, while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was seeking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course was filled with pieces of Korean literature. For decades up to the 1990s,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mposition had been emphasized gradually, and often the cultural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position and the changes of media topography had been noticed. Since the 2000s, the university has been conducting communication education focusing on speaking and writing reflecting the social needs for persuasion and negotiation communication. “Open thinking and expression”, as one of the liberal arts courses, is a subject that integrates speaking and writing,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and aims to cultivate an open-minded citizen. We have to lead our students not only to strengthe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he actual writing and discussion but also deepen their awareness of existence and world awareness by reading and writing various cultural texts.

      • KCI등재

        테크노 휴먼 형상으로서 테크노 바디의 존재양식

        이수안(Lee, Su-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테크놀로지의 발달, 특히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은 몸에 작용하는 과학기술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몸, 즉 테크노 휴먼의 몸인 테크노 바디의 현존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제 몸은 정신과 육체의 이분법적 논의를 훨씬 뛰어넘어서 인간과 기계의 조응으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몸으로 등장하면서 몸 담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과 기술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인간 유형, 특히 새롭게 개념 규정되고 있는 몸에 대해서 테크노 인문학의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디지털문화를 중심으로 한 예시적 사례분석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을 중심으로 어떻게 감각활용이 집중화되고 중첩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테크노 휴먼의 존재양식에서 감각과 몸의 물질성(corporeality), 즉 신체성이 어떻게 조합되면서 드러나는지 살펴본다. 이로써 ‘지금, 여기(hier und jetzt)’에서 서서히 등장하고 있는 포스트휴먼을 주시한다. 이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존재증명인 몸이 테크노 휴먼의 몸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파악하고 테크노 인문학의 관점에서 몸 담론을 적용한 인간 존재양식 탐구가 긴요하다는 명제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especially digital technology open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techno-body as a new type of human body which is interlocking with machine in the techno-human era. This paper explores techno-body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humanities i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context of corporeality and the utilization of human senses. The techno-body i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in this paper; digital media techno-body, bio techno-body, hypersensual user and performer in the scene of popular culture, and cyber-body. As a conclusi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human body to techno-human body and posthuman body is fundamentally understood in the framework of techno-humanit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orts to establish the epistemology and understanding about new type of human being in the context of techno- and post-humanitie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예술과 테크놀로지 ; 마르셀 뒤샹, 백남준

        허지영(Heo Ji-Yo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3

        이 글은 현대미술에서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결합되어 등장하게 된 원인과 배경, 그리고 그것이 다다에서 플럭서스로 이어지는 아방가르드 예술에서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마르셀 뒤샹의 과학적, 기계적, 유기체적 이미지 작품과 백남준의 비디오 설치작품을 통해 연구한다. 이전부터 예술과 과학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왔는데 특히 20세기 초 정치적, 사회적, 산업적 변화와 더불어 예술에 테크놀로지를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이런 흐름은 아방가르드 예술인 다다에서 적극적으로 실험되었다. 그중에서 마르셀 뒤샹은 서구사상을 밑바탕으로 예술을 과학적, 기계적, 유기체적 이미지가 결합된 형태로 은유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또한 예술과 과학의 결합인 영화를 제작하기도 하고 입체영화를 실험했다. 이러한 성과물을 바탕으로 백남준은 동양사상과 샤머니즘에 서구사상의 산물인 테크놀로지를 결합하여 비디오 아트를 탄생시켰다. 그리고 그는 최신 정보기술을 통해 예술과 관객의 소통을 시도하며 로봇개발, 위성중계, 신디사이저 개발, 레이저를 이용한 작품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결론적으로 이들 예술가를 통해 예술이 미학적 관점을 넘어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를 접목시킴으로서 관람객과 예술 세계에 무한한 상상력과 비젼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I want to discuss reasons and backgrounds that art and technology, combined together, came on the scene in the contemporary art and how they developed in the avant-garde art from Dada to Fluxus. My study is focused on Marcel Duchamp's scientific, mechanical and organic image works and Nam June Paik's video installation works. Long ago art and science used to go together. Especially with political, social and industrial changes in the 20th century, the movement that combined them appeared in new ways. It was experimented actively by the Dada as a kind of avant-garde arts. Among artists in that current, Marcel Duchamp approached art metaphorically as a form combining scientific, mechanical, and organic images; produced a movie as a union of art and technology; and experimented a 3-D movie, based on western thoughts. Utilizing these products and combining shamanism of oriental thoughts and technology of western thoughts, Nam June Paik gave birth to video art. He tried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audience through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velop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robots and synthesizer, satellite broadcasting, and works using laser. To conclude, with the help of these artists, the arts suggests infinite imagination and vision to the visitors and the world of arts, applying technology available in the ordinary life to the art beyond the aesthetic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商代史硏究的斯進展

        宋鎭豪(송진호)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학논총 Vol.13 No.2

        《商代史》 재건은 중국 상고사 체계에서 너무나 중요한 일로 변해버렸고, 학계에서 역사학 발전을 손꼽아 기다리는 절박한 부분이 되었다. 국내외 학자들은 매우 일찍부터 지하에서 출토된 甲骨文 재료 등을 이용해 商代史 연구로 나아갔다. 은허 갑골문과 전래 및 새로 출토된 商周 彛銘과 20세기 이후 이루어진 春秋戰國秦漢 때의 簡牘文書의 새로운 발굴은 근대 西學東漸과 中國 考古學이 날로 성숙되어 가면서 중국 근현대학술사의 신기원을 열었다. 또 학자들로 하여금 전혀 새로운 시야에서 과학적 탐색을 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로부터 학술의 새로운 천지가 열혔고, 甲骨學, 金文學, 簡牘學 등과 같은 참신한 전문 속성의 새로운 학문과 새로운 학과들이 무성히 자라나게 되었다. 아울러 商史 문헌의 부족과 사료의 진위를 확정하지 못하던 곤경을 벗어나 커다란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斷代 역사서인 《商代史》의 재건 작업은 날로 성숙되어 갔다. 1999년 10월 20일 宋鎭豪가 제기한 《商大史》(전 10권)가 中國社會科學院 歷史所 重點硏究 課題로 채택되었다. 2000년 7월 24일 《商大史》 과제가 院務會議의 비준을 거쳐 2000년도 中國社會科學院 대형 A類 科硏 課題(編號0016)로 지정되었다. 2001년 6월 21일 또 國家 사회과학 기금 항목(批淮號01BZS004)에 편입되었다. 같은 해 8월 宋鎭豪 주도 하에 저술 작업이 정식으로 가동되었으며, 7여 년 간의 연마와 필경 끝에 450만 자에 달하는 10권으로 된 거대한 저작 《商大史》의 원고가 끝내 탈고되었다. 2006년 12월 14일 검수가 끝났고, 얼마 후 國家社科基金課題辦 및 中國社會科學院 科硏局組織의 全國 동일 분야 전문가 회의(블라인드 심사)의 평의를 거쳤으며, 현재 인쇄 중에 있다.

      • KCI등재

        네오-콜버그학파의 새로운 지평

        박장호(Park, Jang-H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28 No.-

        이 논문(Ⅰ, Ⅱ)은 네오 콜버그학파의 대표 주자인 D. 나르바에즈의 이론 추이에 대한 분석이다. 그녀는 레스트 제자로 출발해서 1999년 네오 콜버그학파 선언에 가담한다. 그녀는 얼마간 콜버그이론의 선별적 계승과 레스트 도덕교육 접근법에 대한 이론 정당화 모색에 열중한다. 도덕 판단은 암묵적 지식을 포함하는 스키마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에 기반한 DIT의 비교우위성을 논증하려 한다. 그녀는 랩스리와 만남을 통해서, 협소한 도덕 판단에 대한 관심을 지양하고 사회-인지적 관점에서 스키마 형성과 도덕 정체성과 도덕적 인격의 연관성을 주장하며, 이를 전문성(expertise)개념으로 통합하면서 전문성 계발을 위한 ‘성찰적 인격교육(DCE)’을 주장하게 된다. 2005년 무렵, 그녀는 도덕적 기능(moral functioning)에 대한 도덕철학과 도덕 심리학의 새로운 통섭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네오 콜버그주의 전통을 넘어서는 새로운 포괄적인 이론과 윤리교육에 대한 기반 구축을 모색한다. 2007년 그녀의 새로운 지평은 신경과학과 신경생물학, 진화론에 입각한 종합적인 윤리 이론체계, 즉 삼층윤리이론(Triune Ethical Theory)을 구성하고 ‘포괄적 윤리교육(IEE)’와 연결 짓는다. 더 나아가 삼층윤리이론 정교화에 힘쓰던 그녀는 곧이어 규범적 도달점으로서 마음챙김 도덕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성숙한 도덕적 기능 계발을 위한 교육을 통해서 그녀의 그림을 완성하고 있다. 현재 그녀는 초기 생애의 정서적 안정이 이후의 도덕적 기능에 필수적임을 더욱 강조하면서, 이에 대한 심화된 진화론적 연구와 아동복지를 위한 교육 및 정책 실천, 그리고 진화적 적응성에 역기능적인 현대 사회의 문화와 교육적 풍토를 고발하는 데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그녀의 이론적 확충과 변화는 레스트 접근법의 이론적 토대를 모색하여 확대하고, 외부의 새로운 이론에 대한 적극적 수용을 통해서 종합적인 도덕교육체제를 구축하려는 그녀의 부단하고 혁신적인 노력의 결과이다. 그러나 삼층윤리이론은 삼층두뇌이론의 틀을 가지고 신경과학적 사실들을 재구성한 것으로 삼층두뇌이론에 대한 과학계의 반론, 비유적 설명의 문제, 그리고 규범적 명제로서의 마음챙김 도덕의 ‘자연주의적 오류’ 가능성을 해소시켜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나르바에즈의 진화는 네오 콜버그학파라기보다는 신경생물학에 근거한 거시적인 도덕문화론자 혹은 윤리교육론자로 규정하게 만든다. 논문(Ⅰ)은 나르바에즈가 네오-콜버그학파에 참여한 후에 인격교육을 수용하여 새로운 이론적 종합을 꾀하여 네오-콜버그학파의 전통을 넘어서기까지의 학문적 변화과정을 추적한다. 논문(Ⅱ)는 도덕심리학과 도덕철학의 통합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신경생물학과 진화이론에서 발견하고, 삼층윤리이론과 마음챙김도덕을 정립하고 포괄적 윤리교육론과 진화적 적응성 문화 개선을 강조하는 완성단계를 살펴보고 전체적 평가를 내린다. These essays(Ⅰ,Ⅱ) are the intellectual-historical reviews about a well known leading neo-kolbergian D. Narvaez’ theories from a graduate student of her mentor Rest’s department, to a present so-called ‘comprehensive moral psychologist’ against other different theorists. I trace the roots and shifting points of her researches about moral theory and moral education program, showing what makes her works seeking for the evolutionary neuroscientific ethical theory, TET, which may be astonishing to traditional or even new Kohlbergians. Under Rest’s supervision, she was interested in participants’ comprehension abilities about DIT dilemmas, which were supposed to be different and more important abilities in moral judgement development than formal moral reasoning that Rest’s mentor, Kohlberg’s MJI aims to measure. In 1999, she proclaimed Minnesota neo-kohlbergian Approach that begin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Kohlberg’s main theoretical structures. After Rest was died in 1999, Narvaez realized that neo-Kolbergan approach’s original construct schema was based on tacit knowledge, which make different developmental courses from Kohlergian’s, meaning that DIT based on schema is a sound and adequate tool for real moral daily lives. Then, preferring moral functioning category which is corresponding to ‘4 components of morality’ to limited moral judgement concept, Narvaez with her husband Lapsley tries to bridge newly advanced construct, social-cognitive view of schema to moral identity, personality and character that are thought to be integrated to moral expertise or expert’s abilities, which will be cultivated through ‘the deliberate character education’. However, during 2005-2006, Narvaez who already entered a complicated phase in educational practice, seeks to go beyond neo-Kohlbergian tradition, and establish a new comprehensive moral theory that could unite deliberate reasoning and tacit process or intuition, modern moral psychological frameworks and ancient moral philosophical categories such as virtue or character, de-moralized moral psychology and naturalized moral philosophy to justify the renewed moral education program,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This essay(Ⅰ) covers the first period, during which Narvaez joined the Noe-Kohlbergian group and went beyond the group’s tradition, and reached new need that requires synthesis for de-moralized and scientific research between moral psychology and moral philosophy. The other essay(Ⅱ) covers the second period, during which Narvaez found new foundational disciplines in neuroscience and evolutionary theory, and established the Triune Ethics Theory which comprised mindful morality as ultimate morality and provided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with a tool to implement i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