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대학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나현기(Hyun-Kee Na),강은미(Eun-Mee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 논문은 기독교 대학 교목실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래의 교육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현재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신대학교 교목실이 2019학년도 2학기부터적극적으로 개발해서 운용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특별히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학년 2학기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학생들의 만족도 결과를 분석한다. 기독교 대학 교목실은 1990년대 이후 개신교인들이 감소하고, 개인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대학 분위기 속에서 재학생들이 일방적인 기독교 예배와 교리를 전달하는 채플을 거부하면서 위기에 직면했다. 또한 2020년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일부 개신교인들의 일탈로 개신교 신뢰도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기독교 대학 교목실은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한신대학교 교목실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자아 탐색, 인간 관계 훈련, 심리 치료, 한신대학교 역사와 전통 이해, 소속감 향상을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참여한 학생들은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고, 자연스럽게 교목실에 대한 신뢰도 향상되고 있다.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는 위기 상황 속에서 교목실의 미래를 고민하는 기독교 대학 교목실의 대안 마련에 좋은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help the chaplain’s office in Christian universities more effectively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im, first,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which Hanshin University’s chaplain’s office has been developing and operating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19 academic year, will be introduced. Next, the resul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video-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will be analyzed. The chaplain’s offices in Christian universities have faced a major crisis for various reasons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Korean Protestants has declined. University students, emphasizing individual diversity, have begun to reject the chapels sponso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credibility of Korean Protestants has fallen to the bottom. It is because many Koreans are tired of the way some Protestant Churches react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chaplain’s offices in Christian universities are contemplating various solutions to overcome this crisis. For example, the chaplain’s office in Hanshin University now provides video-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response to COVID-19.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include the followings topics: self-discovery, interpersonal training, psychotherapy,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Hanshin University, and a sense of belonging. The participating students not only show high satisfaction, but are much more interested in all of the curricular a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chaplain’s office. This study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will provide a good example for preparing alternatives for the future of the chaplain’s office in a crisis situation.

      • KCI등재

        평신도 운동과 신학에 관한 고찰

        류장현(Ryoo Jang 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6

        이 논문은 “평신도 운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이다. 루터의 만인제사장설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주의와 교권주의를 거부하는 혁명적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종교개혁 이후 창조적으로 계승되지 못했고, 오늘날 교회는 또 다시 성직주의와 교권주의에 빠졌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1960년대 이후 평신도 운동과 신학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그것은 성직주의와 교권주의가 교회의 본질로부터 이탈한 것이라는 자기반성에서 출발하였다. 성직자와 평신도는 하나님 나라의 사역을 위해 부름 받은 한 하나님의 백성이다. 그들은 직무의 차이만 있을 뿐 신분의 차이는 없다. 이러한 평신도 운동은 성직주의와 교권주의에 빠져 생명력을 상실한 기존 교회를 개혁하는 교회개혁운동이며 교회의 참된 본질을 회복하려는 교회회복운동이다. 또한 올바른 평신도 운동을 위해서는 평신도 신학이 정립되어야 한다. 그것은 반성직자적인 신학이나 교역의 보조기능을 담당할 객체로서의 평신도를 위한 신학이 아니다. 그것은 세상에서 하나님의 선교와 사랑을 실천하는 교역자이며 타락한 교회를 개혁하는 역동적 힘의 주체자인 평신도에 관한 신학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루터(M. Luther), 콩가르(Yves M. J. Congar), 크래머 (Hendrik Kraemer)와 스티븐스(R. Paul Stevens)의 평신도 운동과 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종말론과 성령론의 관점에서 평신도 운동과 신학을 재정립하였다. 그것은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참으로 교회의 미래는 평신도 운동의 성패에 달려 있다. This paper is a critical study on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Martin Luther’s universal priesthood was a revolutionary theory that rejected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But since the Reformation it has not been creatively inherited, and today the Christian Church has fallen into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again. As a reflection on this,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have been discussed in earnest since the 1960s. It started from self-reflection that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was an erroneous form deviating from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clergy and laity are a people of God who are called to the service for the Kingdom of Go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ir status, only differences in their jobs. This movement of the laity is a church reform movement that reforms existing churches that have lost their vitality by falling into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and is a church restoration movement to restore the true nature of the church. In addition, the theology of lait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correct movement of laity. It is not anti-clergy theology, also not a theology for laity as an object of ministry. It is a theology about laity as a ministry who serves God’s mission and love in the world and as the subject of dynamic power to reform the fallen church.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by Martin Luther, Yves M.J. Congar, Hendrik Kraemer and R. Paul Stevens, and reestablishes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from the perspective of eschatology and pneumatology. It will be the starting point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the Christian Church. Indeed, the future of the Christian Church depend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ovement of the laity.

      • KCI등재

        동서의 현실과 신학적 현실 개념: 동양 신학을 위한 예비 검토

        천병석(Cheon Byung Su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8

        본 논문의 목적은 동양신학의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 신학은 아시아적 정체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의도로 시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가 오히려 신학의 정체성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 신학적으로 동서양의 현실을 조망하는 관점을 취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회학적 현실개념(P. Berger)과 그것에 착안하여 구성된 소위 신학적 인간학(W. Pannenberg)을, 동양적 현실개념(김충렬)과 비교하여, 그것들은 단지 서구적 현실개념(박동환)일 뿐이고 하나님의 현실성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밝힌다. 서양 종교로서의 기독교를 비판하는 '종말론적 관찰방식'(K. Barth)과 '비종교적 해석'(D. Bonhoeffer)은 서양적 현실이 아니라, 인간의 현실 가운데 하나님의 현실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동양적 신학의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하나님 현실성의 이론적 근거가 분명하게 설정된다면 동서양의 유산들은 모두 이론형성의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학에서의 동양적 이론형성의 가능성은 무엇보다 신학적 근거 설정을 뚜렷하게 획득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Generally, Eastern theology was attempted with the intent to justify the eastern identity. Such attempt seems to have been in the risk of actually losing the identity of theology itself. So instead,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that overlooks theologically the reality of Eastern and Western. By comparing 'the sociological concept of reality' (P. Berger) and 'the so-called theological anthropology' to conceive that concept (W. Pannenberg) with the concept of 'the Eastern reality' (C. H. Kim), this research clarifies that those are only 'the concepts of the Western reality' (D. H. Park) and don't reach 'the reality of God'. The 'eschatological observation method' (K. Barth) and the 'non-religious interpretation' (D. Bonhoeffer) that criticize Christianity as a Western religion, show the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indirectly in that they capture the reality of God in the middle of reality of human. If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ality of God is established clearly, the heritage of both East and West can be used as a reference of theory building.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can be distinctly acquired best through theological basis.

      • KCI등재

        한국 기독교 생태공동체운동의 현황과 미래적 과제

        조용훈(Cho Yong-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48

        오늘날 생태공동체운동은 자본주의 확산에 따라 생겨난 인간소외와 생태위기 문제를 극복하는 사회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공동체 운동의 특징은 생태성과 사회공동체성, 그리고 문화영성이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기독교 생태공동체운동의 현실을 분석하고 미래적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리산 두레마을과 장성의 한마음공동체는 우리나라 기독교 생태공동체운동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둘 다 기독교 신앙에 기초하여 하나님, 사람, 그리고 자연의 조화를 추구한다. 유기농생산과 유통에 기초하여 도시와 농촌의 상생을 추구하며, 의식주에서 지속가능한 삶, 그리고 생태문화를 추구한다. 기독교 생태공동체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 우선 신학적 토대가 분명해야 하며, 다음으로 실천 과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생태공동체의 신학적 토대는 생태신학, 공동체신학 그리고 생태학적 영성과 노동신학이다. 생태신학은 기독교 생태공동체의 지도 이념이 된다. 공동체 신학은 공동체 운영과정에서 생기는 현실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생태학적 영성과 노동신학은 기독교 생태공동체 구성원들을 창조적이고 생기있게 만든다. 우리나라 기독교 생태공동체운동이 해결해야 할 현실적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의 이념의 유지를 위해 종교의식을 강화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한 삶을 실천하기 위해 생태학적 의식주와 에너지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경제적 자립을 위해 유기농 생산과 유통만이 아니라 다양한 생태문화 사업의 발굴이 필요하다. 넷째, 인간관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민주적인 지도력을 형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방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공동체의 폐쇄성을 극복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many people are discovering the eco-community move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social problem of human alienation and ecological crisis caused by modern capitalism. Schola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ecolog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as a characteristics of Eco-communities. Each dimensions of Eco-communities is tied to a number of specific tasks that have been suggested. This indicated that we need to analyze the reality of the Christian eco-communities and to seek the tasks for its fu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ethics. Examining such a reality and task is a primary aim of this article. The Doorae Community in the mountain Jiri and the Hanmaum Community in Jangseong, Cholla province, are regarded as a model for the eco-communities movement. They pursue the harmony among God, human being, and the nature on the basis of Christian faith.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eco-communities, it is important to have a solid theological foundation and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general, the Christian eco-communities are grounded on the basis of the ecological theology, the theology of community, and the ecological spirituality. In this paper, the practical tasks of the Christian eco-communities in Korea are suggested in five ways. Firstly, it is necessary to enforce religious ceremonies and to equi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ecological and communal consciousness. Secondly, we should make an effort to find a sustainable lifestyle in the area of ecological food, clothes, shelter and energy forms. Thirdly, to achieve economical independe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in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various eco-cultural commercial items. Fourthly, we need to create a democratical leadership to solve the conflicts among the community members. Lastly, we should be more open toward other local communities and the local government by way of networking.

      • KCI등재

        동성애와 신학적 인권―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性)의 신학을 중심으로

        손호현(Sohn, Ho-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7

        동성애자는 기독교인이 될 수 있는가의 질문은 쉽게 결론짓고 대답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심리적, 유전적 연구들과 더불어 추가적인 성서 해석학과 기독교의 교리적 전통에 대한 엄밀한 비판적 성찰을 필요로 하는 신학적 난제 중 하나이다. 본 소고는 동성애를 “역리”(逆理) 곧 “자연의 질서에 거스르는”(contrary to nature) 것으로 반대한 중세의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의 신학을 자연스러운 목적으로서의 생식, 자연스러운 대상으로서의 배우자, 자연스러운 방식으로서의 이성애라는 세 가지 차원의 주요 주장들과 추가적인 여덟 가지 하위 주장들을 통해 고찰한다. 이어서 필자는 이러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적 논리에 대한 은총의 신학의 동반자성, 강요된 독신, 몸의 창조성 등을 중심으로 한 세 가지 주요 반론들과 열한 가지 하위 도전들을 제기한다.‘법률적 인권’이 역사와 문화적 부침을 가지는 상대적 권리라고 한다면, ‘신학적 인권’은 존재 자체로서의 은총에 기초하는 변하지 않는 절대적 인권이며 동성애자도 이러한 인권의 대상이라고 본 소고는 결론에서 옹호한다. 신학적 인권은 한 인간의 행동이나 죄의 유무를 떠나서, 절대적으로 하나님이 부여하는 존재 자체의 인권이기 때문이다. Whether a homosexual person can become a Christian is a theological aporia to be answered, which requires not onl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genetic researches but also critical investigation of biblical hermeneutics and Christian doctrinal tradition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omas Aquinas’s theology of sexuality, who opposes homosexuality as an action “contrary to nature”, in terms of his three major arguments based on the purpose, partner, and manner of natural sexuality and eight additional arguments. The article also offers the author’s three counter- arguments of theology of grace, based on companionship, forced single status, and bodily creativity, and eleven additional objections. As a conclusion, the author claims that Chistian theology needs to distinguish ‘legal right’ from ‘theological right.’ While the former changes in history and culture, the latter is an absolute unchanging right of being itself as being graced. Even a homosexual person cannot escape this graced nature and theo- logical right affirms being a person itself as being graced. For theological right is an absolute right of merely being a person, apart from any question of whether the person is a sinner or of what he or she does in life.

      • KCI등재

        테리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에 대한 신학적 평가

        이국헌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9

        탈근대 사회에 들어서서 신 무신론자들의 등장에 따른 신학적 대응이요구되는 때에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학자인 테리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이 학문적 주목을 끌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일대학교의 테리 강연으로 소개된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에 대한 신학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글턴은 현대 자유주의적 합리주의자들의 무분별한 기독교 비판을 환원주의적 관점으로 치부하면서 세 가지 논법으로 무신론자들을 비판한다. 그 세 가지 논법은 각각 자유주의적 인본주의 비판, 낙관적 인간 이해와 진보주의 비판, 이성과 신앙의 이분법 비판으로 정리된다. 이글턴은 이 세 가지 논법 을 토대로 계몽주의 이후에 등장한 자유주의, 합리주의, 인본주의, 세속적 과학주의와 자본주의가 인류 해방을 위한 진정한 희망의 원리가 아님을 지적함으로써 무신론적 사유를 반박한다. 대신에 타락한 이성으로부터의 해 방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희망의 원리로 추구하는 기독교 신앙이 훨씬 더 가치가 있음을 입증한다. 이런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 논법에는 몇가지 신학적 성찰을 요청하는 요소가 있다. 그의 기독교 옹호는 신학적 정통에 대한 주관적 이해와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의 연대를 추구하는 신학적 과제가 있다. 아울러 이해를 추구하는 믿음에 기초한 자연신학적 테제의 한계를 공유하고 있다. 이런 신학적 과제에도 불구하고 그의 무신론 비판 논법은 탈근대 시대에 기독교 옹호의 한 지성적 담론으로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Eagleton’s criticism of new atheism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Because he is a well-known Marxist as well as a modern literary critic, his criticism of athe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theology to evaluate his argument for criticism of atheism. Eagleton has criticized the atheists with three reasonings, such as the criticism of liberal humanism, criticism of the optimistic understanding of human and progressive thinking, criticism of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faith. Based on these three reasonings, Eagleton points out that the atheists have wrong reasoning. Liberal Humanism, including liberalism, rationalism, humanism, secular scientism, and modern capitalism, has had no solution about th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The humanism which i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atheists did not work on the principle of hope for the liberation of hum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ristian faith has more ideological value than secular humanism, since the Christianity is seeking the kingdom of God as a principle of hope. Eagleton’s critical theory of atheism is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advocacy. However, his theory is causing the post-modern discourse. Eagleton’s understanding of Christian theology has provided controversy for theological orthodoxy. His position of Orthodox theology is different from general Christian theology. In addition, Eagleton is pursuing a romance between Christianity and Marxism. It is required to reflect theologically on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He also has a premise of the natural theology in order to prove God’s exist. It is another theological issue. We know that the natural theology, that is, faith seeking understanding has both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Nevertheless, he has expanded his argument into the post-modern thought about philosophical axiology. Eagleton’s criticism of atheism is worth consider

      • KCI등재

        금융화된 자본주의 시대의 경제신학 ― 물신숭배 비판을 중심으로

        정용택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8

        This paper reviews economic theology, a flow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that produced the most intense theological critique of capitalism in the history of modern Christian theology. The paper seeks to revitalize this project in the context of today’s financialized capitalism.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main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economic theology, and points out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Economic theology has critically analyz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a fetishistic economic system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economics and theology, especially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 that it accepts economic problems as a theology’s inner subject. Therefore, Marx’s critique of the fetishism was appropriated and developed from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to the critique of the idolatry of the false god called capital, and opened a new horizon of theology at the level of theological research and with regard to the methodology of doing-theology. However, the critique of the fetishism in economic theology reveals clear theoretical limitations in that it remains in the realm of analysis of interest-bearing capital. Accordingly, the need for economic theology to be re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the era of financialized capitalism is raised. Subsequently, the theory of fetishization of capital is reviewed in the framework of the movement towards autonomization of value. Based on this, the financialization of capitalism i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fictitious capital. In addition, it identifies the core of the fetishistic character of fictitious capital beyond interest-bearing capital. The autonomization of value is another expression of the progressive fetishization of capital in that it refers to the progressive separation of the forms of value from its source through the gradual introduction of new layers of mediation between value forms and labor exploitation. In terms of such autonomization of value, financialization can be re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fictitious capital in which value form becomes independent from productive labor almost completely. Therefore, the fact that capitalist production relations are reified to the highest level reveals the fetishistic character of fictitious capital. In conclusion, if the logic of economic theology is applie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financialization, it can be summarized as the most violent form of reification of capitalist production relations, that is, the repressive and unjust idolatry that operates the most abstract and spectral form of fetishism. 이 글은 현대 그리스도교 신학사에서 자본주의와 가장 치열하게 대결하는 신학적 비판이론을 생산했던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한 흐름인 경제신학을 재검토하고, 오늘날의 금융화된 자본주의의 맥락에서 그 기획을 재활성화하는 과제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경제신학의 주요 연구 대상과 방법을 검토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지적한다. 경제신학은 경제학과 신학의 학제적 대화를 통해 물신숭배적 경제체제의 이론과 실천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왔는데, 특히 경제문제를 신학 내적인 주제로 수용한다는 점을 고유한 성격으로 지닌다. 따라서 마르크스의 물신숭배 비판을 신학적 관점에서 자본이라 불리는 거짓 신에 대한 우상숭배 비판으로 전유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신학적 연구 대상의 차원에서나 신학하기의 방법론적 차원에서 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이 경제신학의 의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신학의 물신숭배 비판은 이자 낳는 자본에 관한 분석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명백한 이론적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므로 경제신학이 금융화된 자본주의 시대의 맥락에서 재구성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어서 가치의 자립화 운동이라는 틀에서 자본의 물신화 이론을 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본주의의 금융화를 가공자본의 발전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자 낳는 자본을 넘어선 가공자본의 물신성의 요체를 규명한다. 가치의 자립화는 가치형태들과 노동착취 사이에 새로운 층위의 매개를 점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그 원천으로부터 가치형태들이 분리를 진행해나가는 것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자본의 점진적 물신화의 다른 표현이다. 이러한 가치의 자립화라는 측면에서 금융화는 생산적인 노동으로부터 가치형태가 거의 완벽하게 자립화된 가공자본의 발전으로 재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물상화한다는 사실에서 가공자본의 물신성이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경제신학의 논리를 적용하여 금융화 현상을 설명한다면, 그것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물상화가 가장 폭력적으로 실현된 형태, 즉 가장 추상적이고 유령적인 형태의 물신숭배를 작동시키는 억압적이고 불의한 우상숭배의 출현이라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김찬국의 창조신학 - 샬롬의 신학을 향하여

        박호용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6

        The Creation Theology of Kim Chan-Kook is definitely the most important theme in the sense that it deals with the essence of the theology of Kim Chan-Kook. The creation theology of Kim Chan-Kook is focusing on the creation theology of the Second Isaiah who prophesied under the historical chaos of Babylonian captivity. Criticizing G. von Rad and several scholars (B. W. Anderson and others) who tried to interpret the creation theology of the Second Isaiah thoroughly from the perspective of redemptive historical creatio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as the creation of history), Kim defends the independence of creation faith (cosmic nature creation theory). Kim also admits that the Second Isaiah was influenced by creation myths of the ancient Middle East (Babylonian creation myth and Canaan creation myth). Meanwhile, Kim Chan-Kook discusses the creation theology of Genesis beyond the creation theology of the Second Isaiah. Kim also argues that creation means ‘confrontation between chaos and order,’ that is to say, to create is to confront chaos and overcome it and establish a new order with the words of God. He further states that this view of creation flowed into Israel from the Babylonian creation myth. However, the story of Babylonian creation is characterized by polytheism, while the creation story of Israel does not show the polytheistic picture, i.e. it does not involve fights between gods, and does not accommodate foreign creation stories. According to him, Israel nourished monotheism which confessed Yahweh God as the Only God under the cultural umbrella of polytheistic religion, which was a very important theological “김찬국의 창조 신학”은 김찬국의 신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가 아닐 수 없다. 김찬국의 창조 신학은 바벨론 포로기라는 역사적 혼돈 속에서 예언 활동을 한 제2이사야의 창조 신학 에 집중되어 있다. 그는 제2이사야의 창조 신학을 구원사적 창조 해석(역사 창조로서의 창조관) 일변도로 보려는 폰 라드(G. von Rad)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B. W. Anderson 등)을 비판하면서 창조 신앙의 독립성(우주 자연 창조관)을 주장하였다. 두 번째 문제에 대해 그는 제2이사야가 고대 근동 창조 신화(바벨론 창조 신화와 가나안 창조 신화)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한편 김찬국은 제2이사야의 창조 신학을 넘어 창세기의 창조 신학을 다루고 있다. 김찬국은 창조의 의미는 ‘혼돈과 질서의 대결’, 즉 창조라는 것은 혼돈과 대결해서 그 혼돈을 정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새로운 질 서를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이러한 창조관은 바벨론 창조 신화로부터 이스라엘에 들어온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바벨 론 창조 이야기는 그 성격상 다신교적인 데 반해, 이스라엘의 창조 이야기는 이방의 창조 이야기를 수용하면서도 신들 간의 싸움이라는 다신교적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이스라엘은 다신교적 종교 문화권 안에서 야 웨 하나님을 유일한 하나님으로 고백하는 유일신 신앙(monotheism)을 키워 갔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신학적 작업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김찬국의 창조 신학에서 보충해야 할 점은 ‘샬롬의 신학’이 다. 김찬국은 바벨론 포로기라는 역사적 혼돈(무질서) 속에서 예언 활동을 한 제2이사야와 창세기의 창조 신학(P 전승과 J 전승)을 다루면서, 창조 신학이 궁극적으로 ‘질서를 통한 안정’이라는 샬롬의 세계(신학)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에 미치지 못했다. 이같은 사실은 같은 바벨론 포로기 예언자인 동시에 바로 앞 세대 신앙의 선배인 에스겔의 관심사가 철저히 샬롬의 문제였다는 사실을 통해 더욱 분명해진다. 또한, 창세기의 우주 창조 (P 전승)와 성막 창조(출 35-40장)가 샬롬의 신학을 지향하고 있는데, 김찬국은 이에 대해 깊이 천착하지 못했다. 결국, 이것은 후학들의 더 깊은 연구를 위한 몫으로 남겨두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토착화 신학의 흐름과 재고: 윤성범, 변선환, 이정배를 중심으로

        이한영(Lee Hahn-Yo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7

        이 글은 감리교신학대학교 토착화신학자들의 사상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정리하고 평가하며 이를 토대로 소위 제3세대 토착화 신학이 나아갈 방향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것을 짚어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일각에서는 탈주체, 탈민족, 탈전통, 탈문화라는 탈토착화의 관점에서 토착화 신학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가난, 억압 등에 무관심한 비정치적인 신학이 아닌가하는 관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물음들에 답하면서 복음의 뿌리내리기라는 인상을 풍기는 토착화라는 개념이 지금에도 여전히 유효한가 하는 물음에 대해서도 돌아보고자 한다. 이 글은 개념적인 논쟁의 자리가 아니라, 토착화 신학이 주장해 온 사상적 발자취를 시간의 자리(역사)와 장소적 자리(이 땅)라는 관점에서 되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위에서 던진 물음들이 과연 토착화 신학에 대한 올바른 물음이며, 역으로 토착화 신학은 그러한 물음들에 대해 어떻게 응답해 왔는가 하는 것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것은 문화적 아 프리오리로서의 토착화 신학과 한국적 신학으로서의 성의 신학을 주창하여 독특한 한국적 사상을 전개했던 윤성범의 신학, 비서구화의 출발점을 다원주의로 발전시켰으며, 비서구화 연대로서의 토착화 신학과 민중신학을 합류시키려는 시도 속에서 종교해방신학을 주장했던 변선환의 신학, 이 두 스승을 계승하면서도 생명의 문제를 성령론과 수행론의 관점에서 풀어감으로써 토착화 신학의 새로운 전환을 시도했던 이정배의 신학이 가지는 의미와 평가에 대한 것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들이 현재 다문화 시대, 교차적 문화시대를 살아가는 토착화 제3세대의 방향을 제시하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inspect and evaluate thoughts of indigenization theology. And it have a intention to find where the third generation of indigenization theology is. it is also an answer to some postmodern’s perspective that have a argument of nosubject, no-nation, no-tradition, no-culture and strong politic interest. On the other side, it reviews that the concept “indigenization”does still have the validity and fitness in Korean situation 21c today. I look back to upon the trace from past to presence of indigenization theology with such questions, and examine whether it is right or not. On the contrary, I make a close inquiry into how indigenization theology have answered that question. That is the study of theological succession and differentiation of indigenization theology: Yoon sung-bum’s “theology of sung(誠), Byun sun-hwan’s “theology of religion and liberation”, Lee jungbae’s “Korean theology of life.”

      • KCI등재

        인간이해를 매개로 한 신학과 심리학의 만남

        김기철(Kim, Gi-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목회신학은 ‘다리의 학문’으로서 이론과 실천, 신학과 (다른 사회 과학들을 포함하는) 심리학, 복음과 상황, 그리고 공적인 하나님 개념과 사적인 하나님 표상을 서로 연결해준다. 이러한 다리 잇기의 작업은 신학이 그 모드를 목회신학으로 바꿀 때에 더 활기를 띠고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음이 역동성과 생명력이 있는 영성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주류 신학의 인간이해는 죄인으로서의 인간 본성을 강조해온 반면, 하나님 형상 담지자로서의 인간 본성을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겼다. 이와 함께, 교회의 공식적인 신학은 ‘육체라는 감옥에 갇힌 영혼’이라는 이미지를 발전시켰다. 이로 인해, 육체는 신학적인 이원론에 근거하여 열등한 것으로, 죄를 짓게 하는 도구로 격하되어 인식되었다. 하지만, 목회신학은 인간의 육체성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에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육체가 그안에 성스러움을 간직하고 있고, 복음과 삶을 연결시키는 채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하나님을 경험하게 하는 통로이자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게 하는 수단으로 경험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목회신학적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의 상실’, 그리고 ‘전인격체인 인간 안에서 일어나는 육체에 대한 격하와 육체의 소외’ 라는 주제들과 관련된 신학적 의미를 면밀하게 검토한다. 이를 통해 목회신학은 하나님 형상을 더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인간이해를 요청한다. 심리학의 인간이해는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목회신학의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는 인간 본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 형상이 각자의 개성과 온전하게 만날 때, 신앙인은 하나님 형상을 즐겁게,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목회돌봄과 상담은 돌봄 대상자들이 자신들의 고유한 삶의 환경 속에서 효율적이고 활기차게 하나님 형상을 살아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힘을 북돋아준다. 이를 위해 목회신학은 필요할 때마다 모드를 전환하여 다리 놓기를 하고, 또한 놓아진 다리 위에서 더 적극적으로 복음의 정체성과 영향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Pastoral theology is not just a branch of practical theology, but it is a “bridge discipline”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theology and psychology (including other social sciences), and the public God-concept and the private God-image. This work of bridging can be more efficacious when theology changes its mode to pastoral theology. Pastoral theology is “function-centered,” which brings theology and psychology together and results in an amicable dialogue between the two. By doing pastoral theology the gospel can bring a more dynamic and fruitful spiritual life. The mainline theological anthropology has identified human nature with sinner under the original sin, while relatively neglecting human nature as God’s image-bearer. It seems that the official theology of the church has employed the (total) loss of the Image of God in humanity in order to fortify the doctrine of fall of humanity. In addition to that the official theology has confirmed the image of the soul’s imprisonment in the flesh. Then the flesh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rior and degraded as a means for sinning based on the theological dualism. However, pastoral theology, the changed mode of theology, rediscovers the value of the human fleshness. The flesh created by God contains sacred in it and plays its role as a channel between the gospel and life. For Christians, it has been a path toward experiencing God and a means for imaging God. We are not supposed to alienate the flesh from the whole personality. Christian way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rooted in the Image of God which has never been lost or damaged and is supposed to be embodied in our lives to the likeness to God. In this sense,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uman fleshness, including emotions, intuitive senses, and physical senses and desires, through which we can image God. Pastoral theological anthropology examines theological meanings of the loss of the Image of God and the degradation of the flesh in the whole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