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양계배 근아세포의 MyoD 발현에 대한 N-cadherin의 영향

        안병태,진경실 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자연과학논문집 Vol.20 No.-

        근아세포는 여러 단계의 근육형성 프로그램을 거쳐 다핵의 근관세포를 형성하며, 근특이 단백질의 합성 및 축적이 일어난다. 근특이 단백질의 합성은 유전자 조절 단백직인 MyoD, myogenin, Myf-5, 그리고 MRF-4 등에 의하여 조절되며, 이들 단백질이 동형접합체나 이형접합체를 형성함에 따라 DNA와 결합하여, 전사를 조절한다. MyoD는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장소를 결정하는 단백질로, 근세포가 아닌 세포를 근세포로 전환시키는 능력이 있으며, 근세포 분화에 관여한다. 근아세포가 응집을 하기 위해서는 cell adhesion molecule 등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 칼슘의존적 cell-cell adhesion molecule로서 생쥐와 닭의 뇌세포에서 발현되는 N-cadherin이 관여한다. 신경세포내의 cadherin 발현양상에 따라 신경세포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분화되며, anti-cadherin antibody를 처리했을 때 팔, 다리의 연골형성이 억제된다. N-cadherin은 골격근세포나 그밖의 많은 세포에서도 태아시기에 일시적으로 발현되며, 분화 초기에 근아세포에서 발현되어 근세포 간의 접합 등에 관여한다. 또한, 세포의 접합 뿐아니라 융합, 이동, 배열 등에 관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N-cadherin이 근육에서 일시적으로 발현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anti-N-cadherin antibody(NCAD2)를 사용하여 N-cadherin을 억제함으로써 발생하는 근육 분화의 형태적, 생화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근아세포 성장에 NCAD2를 처리함에 따라 형태적 분화양상의 차이가 관찰되었고, 융합의 정도가 감소되어 나타났다. 또한 NCAD2를 처리했을 때, 근세포 분화 동안 발현되는 MyoD의 발현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세포 상호작용을 중재하는 N-cadherin이 근세포 분화에 요구되는 신호전달에 중요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 N-cadherin is a Ca^(2+)-dependent cell-cell adhesion molecule. It was identified in brain cells of mouse and chicken. Its expression is transient in skeletal muscles and many other tissues. Myoblasts grown in the presence of anti-cadherin antibodies(NCAD-2) exhibited an altered morphology compared to control cultures, coupled with decreased myoblast fusion. Treatment with NCAD-2 suppressed MyoD expression in muscle cell 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adherin-mediated cell interac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signaling events required for differentiation of muscle progenitor cells.

      • SCOPUSSCIEKCI등재

        유성견의 소구치 압하시 초기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와 재생에 관한 연구

        안병교,차경석,이진우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치아에 압하력을 elastic chain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교정력을 평균 9개월된 유 성견의 소구치에 가한 직후 치아와 그 주위 조직에서 일어나는 조직학적인 변화와 압하력을 제거한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변화되었던 조직의 회복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교정치료를 위한 생물학적인 근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Hematoxylin & Eosin 및 Masson's Trichrome염색법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위조직의 반응을 치경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부로 나누어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의 HE 소견에서 치주인대는 치근단부에서 치근경부까지 비교적 균일한 두께를 나타냈고, 치주인대의 주행방향은 치근경부에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 있었으며,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부에서는 사선으로 주행하였다. 2. 대조군의 MT 소견에서 치경부에서는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가 나타났으며 치경부, 치근 중앙부 그리고 치근단부에 약한 골흡수와 신생골 침착이 보였다. 3. 실험1군에서는 치근단부에서 뚜렷한 파골세포의 증가와 혈관 충혈이 보였으며, 신생골 형성과 불규칙한 반전선들이 나타나 골흡후하는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는 치경부에서 치근단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치근단부에서 더 심하였다. 4. 실험 2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조골세포가 치근단부에서 혈관 충혈과 함께 여전히 관찰되었다. 치주인대 폭경은 치근단부에서 대조근에 비해서는 증가되었고 1군에 비해서는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 주행방향은 1군과 같았고 단지 치근단부에서 혼합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으로 보아 유성견 하악 소구치 압하시 초기 조직변화에서 압박을 받는 치근단부에서 파골세포의 뚜렷한 증가, 출혈상 및 간격확장, 그리고 골흡수와 백악질 흡수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치주인대 주행방향도 다양하였다. 또한 압하력을 제가한 후에 변형되었던 치아와 치아 주위조직들이 완전한 회복 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itial tissue change, to repair on the teeth & surrounding tissue under the intrusive orthodontic forces by use of elastic chain, through the microscopic findings. For this study, three young adult mongrel dogs were used, and were divied into three group; the control group was delivered only casting crown, and the experimental group 1 was equipped with energy chain during 1 week, and experimental 2 group was delivered using energy chain during 1 week, and 3 weeks observation. All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were sacrificed to make the samples for microscopic findings on premolar teeth. All samples were examed and compared the histologic changes through the microscopic with H-E stai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ematoxylin-eosin stain of the control group,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constant width from apical third to cervical third of the root, and the periodontal fiber arrangement was horizontal or oblique in cervical third, oblique in middle and apical third of the root. 2. In Masson Trichrome stain of the control group, osteoblast and osteoclast appeared in cervical third of root, and bone resorption and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middle and apical third of the root. 3. In experimental 1, osteoclasts were increased highly, and hyperemia of blood vessels and new bone formation and bone resorption by reversal line in apical third of the root were seen. PDL width was increased apprarently from crest to apex of the root and more in apical third. 4. In experimental 2, osteoclasts and hyperemia of blood vessel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 material in apical third of the root. PDL width was increased more than control group in root apex, and was seen less than experimental 1. PDL arrangement was similar to experimental 1 and was mixed only in root apex. Therefore, in premolar intrusion of the young adult dog, there were increased osteoclast, hyperemia and dilation of blood vessel, resorption of alveolar bone and cementum, and different arrangement of PDL in initial tissue change. There was not observed complete repair after remove intrusive for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결정형 규산분진에 폭로된 섬유모세포의 자가증식 : Evaluation by H₂O₂and PDGF-AA 와 TGFβ

        안병용,김경아,문제혁,정진숙,김은경,임영 대한산업의학회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2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ivity of autoproliferation of rat fibroblast exposed to crystalline silica and the role of mediators secreted from rat fibroblast. Methods : The effect of α-quartz on production of growth facto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from rat fibroblasts were evaluated by ELISA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is. Gene expression of these growth factors in rat fibrobast exposed to crystalline silica was evaluated by RT-PCR. Furthermore, fibroblast proliferation by culture supernatant of rat fibroblast was assayed by the neutral red test. Results : The amounts of H2O2 and growth factors synthesized in rat fibroblas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stimulation of crystalline silica (α-quartz) , which showed the dose-dependent manner to the concentration of α-quartz with the maximum response at the dosage of 100 ㎍/㎠. The result of RT-PCR demonstrated that α-quartz induced gene expression of PDGF-AA and TGFβ in rat fibroblast. We also found that supernatant of α-quartz-cocultured rat fibroblast induced a significant proliferation of fibroblast. Conclusion : Crystalline silica directly induce functional change In fibroblast such as increased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growth factors. The products of these functional change promote fibroblast proliferation via autocrine loop.

      • KCI등재

        Satellite-Pulse Technique(SPT)를 이용한 결함의 크기측정

        곽경진,안희성,정용무,이영필 韓國非破壞檢査學會 1981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1 No.1

        소위Satellite-Pulse Technique(SPT)을 이용하여 인공결함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치와 실제치를 비교하였는바 오차는 무시할 정도이었다. Sizing of artificial flaws is accomplished by ultrasonic Satellite-Pulse Technique(SPT). Negligible error is found.

      • KCI등재

        대구치에서 회전식 NiTi file의 수명과 파절양상

        김진우,안병두,박세희,신혜진,조경모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3

        Intracanal separation of the rotary files is a serious concern in modern endodontic practi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ife span and fracture patterns of three NiTi rotary files in molar teeth. Mesiobuccal roots of upper molar (n = 150) and mesial roots of lower molar (n = 150)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was prepared with Profile, ProTaper, and K3 respectively. Every file was used until separation and/or deterioration of the cutting blade was happened, and then the number of canals to separation and/or unwinding were recorded. Radiographs and Scanning electon microscope (SEM) photographs were taken to evaluate the patterns of sepa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s of canals to separation and/or unwinding among the groups. 2. Comparing between flaring files, K3 showed significant lower numbers of canals to separation and/or unwinding (p < 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aping files 3. Separations of instruments were occurred at the midpoint of curvatures within the canals 4. In SEM observations, ductile fractures were seen in most of cases, characterized by shallow dimples. Additional researches is needed to provide a new guideline that informs the appropriate number of times to use NiTi files. 회전식 NiTi file은쉽게 파절되는 단점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식 NiTi file을 이용해 실제 치아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이 때 발생하는 파절 및 변형을 연구, 분석하였다. 상악 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 (n = 150)과 하악 대구치의 근심치근 (n = 150)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Profile, ProTaper 및 K3로 각각 근관형성 하였다. 각 file은 파절되거나 변형이 생길 때까지 계속하여 사용한 다음 그 사용횟수를 기록하였다. 파절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방사선 및 주사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였다. 1 세 군간의 유의할만한 사용횟수의 차이는 없었다. 2. Flaring file 간의 비교에서는 K3의 사용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적었으며 (p < 0.05), shaping file 간에는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 3, 회전식 NiTi file의 파절은 근관의 최대 만곡부에서 발생하였다. 4.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파절면을 관찰한 결과 연성파괴의 전형적인 양상인 얕은 딤플이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NiTi file의 평균 사용횟수는 제조회사의 사용지침보다는 길었으며, NiTi file의 수명에 대한 새로운 사용지침을 만들기 위한 부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녹동균 세포외막 단백질 백신 CFC-1-101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검토 : 임상 제 Ⅰ/Ⅱa상 시험

        장인진,김익상,유경상,임동석,김형기,신상구,장우현,박완제,이나경,정상보,안동호,조양제,안보영,이윤하,김영지,남성우,김현수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제일제당에서는 녹농균의 세포외막 단밸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백신인 CFC-101을 개발하였으며, 동물시험에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녹농균 백신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인체 접종시의 최적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I/Ⅱa상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 건강한 성인 남자를 피험자로 선별하여 각 용량군에 백신투여자 6명, 위약투여자 2명을 배정하였다. 백신 투여군은 0.25mg, 0.5mg 또는 1.0mg 용량의 녹농균 백신을 7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근육주사 하였으며, 위약 투여군에게는 세포외막 단백질을 제외한 동일한 성분을 투여하였다. 백신접종 후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반응의 발생여부를 관찰하고, 혈액시료를 체취하여 백신의 역가와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녹농균 백신 CFC-101은 모든 접종자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또한 0.5mg 과 1.0mg 백신 투여군에서는 100%의 항체양전율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항체는 녹농균 세포외막단백질에 특이성을 보였고, 녹농균 감염에 대해 방어효능이 있었다. 결론 :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이 녹농균 백신은 인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높은 항체 생성능으로 감염방어 효능을 보이고 0.5mg과 1.0mg이 최적용량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We developed a Pseudomonas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OMP) vaccine CFC-101, and the prophylactic efficacy of which has been demonstrated in animal model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 P. aeruginosa vaccine, we carried out a phase I/Ⅱa clinical trial in healthy male volunteers. Methods : Groups of eight volunteers, including two placebo subjects, were vaccinated intramuscularly with three doses of 0.25, 0.5 or 1.0 mg of the vaccine at one week intervals. Sings of systemic and local reactions observed after vaccination were recorded for each vaccinee for 5 days.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days 0, 1, 7, 8, 14, 15, 21, and 42, and clinical laboratory tests were done on days 0, 3, and 21. Blood samples for assay of serum antibody levels were obtained up to 42 days after the first vaccination. Results : The vaccine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by all vaccinees, showing no significant side effects. In the three dosage groups, all vaccinees, except one receiving the 0.25 mg dose, showed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IgG antibody titers against the vaccine proteins, indicating 100% seroconversion in 0.5 and 1.0 mg groups. The human antibodies induced by the vaccine were specific for P. aeruginosa OMPs, 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capacity of the human antisera to enhance opsonophagocytic killing activity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to confer protection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s indicates that the antibodies elicited by the vaccine have protective efficac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P. aeruginosa OMP vaccine is safe and effective for human use and its optimal dose to be 0.5 or 1.0 mg.

      • 배양된 간세포 담세관 및 세포질소기관의 미세구조 연구 : Phalloidin과 Cytochalasin D의 영향 Effects of Phalloidin and Cytochalasin D

        김진국,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김주원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간세포 담세관의 주위세포질에는 미세사가 풍부하게 분포하는데, 이 실험에서는 배양 간세포의 미세사형성을 촉진 또는 억제시킨 후에 담세관 및 세포질소기관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여 미세사의 형태학적 및 기능적 의의를 연구하였다. Sprague Dawley계 숫흰쥐의 간조직에 IV형 collagenaseㄹ를 처리하여 간세포를 분리한 후 배양하며 phalloidin(미세사 중합 촉진제)이나 cytochalasin D(미세사 중합 억제제)를 배지에 투여하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된 간세포 세포질에는 골지복합체와 소포 및 용해소체들이 세포의 일부분에 분포되어 생체의 간세포와 같이 세포질소기관 분포의 극성을 나타냈다. 2. Phalloidin와 cytochalasin D 투여군이 담세관은 확장되고 미세융모의 소실이 뚜렷하였다. Phalloidin투여군에서는 미세사가 증식되고 외형질층이 두터워져 담세관은 경직된 모습이었고, cytochalasin D투여군에서는 미세사가 감소되고 담세관의 확장은 더욱 심했다. 3. Phalloidin이나 cytochalasin D 투여군 모두에서 간세포 표면에는 세포질이 돌출되었다. Phalloidin투여군에서는 돌출부의 연결부분이 잘록하였고 외형질에 미세사가 증식되어 돌출부와 세포질을 분리시키고 있었다. 반면에 cytochalasin D투여군에서는 외형질층에서 미세사가 뚜렷한 감소되었고 각종 세포질소기관들이 포함된 채로 세포질 일부를 밀고나와 반구형의 돌출부를 이루었고 연결부는 넓었다. 4. 세포질에는 많은 소포와 공포들이 융합되어 세포의 주변부분이나 담세관주위에 세포내공간이 형성되었는데, 이 공간은 세포바깥이나 담세관과 교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미세사가 증식 혹은 감소되면 배양간세포의 모습이 변화되며, 담즙의 이동에도 장애가 생겨 담즙정체를 일으킨다. 따라서 미세사는 간세포의 형태유지 및 담즙분비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cytoplasmic microfilaments of hepatocytes are abundant beneath the plasma membrane, especially in the pericanalicular ectoplasm. In this study,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bile canaliculus and cytoplasmic organelles induced by alteration of the microfilaments on the cultured rat hepatocytes were examined. Sprague-Dawley rats(male, about 200gm) were used. The isolated hepatocytes obtained by perfusion of 0.05% collagenase type IV through the portal vein, were cultred in the L-15 medium containing phalloidin(stabilizer of microfilaments) or cytochalasin D(destabilizer of microfilaments) for 10 min, 30 min, 1 hour, 2 hours, 4 hours, 10 hours and 20 hours, respecitvely. The hepatocytes on the cultured dish were fixed in 2.5% glutaradehyde -1.5% paraformaldehyde and 1% osmium tetroside. After alcohol dehydration, the cells were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Ultrathin sections were contrast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observed with JEM100 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solated hepatocytes maintained the typical architectionic relationships of secretory organelles, i.e., Golgi apparatus, vesicles, lysosomes, etc., in the vicinity of bile canalicular region. 2. In the phalloidin or cytochalasin D treated groups, bile canaliculi were dilated and devoid of microvilli. In phalloidin treated group, the pericanalicular ectoplasm containing the microfilaments microfilaments was thicker than that of cytochalasin D treated group. Whereas, the dilation of bile canaliculus was more marked in cytochalasin D group. 3. Both drugs, phalloidin or cytochalasin D, produced the alteration of cell shaper to form cytoplasmic protrusions at the cell surface. In the phalloidin treated group, protusions were pedunculated, and the microfilaments were accumulatd at the narrow neck region. In cytochalasin D treated group, in contrast, no microfilament barrier was seen at the broad base of protrusion which exhibit direct continuity with the internal cytoplasm. 4. Numerous vesicles and vacuoles were formed near the cell surface and perianalicular cytoplasm in the treated groups, and later in culture they fused each other to form large intracellular space. Eventurally. this space was connected to the extracellular space or bile canaliculus. This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excessive accumulation or depletion of microfilaments induced by phallyoidein or cytochalasin D altered the cell shape and disturbed the vesicular transport of bile components into bile canaliculi. The results suggest that dysfunction of microfilaments may play an imprtant role in the impairement of canalicular contraction and the integrity of microfilaments is necessary for the billiary secretin as well as for the maintainance of the cell shape of hepatocytes.

      • 十二變에 대한 考察 : 六元正紀大論을 중심으로

        채영진,남호현,이석모,여성원,한성규,이재원,안민식,정헌영,금경수 한국전통의학연구소 2003 한국전통의학지 Vol.13 No.1

        The six kinds of natural factors(It refers to wind, cold, summer-heat, dampness, dryness and fire.) is constantly mov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Four seasons are the largest mediation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The cold and the heat have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tervention. The dampness and the dryness have it also. In this process they raise various climate appearance. And that various climate appearance influence the whole lives on the earth.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