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wo Types of Egress Based on Initiation: On The Pearl, “Flight,” and The Forgotten Village

        ( Kim¸ Eun-jin ),( Lee¸ Geon-geun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5 영어권문화연구 Vol.8 No.2

        John Steinbeck, a Nobel-Literature laureate, is said to have had the strong impulse to get away to nature when young. His novels are distinctive of the description of egress from the society. For example, the characters of The Pearl, “Flight,” and The Forgotten Village leave their home to mountains and another city. Also, the egress is based on their initiation into a process of maturity and divided into two types―autobiographical and dramatic transition story. This paper aims to distinguish their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texts of the three works in detail. Especially, it is possible that the egress of The Pearl is explained with both the styles depending on who is the hero of the story between Kino and the personified pearl. Besides, the takeoff of “Flight” is interpreted as the dramatic transition type, while that of The Forgotten Village as autographical one. Meanwhile, during more than half a century, the initiation story has been classified by Mordecai Marcus's idea according to its power as tentative, uncompleted, and decisive. However, the older typology is contingent on forms, not on contents. The newer one can reveal the speed of initiation, the tone and mood, the narrator's position, the clarity of a turning point, the role of supporting characters, the necessity of supplementary devices, the extent of the individual's conflict with the society, family relationship, the range of affecting factors, symbolic effect, 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e hero knows and what s/he does not yet kn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 the protagonist has. All in all, two types of egress based on initiation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research on initiation stories.

      • KCI등재

        생활치 미백제가 우치 법랑질의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준,김영주,김학근,박은종,서은주,황윤찬,오원만,황인남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서 home bleaching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표백 재료들이 치아 법랑질의 투명도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고찰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하루 전 발거한 우치 (bovine tooth)를 사용하였다. 치아의 순면에 수직되게 다이아몬드 드릴을 이용해 수주 하에서 직경 6 mm의 원통형 치아 시편을 만들어 순면이 노출된 상태로 투명한 아크릭 레진에 포매한 후, low speed diamond saw (Isomat, Buehler Co., USA)를 사용하여 1.2 mm 두께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시편은 순면을 먼저 편평하게 연마하고,절단된 면을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우치 25개)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머지는 대조군으로 하였다. Opalescence (10% carbamide peroxide, Ultradent, Milford, USA), Rembrandt (10% carbamide peroxide, DenMat, USA) 및 Opalescence F(15% carbamide peroxide with fluoride, Ultradent)를 시편의 순면에 1주일 동안 적용 (표백제는 24시간마다 교체)하였고, 설측면은 증류수를 적신 거즈에 접촉된 상태로 보관하였다 표백제를 적용하기 전과 적용 3, 5, 7일째에 시편의 삼자극치 X, Y, Z 값을 색채색차계 (Color & Color Differencemeter, 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Japan)로 백색 배경판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 측정하였다 백색 배경판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 측정된 Y값의 평균값을 이용해 contrast ratio를 계산하였다 얻어진 값을 One Way Repeated Measured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10% Opalescence처치군, 15% Opalescence-F처치군 및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증감을 보이지 않았고, Rembrandt처치군에서는 Contrast ratio가 증가하였다 (p < 0.01)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whether vital bleaching agents could influence on the translucency of the bovine enamel. The anterior bovine teeth that were extracted one day before and without any gross discoloration were obtained and then were preserved in physiologic saline. 6 mm cylindrical tooth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diamond puncher perpendicularly on labial surface of bovine tooth. After embedded in transparent acrylic resin with labial surface being exposed, they were cut to a thickness of 1.2 mm with low speed diamond saw (Isomat, Buehler Co., Lake Bluff, IL, USA). They were smoothly ground to 1 mm thickness of enamel with sandpaper. 24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Opalescence (10% carbamide peroxide, Ultradent, South Jordan, USA), Rembrandt (10% carbamide peroxide, DenMat, USA) and Opalescence F (15% carbamide peroxide with fluoride, Ultradent, USA) were applied on labial sides of the bovine enamel for 7 days (bleaching agents were reapplied every 24 hours) and the opposite surface was contacted to cotton that soaked in distilled water. The control group was soaked in distilled water. Three stimulus value X, Y and Z were evaluated with colorimeter (Color ' Color Differencerneter, 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Japan) on the labial surface of all specimen three times on white and black background plate before the bleaching agents were applied and on 3rd, 5th and 7th day after applied. The degree of translucency was normally assessed by measuring the inverse property, opacity (contrast ratio). 10% Opalescence, 15% Opalescence-F, and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translucency of bovine enamel, However Rembrandt decreased the translucency of it (p < 0.01).

      • KCI등재후보
      •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handicap

        김은주,김동일,박경숙,최종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는 그 동안 국가에서 시행하는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과정에 포함되지 못했던 장애학생들도 그들 각자의 장애특성에 맞는 검사 수정 및 조정 방법을 통해 이러한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지난 2002년에는 일반 평가 과정에 장애학생들이 동등하게 참여하고 평가 방법 및 절차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ㆍ기본학습능력을 평가하여 장애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였다. 2003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에 장애학생을 참여시키며,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대규모 평가과정에서 장애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과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사, 일반교사, 장애학생과 그의 학부모, 졸업생 등 5개 집단 총 2,644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결과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 수는 2,196명으로서 83.1%의 응답률을 보였다. 응답자 중 특수교사들이 89.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졸업생은 72.6%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 장애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들은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항목 별 무 응답자는 제외하였고 각 집단의 응답결과 중 장애영역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일반교사의 경우 초등과 중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특성상 여러 가지 경사 조정을 적용하게 되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해 국가수준의 평가과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간연장 조건(맹: 1.5배, 저시력: 20분 연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2001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와 「2002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의 국어ㆍ수학(중3 및 고1용) 평가지를 이용하여 고1, 고2 시각 장애학생 197명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실시되는 전과정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초등 6학년, 중학 3학년, 고등 1학년 장애학생 총 707명을 동등하게 참여시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을 조사하였다.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는 2004년도 분석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크게 3가지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필요성에 있어 응답자 대부분이 균등한 교육기회의 보장과 통합교육의 강조, 일반학생들과 장애학생들간의 성취수준 비교, 직접 평가를 통한 질 높은 교육과정의 제공 등을 이유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다음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학습에 대한 자기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교수제공에 필요한 정보 제공, 평가를 통한 장애학생의 동기유발강화, 진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개별화 프로그램 작성에 유용 등을 이유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중증장애 학생들에 대한 평가체제의 미비, 학습과의 연계성 부족 등의 부정적인 견해도 나타나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에 다른 문제들에 있어 학사일정의 중복과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결손, 평가방법의 미숙과 시간 배정의 문제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이나 시간변인의 조정 등을 통해 개선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평가실시와 관련된 필요한 지원이나 건의사항에 있어 관리자와 교사 모두 장애의 특성과 수준에 따른 적합한 평가문항의 개발, 평가대상 및 절차의 구체화, 의견 수렴을 통한 인식 공유, 중증 장애 학생을 위한 평가방법의 모색, 평가 시 인적 지원, 문항 수 감축과 평가시간의 확대, 일정에 대한 사전 통보 등이 문제점들로 지적되어 이에 대한 대비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분석 결과이다.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1차 평가에서는 기존의 시간 연장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을 그대로 적용하고, 2차 평가에서는 최대 시간 연장이라는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이상,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 이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1차와 2차의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차 평가의 경우 1차 평가보다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보였고, 이를 환언하면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검사 시간을 연장할 경우 일반학생들과의 학업성취수준의 편차를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평가에 적합한 시간량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추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실시 및 실시 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이다. 「2003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10월 23일 실시되어 평가 결과는 2004년도 연구에서 분석할 예정이며, 평가가 실시되었던 48개 특수학교의 학교관리자, 평가감독교사 및 평가관리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실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학교관리자나 특수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 평가가 '자기 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학습지도 가능', '일반학생들과의 객관적 비교를 통한 학생의 현재 학업성취도 파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학사일정이 중복되거나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 결손 등을 이유로 평가 실시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장애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평가 문항의 개발 및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되, 일반학생과 함께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해야 할 것이다. 평가 대상은 학생의 배치 상태와 상관 없이 모든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 중 초6, 중3, 고1과 고3으로 한다. 평가 교과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교과로 하고 장애학생의 특성상 교과 외 읽기ㆍ쓰기ㆍ셈하기와 정보활용능력, 사회성 능력, 기초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지기주도학습능력 등에 대한 평가도 실시한다. 학생의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의 적절성 판단, 교육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그리고 교육효과 점검에 평가의 활용 목적을 두어야 한다. 평가 시기는 9월~12월 사이 일반학생들과 같은 시기에 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 결과의 정보 중 각 학생의 성취 수준은 물론 평가와 함께 조사되는 학생의 과목별 흥미도와 선호도도 공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생의 장애인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장애유형 및 정도를 고려해서 검사조정 방법을 다르게 제공하되 검사 조정한 사실을 공개해야 하며, 평소 이러한 검사조정 방법에 익숙할 수 있도록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거나 수업 중의 조정과 일치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학생의 IEP에 검사조정의 필요성 여부와 검사조정 유형에 대해 기재하고, 검사조정 형태는 장애학생 본인이나 부모의 참여 하에 IEP팀에서 결정해야 한다. 평가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해 검사조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학생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시험에 보다 적극적이고 열심히 시험에 임하거나 좌절감을 덜 느끼게 하며, 시험을 치르는 전략에 변화를 가져오는 등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국가와 학교는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이나 장애 정도에 적합한 검사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이상적인 검사조정 형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시간연장에 대해 긍정적인 편이지만, 현재의 조건보다 확대된 조건을 있고, 기존에 없던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시간연장도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각장애학생의 경우 점자정보단말기와 같은 새로운 기자재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어 각 장애영역별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검사조정 방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평가 시 대독이나 대필, 수화 응답, 불필요한 자극제거처럼 독립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검사조정방법이 제기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독립된 공간 자체를 요구하고 있어 학생이 원하는 경우 독립된 공간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존의 검사조정 방법이 수정되거나 추가 지원 내용들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검토와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지적장애가 없어 일반학생 대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의 경우라도 장애 자체로 인한 학력 결손을 감안하여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이 평가에 참여시키되 나머지 장애학생에 대해서는 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거나 대안적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증화 되어가는 특수학교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때 학생의 장애유형뿐 아니라 장애 정도에 따른 평가 방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도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처럼 체계적인 행정상의 지원을 받아 실시함으로써 평가과정이 사전에 학교 일정에 포함되고, 평가관리 및 감독 교사들의 업무 추진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반적인 계획 및 추진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참여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문항 개발과정에 특수교육 전문가가 참여하여 가능하면 보편적인 설계방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점역이나 검사도구 조정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별도의 검토 과정 및 이중적인 예산낭비를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followed the previous KIS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2 :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ith appropriate test modification or accommodations. In 2002,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study to measure the 'maximum'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ying to find out the 'appropriate' testing modification/accommodations methods or procedures, which guarantee the 'fai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high-stakes tests without influence of their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3rd grade stud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instruments were the 'Basic Learning Skill Test' and the `Academic Screen Test for Underachievers at Middle School Level'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1. The present study tried to build up or get ready for the appropriate and continuous system fo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In pursuit of this purpose, we had som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lly' participate in the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irst of all, 2,644 respondents(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aduates, and the students' parents) answered their recognition on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relation to time extension was analyzed. Alth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various test accommodations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and testing accommodations option to time extension. Thus, we mainly analyzed the validity of current time extension practices(1.5 times of standard for the blind, 20 minutes extension per session for the weak-sighted) for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The subjects(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were 197(middle school students 86, high school students 111). The instruments were verbal and math tests of 2001 & 2002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e standardized their test scores using the nor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n, we compared the gain scores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effect Third, for 750 students with disabilities(6th, 9th, 10th grade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participating in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achievement correlates were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appropriate' accommodations fo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유전자와 연관된 VNTR 표지자인 D9S158 다형성의 연합

        김종원,채영규,정은기,김길숙,박강규,이영호,최인근,양병환,한진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정신분열병과 NMDA 수용체와 연관된 D9S158 유전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75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87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연합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9S158 유전좌위에는 모두 8개의 대립유전자가 있었고, 각 대립유전자는 cytosine-adenine염기가 반복되는 217염기쌍에서 233염기쌍의 형태였다. 먼저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대조군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환자군을 좀 더 동질적으로 만들기 위해 정신분열병의 가족력 유무, 음성 및 양성증상, 연성신경학적 징후, DSM-IV 임상아형에 따라 환자군을 나누어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특정 임상양상과 관련이 있는 대립유전자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D9S158 유전좌위와 정신분열병의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NMDA 수용체 유전자주위의 다른 표지자나 좀 더 유전적으로 동질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association study with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N=75) and normal controls(N=87) was perfor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9S158 polymorphism and schizophreni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Eight different alleles of a dinucleotide polymorphism on D9S158 locus were observed in both group. When we compared the frequencies of alleles between schizophrenics and normal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 increase homogeneity of schizophrenic group, we divided schizophrenic group by clinical phenotypes such as family history, negative and positive symptoms(PANSS), soft neurologic signs(NES-K) and DSM-IV diagnostic subtypes. Then we compared the frequencies of alleles among subgroups of clinical phenotyp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p〉.05). Although our findings fail to provide an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D9S158 locus, further investigation of other loci that are linked to NMDA receptor gene may be needed in genetically homogeneous subgroups of schizophrenia.

      • Mg₂SiO₄ : La, Ho 열형광선량계에서 활성제 농도가 글로우 커브에 미치는 영향 La, Ho TLD on Activation Concentration

        김영국,손인호,채건식,노경석,오재근,이은숙 경남대학교 신소재연구소 1996 論文集 Vol.6 No.-

        본 연구에서는 Mg₂SiO₄에 활성화 물질로 La, Ho를 첨가하여 열형광체를 제작하였고 불순물의 농도를 1wt.% ∼5 wt.%까지 변화시키면서 열평광강도의 glow curve를 측정하였다. 도한 열형광체의 glow curve를 peak shape법으로 분석해서 TL특성에 대한 포획 매개변수와 활성화 에너지, 발광차수, 선량의존성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선량계로서 타당성과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The Mg₂SiO₄: La, Ho thermoluminescent phospher has been prepared by sintring Mg₂SiO₄after doping the transition elements La and Ho. The heating rate is 10℃/sec at this thermoluminescent phospher are heated. The maximum peaks are found in the measured Mg₂SiO₄: La and Ho. TL glow curve at 229℃ and 345 C when the 1 wt.%-5 wt.%. The glow curve of TLD increased TL intensity and temperature of peak appears to the high temperature when the heating rate is l0℃/sec-25℃/sec.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main peak has been estimated by the peak shape method. The estimated activation energies are 1.77 eV. 1.52 eV respectively. The thermoluminescence process in Mg₂SiO₄: La and Ho are found to the 2nd order when the main peak of the glow curve is analyzed by peak shape method. The dose responses of Mg₂SiO₄: La and Ho TLD are linear up to intensity of X-ray.

      •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반도체용 대구경 스테인레스관의 내경 가공에 관한 연구

        김창근,이은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 of a large-diameter pipe to obtain smooth surface using Electropolishing after grinding using a non-woven fabric. Grinding using a non-woven fabric is possible under lower load and fine effect comparing with Wheel grinding. Also, the ion from the surface of the metal is eliminated by means of an electrical potential and current in Electropolishing. Electropolishing is used for leveling the surface, improving the physical appearance of the part, promoting corrosion properties and reducing contamination and adhesion of the surface.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machining of a large-diameter pipe for semiconductor using experimental design method.

      • 스테인레스 강과 알루미늄 합금의 전해연마 가공특성에 관한 연구

        김창근,이은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2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2 No.-

        In electropolishing, the ion from the surface of the metal is eliminated by means of an electrical potential and current. Electropolishing is being generally known as a replacement for mechanical finishing. In addition to making a surface smoother, it is a more visible means of brightening, deburring, cleaning, stress-relieving and improv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ost metals and alloys.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electropolishing STS304 and AI2024 in terms of current density, polishing time and electrode gap, etc.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상장간막정맥 -하대정맥 우회술 및 우심방 재삽입술을 이용한 Budd-Chiari 증후군의 치험 1 예

        김건언,김호성 대한혈관외과학회 1998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14 No.2

        The Budd-Chiari syndrome or hepatic venous outflow obstruction is a rare disorder resulting from the occlusion of the major hepatic veins or the suprahepatic inferior vena cava. Several surgical procedures lay claim to superior results but in this rare disease, the proper form of hepatic venous decompression may have to be individualized. Budd-Chiari syndrome caused by occlusion of IVC above the entrance of the major hepatic veins in 26 year-old-male patient is presented. Side to side mesocaval shunt using ringed PTFE graft (1.6 cm×10 cm) and interposition graft between right atrium to mesocaval graft were performed (1.6 cm×25 cm). Combined meso-cavo-atrial bypass that decompress both the portal system and IVC has been effective in relieving Budd-Chiari syndrome caused by occlusion of IVC at diaphra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