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에서 압박고 나사못의 안정성 및 유용성

        김종오,노권재,윤여헌,고영도,유재두,정준모,방한천,정재학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노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압박고 나사못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간의 상관 관계와 골절 양상에 따른 술후 고관절 기능을 평가 및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압박고 나사를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231명의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0세 이상 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방사선적 계측은 압박고 나사못의 활강 길이 및 내반각, 가압 나사 위치, 정복 상태, 원위 골편의 내측 전위를 측정하였으며 술후 기능은 Clawson의 기능 평가표로 하였고 골절 양상에 따라 방사선 계측과 기능 회복과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임상 결과는 불안정 골절에서 양호가 10례, 불량이 23례, 안정 골절에서는 양호 40례, 불량이 11례로 안정 골절에서 임상 결과가 좋았고(p<0.001), 압박고 나사 활강은 10 ㎜ 이상일 때 양호가 4례, 불량이 21례, 10 ㎜ 이하에서 양호가 46례, 불량이 13례로 10 ㎜ 이상 활강시에 술후 결과가 불량했다(p<0.001). 다르 방사선적 계측 요인은 결과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불안정 골절 중에서 전위 양상 골절의 경우 10㎜ 이상 활강이 12례, 10㎜ 이하 활강이 8례, 분쇄 양상 골절의 경우는 10㎜ 이상이 11례, 10㎜ 이하가 2례로 분쇄 양상의 불안정 골절에서 10㎜ 이상 활강이 의미있게 많았다 (p<0.001). 결 론: 10㎜ 이상의 지연 나사 활강은 고관절 기능 회복 약화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불안정 골절 분쇄 양상 골절은 이런 지연 나사의 활강이 과도하게 유발될 수 있으므로 불안정 분쇄 양상 골절에서 압박고 나사의 단독 사용은 재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stability and functional results,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factors and the outcome in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elderly.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231 patients, 84 patients with age above 60 were able to follow up for minimum 6 months. We measured the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varus degree, position of lag screw, reduction status and medialization of distal fragment radiologically. The functional outcome of the treatment was evaluated with the Clawson's result classification and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al results of measurement and the functional recovery depending on the Evans fracture classification. Results: There were good results in 40 cases out of 51 stable fractures, and in 10 cases out of 33 unstable fractures (p<0.001). In case of sliding of lag screw more than 10㎜,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4 cases, and poor in 21. And in case of sliding less than 10㎜,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46, and poor in 13. (p<0.001).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other radiologic factors and clinical results. In unstable type, there were 12 cases with lag screw sliding more than 10㎜ and 10 cases with less than 10㎜. In comminuted type, there were 11 cases with lag screw sliding more than 10㎜ and 2 cases with less than 10㎜(p<0.001). Conclusion: The sliding of lag screw more than 10㎜ may result in poor outcome. As in comminuted unstable pattern, sliding of lag screw might be excessive, the use of compression hip screw alone is not good treatment option.

      • KCI등재
      • 초음파 가이드를 통한 맥락막상강출혈의 치료

        이기헌,유재호,김태원,이상준,김신동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2009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4 No.1

        Purpose : Intraoperative suprachoroidal hemorrhage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We report a case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during phacoemulsification surgery, was managed properly. Methods : Suprachoroidal hemorrhage occurred during phacoemulsificaiton in other hospital. The patient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immediately after closing the surgical wound. On initial examination, iris and vitreous were prolapsed through surgical wound. Ciliary body was closely place to anterior chamber, and retina was not visible. Results : Prolapased ocular tissue were reduced by emergency operation. We controlled the patient’s intraocular pressure and inflammation. Ultrasonography was repeatedly performed to check the degree of liquefaction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After 9 days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onset, vitrectomy and drainage through sclera was performed. Postoperative state was stable with successful removal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After 2 weeks of secondary operation, retinal detachment has occurred on nasal retinal area, so we performed scleral buckling and endolaser photocoagulation. After 6 months, retina was attached well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in normal range. Conclusion : In suprachoroidal hemorrhage, drainage of suprachoroidal hemorrhage after liquefaction of thrombi is effective. After successful drainag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y accompany such as retinal detachment or elev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목적 : 술중 발생하는 맥락막상 출혈은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저자는 수정체 유화술 중에 발생한 맥락막상 출혈을 적절히 대처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과 방법 : 수정체 유화술 중 발생한 맥락막상강 출혈환자가 수술창을 봉합 후 즉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초진시 홍채와 유리체가 수술창을 통해 탈출되어 있었으며, 전방을 통해 모양체가 확인되었으나, 망막은 보이지 않았다. 탈출된 안구내 조직을 응급수술을 통해 복원 후 환자의 안압과 염증을 조절하였다. 초음파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맥락막상 출혈의 액화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출혈 9일 후 유리체 절제술과 공막을 통한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맥락막상 출혈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술 후 상태는 안정적이었다. 수술 2주 후 비측 망막 박리가 발생하여 공막돌륭술과 안구내 삽관 레이저술을 시행하였다. 6개월 후 망막은 잘 붙어있었으며, 안압은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결론 : 맥락막상 출혈의 경우 출혈의 배액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지만, 규칙적인 초음파를 통해 배액술의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맥락막상강 출혈의 성공적인 배액 이후에도 망막박리 및 안압상승과 같은 합병증의 동반에 대해 유념해야한다.

      •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 기반구축 방안

        최 재운, 김 영규, 한 헌석, 최 웅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2 忠北醫大學術誌 Vol.22 No.1

        연구목적: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임상시험 및 연구를 지원하는 기반구조(이하, 임상시험기반)에 대한 수 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가 발생하는 주요인은 연구비지원의 경향이 최근에 변하고 있는 것과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완공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병원의 연구역량 강 화가 절실히 필요하며, 임상시험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수행중인 임상시험 및 연구과제의 연구비 현황을 연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임상시험 및 연구를 지원하는 조직 및 서비스는 다음 자료를 검토하여 조사하였다: (1) 미국의 NIH 연구비 수혜액수 최고 순위 다섯 연구기관의 홈페이지, (2) 한국의 지역임상시험센터 홈 페이지, (3) 세 미국 연구기관의 전략계획서. 이렇게 하여 추출된 임상시험기반 항목을 다섯 가지 영 역(연구 인력, 지원 서비스, 공용 시설 및 장비, 정보기술, 기타 자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들 항목의 우선순위를 충북대학교병원 임상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임상시험기반의 각 영역에서 상위 우선순위로 나타난 항목은, (1) 연구인력 영역에서 연구 간호 사, 연구 교수, 생통계학자; (2) 지원서비스 영역에서 연구계획서의 과학적 검토, 연구설계를 위한 통 계지원, 피험자 모집 및 추적관리; (3) 공용시설 및 장비 영역에서 인체조직은행, 인체유래시료 은행, 영상의학 지원; (4) 정보기술 영역에서 연구자용 임상연구 관리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5) 기타 자원 영역에서 기관윤리심의 위원회 심사신청 및 서류작성 지원, 연구계획서 작성지원, 연구 를 위한 부서간 업무인증 및 조정, 임상연구관련 서식이었다. 결론: 충북대학교병원 교수들의 수요와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와의 협력을 고려하여, 임상시험기반 확 보를 위한 장단기 전략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하수처리비용을 감안하고 7Q10과 저수량에 기초한 영산강 수질관리방안 연구

        조재현,유태종 대한상하수도학회 2002 상하수도학회지 Vol.16 No.6

        Present condition of the Youngsan River pollution is serious.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erials and nutrients are high and algal bloom takes place frequently. The pollution is mainly caused by domestic wastewater input from urban areas like Kwangju and Naju City. In this study, 6 times of water quality surveys were done for mainstream and tributaries. Delivery ratios of each tributaries are calculated with the water quality and flow data. With Arc/View GIS, sub-basin are divided and pollution loads are estimated. These data are used for water quality modeling. River quality improvement effects are analysed with 5 scenarios including process upgrade of present WWTPs and construction of new WWTPs. These scenarios are applied for the Youngsan River based on the 7Q10 and Q275. And total wastewater treatment cost in the basin is analysed for each scenario.

      • Berberine 含有生藥의 β-cyclodextrin 포접화합물의 生體利用率에 관한 硏究

        양재헌,박선자,김영일 우석대학교 의약품개발연구소 1996 藥學硏究誌 Vol.1 No.-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of berberine inclusion complex were prepared and studied in this experiment. Inclusion complexes of berberine(BER) and methanol extract of Coptis Rhizomia(MEX) with B-cyclodextrin were prepared. The solubilities of BER and MEX were 0.14% and 1.79%, while those of BECD and MECD were 0.36 and 3.22% respectively. The lipid-water partition coefficients of Ber-B-CD indlusion complex(BECD) and MEX-B-CD inclusion complex(MECD) were more increased than BER and MEX respectively. The absorption rates of BECD and MECD in stomach, duodenum, and jejunum of ra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ER and MEX, which were more increased than BER and MEX respectively. The times required for the maximum serum concentration fo berberine from BER, MEX, BECD and MECD in mice were 30 minu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 maximum serum concentrations of berberine from BECD and MECD were higher than those from BER and MEX respectively. BECD was shown more increased antibacterial activity to all the gram positive bacteria, gram begative bacteria and mold than BER,MECD was shown more increased antibacterial activity to only S. epidermidis, K. pneumoniae, E. coli than MEX. The dissolutions of BECD and MECD were higher than BER and MEX respectiely. Therefore, it suggest that preparing of inclusion complex brings to prevention of coprecititated formation and improvement fo bioavailability of berberine.

      • KCI등재

        급성심근경색증의 조기진단에 있어서 Myoglobin의 진단적 의의

        이정헌,김종근,정병천,서강석,박정배,조용근,류재근,전재은,채성철,박의현 大韓應急醫學會 199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 Exact and early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essential for the subsequent routine management of this frequent cardiovascular disease. Currently, AMI has been diagnosed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history, electrocardiogram(ECG), and biochemical markers of myocardial necrosis. At present, many biochemical markers are used to diagnose AMI. In this study, the predictive values of serum myoglobin and creatine kinase-MB(CK-MB) were compar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Fifty-four consecutive patients who presented within 12 hours from onset of chest pain of presumed cardiac origin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Patients with trauma or renal failure were excluded. The serial serum myoglobin and CK-MB levels were obtained prospectively at admission and 2, 4, 6, 12, 24 and 48 hours after admission. We compare the levels of serum myoglobin and CK-MB within 2, 4, 6, 8, 10, 12, 24, and 48 hours after symptom onset respectively. And we compar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myoglobin and CK-MB. Results: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28 AMI patients were identified. Mean time from symptom onset to presentation was 4.1±1.3 hours. The predictive values of serum myoglobin were better than those of CK-MB within 6 hours after symptom onset. But, 6 hours after symptom onset, the predictive values of CK-MB were better than those of serum myoglobin. The false positive cases of serum myoglobin were 3-one was lung cancer with pleural effusion and the others were unstable angina. The false positive cases of CK-MB were 6-one case was viral myocarditis and the ohters were unstable angina. Conclusion: To compare the serum myoglobin and CK-MB in the diagnosis of AMI, serum myoglobin had better predictive values than CK-MB within 6 hours after symptom onset and use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AMI. But, 6 hours after symptom onset, CK-MB had better predictive values than serum myoglobin and useful in following up.

      • 조직진단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개발가능성에 관한 검토

        남중헌,배재학 울산대학교 1989 연구논문집 Vol.20 No.2

        조직진단은 조직개발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문제인식 중심의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가급적 객관적 자료를 많이 활용하는 조직진단 방법을 강조하고 또한 조직판단원리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시스템을 위한 팻키지 개발에 관하여 일반기업체에서의 관심과 요구가 매우 큼을 인식할 수가 있었다. Organizational Diagnosis is a problem-oriented work prior to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mphasize on the methods of Organizational Diagnosis through using the objective materials as much as possible and indicate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the manuals of organizational principles, and It was recognized there ar urgent concerns and demands toward developing the packages of expert system in almost every companies.

      • KCI등재

        Sealed amalgam restoration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이상헌,이상훈,이재천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1

        아말감은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 치과재료이지만 치질과의 접착서이 없어 와동의 형태에 의해 유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아말감 수복물은 산화물에 의한 변연봉쇄가 일어나기 전까지 초기에 큰 미세누출을 보이며 수복초기에 이를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으면 타액이나 미생물이 와동 내에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복 후의 과민반응, 충전물의 용해 및 파괴, 변연 변색과 2차 우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되며 치수 병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최근 기존 아말감 수복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질삭제를 줄이고 변연을 봉쇄하며 소와열구에 예방적 처치를 함께 할 수 있는 수복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이른바 sealed amalgam이라 한다. 이 술식은 예방적 확대 없이 병소만을 제거한 뒤 수복물 변연과 인접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함으로서 소와열구의 예방적 충전은 물론 수복물 변연과 치질사이의 틈을 봉쇄하여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아말감 수복 후 수복물의 마무리 처리와 전색재 적용시점을 달리하여 sealed amalgam 수복과 기존의 아말감 수복과의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30개의 상, 하악 소구치를 준비하여 Ⅴ급 와동을 소구치의 협, 설측에 형성하고 통상적 아말감 수복을 시행한 후 다음의 각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제 1군 : 24시간 후 연마 (대조군) 제 2군 : 연마하지 않음, 즉시 전색재 적용 제 3군 : 연마하지 않음, 열순환(thermocycling)500회 후 전색재 적용 위의 처리 후 각 군을 5℃와 55℃의 온도변화를 30초씩 번갈아 주며 총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한 후 1%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서 100% 습도가 유지된 37℃ 항온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치아를 레진에 매몰한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여 stereomicroscope를 사용해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미세누출은 연마하지 않고 바로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한 2군이 가장 낮았고, 연마만 시행한 1군이 가장 높았다. 2. 실험군 간의 미세누출 비교에서 연마만 시행한 1군은 2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군은 1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군은 3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Amalgam, though a widely used dental material, does not bond to the tooth substrate. Therefore, retentive preparation of the cavity is necessary. Such amalgam restorations, until corrosion products form and plug the margin, will show significant marginal leakage. Unless this is prevented early on, saliva and bacteria may enter the cavity, causing postoperative hypersensitivity,dissolution and collapse of the restoration, discoloration of the margin and secondary caries, leading to shortened life-span of the restoration and pulpal pathosis. Recently, a method of restoration has been introduced whereby tooth material can be preserved, cavity margin can be sealed and preventive treatment of pit and fissure can be administered while retaining all the advantages of conventional amaogam restorations. Such sealed amalgams involve removing the carious lesion without extending the cavity for prevention and using pit and fissure sealants to seal cavity margins and pit and fissures to reduce microleakage. In this study, finishing of the amalgam and sealant application were performed after different intervals following of amalgam restoration to compare the microleakage of sealed and conventional amalgam restorations. Thirty bicuspids were prepared with Class V cavity preparations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s. After amalgam placement, the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and treated accordingly. Group 1 : Polishing after 24 hours Group 2 : Immediate sealant application without polishing Group 3 : No polishing, but sealant applied after thermocycling 500 times After treatment, the samples were thermocycled 500 times between 5℃ and 55℃ with a dwell time of 30 seconds. After thermocycling, the snmples were dipped into 1% methylene blue kept in a 37℃ incubator at 100% humidity for 24 hours. The teeth were then embedded in resin and cut bucco-lingually along the tooth axis and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to determine the degree of microleaka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Group 2 showed the least microleakeage, while grorp 1 showed the greatest. 2.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microleakage conpared to group 2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1 and 3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icroleakage were also found between group 2 and 3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