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유역의 저류지 설계를 위한 계획모형 비교분석

        이재준,곽창재,이상원,Lee,Jae-Joon,Kwak,Chang-Jae,Lee,Sang-Wo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3

        도시화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도시재해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하여 도시 배수유역내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첨두도달시간을 지연시키고 방류량은 하수관거의 통수능 이하로 조절하는 방안을 활용하고 있다. 저류지를 설계 운영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문모형은 일반적으로 계획모형, 설계모형 및 운영모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영향평가서 22개소의 기 설계된 저류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여러 가지 저류지 계획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저류지 계획모형으로는 삼각형, 사다리꼴 설계수문곡선과 경험적 공식을 이용한 11가지의 모형을 적용하였다. 저류지 계획모형의 분석에서 on-line 저류지의 경우는 사다리꼴 형태 설계수문곡선을 채택하고 있는 이종태 등 모형(1991)의 결과가 대상 저류지의 실저류량과 가장 유사함을 보였고,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삼각형 형태 설계수문곡선을 채택하고 있는 Abt and Grigg 모형(1978)의 결과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Urbanization results in increased runoff volume and peak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w retardation methods including detention ponds, retention ponds, and infiltration ponds. In general, hydrologic models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are classified into planning model and design model. This study is comparing and analyzing of planning model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Detention ponds data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Report on 22 sit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roper planning models in this study. From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1) In case of on-line detention pond, Lee model(1991) is the best planning model and similar to real storage volume. 2) In case of off-line detention pond, Abt and Grigg model is much more proper model compared to other models.

      • KCI등재

        김치로부터 분리한 Exopolysaccharide생성 유산균 Leuconostoc kimchii GJ2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Lee, Jae-Joon,Lee, Yu-Mi,Chang, Hae-Choon,Lee, Myung-Yul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4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Leu.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ICR male and female mice. The test article was intraperitoneally or orally administered to both sexes of mice. Then followed a 14-day period of observation. In intraperitoneal acute toxicity test, mice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dosage of 0, 700, 900, 1,100, 1,300, 1,500, 1,700, 1,900, 2,100, 2,300 and 2,500 mg/kg. Intraperitoneal 50% lethal doses($LD_{50}$) of Leu. kimchii GJ2 was >2,500 mg/kg in male and female mice. In oral acute toxicity test, male and female mice were gavaged with Leu. kimchii GJ2 of five doses(0, 625, 1,500, 2,500 and 5,000 mg/kg). Oral $LD_{50}$ of Leu. kimchii GJ2 was consider to be higher than 5,000 mg/kg. Furthermore, no significant changes in general conditions, body weights, clinical signs and any gross lesions were observed in both sexes of mic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r orally with Leu. kimchii GJ2.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no adverse effect level of Leu. kimchii GJ2 is estimated to be over 2,500 mg/kg in the intraperitoneal route and 5,000 mg/kg in the oral route, respectively.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EPS생성 유산균 Leu. kimchii GJ2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복강 및 경구로 1회 시료물질을 최고 용량(복강: 2,500 mg/kg, 경구: 5,000 mg/kg)으로, 10마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복강 및 경구투여한 후 24시간 이내에 일부 시료투여군에서 부분적으로 사망례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시험동물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생존동물의 부검결과에서도 내부장기의 육안적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eu. kimchii GJ2는 복강 및 경구투여 시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투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산사의 항산화 활성과 돈육 떡갈비로의 적용

        이재준,이정선,최양일,이현주,Lee, Jae-Joon,Lee, Jung-Sun,Choi, Yang-Il,Lee, Hyun-Joo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산사 분말이 기능성식품의 식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산사의 항산화효과와 돈육 떡갈비 재료 중 육류 일부를 산사 분말로 대체하여 저장성 증진 효능을 지닌 기능성 떡갈비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산사 분말의 pH는 3.67이였으며,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각각 66.70, 8.93 및 3.02의 값을 나타내었다. 총 polyphenol과 총 flavonoid 함량은 산사 에탄올 추출물 농도 1,000 ppm에서 각각 127.00 mg/g와 54.05 mg/g로 나타났다. 산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82.26%로 합성항산화제인 BHT 및 BHA와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조구 떡갈비(N), 산사 분말을 0.5%, 1.0% 및 2.0% 첨가된 떡갈비(S1, S2, S3), 총 4종류 떡갈비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산사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p<0.05), 조회분은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과 가열감량은 산사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물리적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와 씹힙성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 구(S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는 육색의 경우에만 산사 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저장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pH가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다(p<0.05). 지질산패도를 측정한 결과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에 따라 TBA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p<0.05),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3)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미생물의 수는 1%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2, S3)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p<0.05), 1%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2, S3)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명도와 황색도는 산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저장 기간 상관없이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2% 산사 건조 분말이 육제품에 사용할 경우 기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육색이나 관능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Sansa (Crataegi fructus) extract in vitro, and 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s of Sansa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ansa extract were found to be 127.00 mg/g and 54.05 mg/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ansa extract was high and it was similar to the BHA and BHT. The Tteokgalbi was prepared by 0% (N), 0.1% (S1), 1% (S2), and 2% (S3) of the Sansa Powder. Addition of Sansa powder decreased the protein and lipid contents, but the ash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creasing the amount of Sansa powder in the pork Tteokgalbi tended to increase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values and the cooking loss (p<0.05). The addition of Sansa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and chewiness values, but did not affect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value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3 Tteokgalbi had the best score in color. Values of pH, total microbial counts, thiobarbituric acid (TBA)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dded Sansa powder relative to the normal (p<0.05). The S3 Tteokgalbi was significantly (p<0.05) more effective for delaying lipid peroxidation than the other groups. Sansa powder addition increased the L (lightness) and a (redness) values. Therefor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dding the Sansa powder to the pork Tteokgalbi tended to improv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during the chilled storage period.

      • KCI등재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재준,이유미,신형덕,정영심,이명렬,Lee, Jae-Joon,Lee, Yu-Mi,Shin, Hyoung-Duck,Jeong, Young-Sim,Lee, Myung-Yu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8

        본 연구는 새싹채소 혼합분말(배추, 유채, 브로콜리, 적무, 갓, 알팔파, 메밀 및 보리)이 혈액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식이의 5%와 10%로 4주간 급여한 후, 체내 지방조직의 지방 함량, 지방세포의 크기, 지방합성 관련 효소인 ME, 6PGDH, G6PDH, LPL 활성, 혈청 지질성상, 인슐린 및 렙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와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동시에 급여한 HF-CSL군과 HF-CSH군은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은 지방조직의 무게와 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F-CSL군과 HF-CSH군은 NF-C군보다도 낮은 경향이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급여한 HF-CSH군이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보다도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NF-C군보다 높았다.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방세포의 크기도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세포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인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지방조직 모두 HF-N군에서 가장 높았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고농도 첨가한 HF-CSH군은 ME와 G6PDH 활성이 가장 낮았으며, NF-C군과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조직의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저하되었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첨가한 HF-CSH군은 NF-C군가 비슷한 LPL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흰쥐의 경우 식이섬유소를 첨가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을 급여 시 체중 및 체지방 함량 증가,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 증가, 지방합성관련 효소 활성 증가를 유도하며, 식이 지방의 섭취 수준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이러한 결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 섭취로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슐린, 렙틴 농도의 변화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로 유도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der on serum and adipose tissu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fat diet for 4 weeks for induction hyperlipidemic model rat. Weight-matche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ive groups according to dietary fat level (10% or 20% of diet wt.) and mixture of vegetable sprout powder levels (5% or 10% 10% or 20% of diet wt.). Vegetable sprout powder was the mixture of same amounts of dried barley, broccoli, rapeseed, alfalfa, radish, mustard, buckwheat and brussels sprouts. Experimental groups were normal fat diet with 5% cellulose (NF-C), high fat diet without fiber (HF-N), high fat diet with 5% cellulose (HF-C), HF-C diet with 5% vegetable sprout powder (HF-CSL), and HF-C diet with 10% vegetable sprout powder (HF-CSH). The body weight of HF-N group increased 16% compared with the NF-C group, while it was decreased by 15% and 22% for HF-CSL group and HF-CSH group, respectively. Fat mass and fat cell size of adipose tissue were lower in HF-CSL group and HF-CSH group compared with HF-C group, and lower in HF-CSH group compared with HF-CSL group.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were markedly decreased by vegetable sprout powder containing diet, while the serum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contents were higher in vegetable sprout powder containing diet in a dose-dependent manner. Leptin and insulin levels in serum showed a decrease in HF-CSH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ntent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leptin and insulin in the serum of HF-N group were returned to normal or even below normal levels by feeding 10% vegetable sprout powder diet. The increased activities of NADP-malate dehydrogenase (M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and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6PGDH) and lipoprotein lipase (LPL) in adiposetissue by HF-N group were decreased to the activity of normal fat group by feeding vegetable sprout powder in a dose-dependa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fat diet was suppressed by feeding vegetable sprout powder.

      • KCI등재

        김치로부터 분리한 Helicobacter pyroli 억제능 유산균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연구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Lee, Jae-Joon,Lee, Yu-Mi,Chang, Hae-Choon,Lee, Myung-Yu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8

        본 연구는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김치 유래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을 가지고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독성평가 실험을 수행하고자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 투여군인 2,000 mg/kg에서도 일반증상관찰,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및 물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에서 시험물질과 관련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의 육안적 관찰 및 장기 중량변화에서도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모두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으므로, 최대 무해 용량은 2,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 결과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은 저독성물질로 판정되었으며, 유산균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소화성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안전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있는 김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peated-dose toxicity in male and female rats orally administer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MD1, an anti-Helicobacter pyroli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10 animals in each group. The test article was administered once daily by gavage to rats at dose levels of 0, 500, 1,000 and 2,000 mg/kg for 4 weeks. No test article-related deaths and clinical findings in both sexes of rat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resulted.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body weight changes, food intake consumption and water consumptions. Hematological parameters, serum biochemical analysis and any other findings did not also show any significant or dose-dependent alterations. There were no alterations in absolute and relative organ weights by the administration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is considered to be more than 2 g/kg in male and female rats.

      • KCI등재

        국토 어메니티 평가지표 개발

        이재준,최석환,김선희,Lee, Jae-Joon,Choi, Seok-Hwan,Kim, Sun-Hee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1

        본 연구는 국토 및 지역에서의 어메니티를 활용한 접근체계를 크게 '어메니티 수준평가', '어메니티 자원 가치평가' '어메니티 자원 활용방안'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접근체계에 따라 필요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어메니티를 활용한 전략은 먼저 지역의 어메니티 수준을 평가하여 자가진단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통해 3개 부문 10개 중항목 42개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지역, 농 산촌지역, 어촌 연안지역, 환경지역 등 공간단위별로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단위별 핵심지표와 중요지표, 선택적 활용지표를 도출하였다. 지역의 대표적인 어메니티 자원을 발굴하기 위한 가치평가지표는 문헌조사 및 전문가 FGI를 통해 3개 부문 14개 세부 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6개 핵심지표, 6개 중요지표, 2개 선택적 활용지표로 구분하였 다. 어메니티 자원 가치평가지표는 '생태적 보존가치', '자연 경관의 독특함', '생태적 복원가치' 등 자연환경적 가치와 '역사 문화적 보존가치', '자원의 개성', '미적 가치' 등의 문화적 가치가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어메니티 자원 활용 방안은 기존 사례를 바탕으로 '보전 복원', '계획적 이용', '산업적 이용' 등 3개 부문 1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공간단위별로 핵심지표와 중요지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역에서는 '창조 적 공간개발화'와 '경관관리', '문화컨텐츠화' 등의 7개 항목이 핵심지표로 도출되었으며, 농 산촌지역과 어촌 연안지역 에서는 '지역브랜드화', '상품브랜드화', '관광자원화' 등의 8개 항목이 핵심지표로 도출되었다. 또한 환경지역에서는 '자연 자원보전', '역사 문화자원 보전', '자연생태계 복원' 등의 6개 항목이 핵심지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들은 지역의 어메니티 계획과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나, 지역이 가지는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재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자체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관련 지표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새로이 개발하여 지역의 어메니티를 최대한 활용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aims to, first, classify the approach system of utilizing national and local amenities into three groups: evaluation of the level of the amenity, evaluation of the value of amenity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Secondly, the study aims to derive an evaluation index which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pproach system. As for a strategy of utilizing amenities, the self-diagnos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level of local amenitie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ree sectors, ten items and 4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though specialists, FGIs(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cases within and outside of the country. In the survey with specialists, a unit-space key index which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unit-space characteristics(such as urban and rural area, fishing villages, mountain villages, and littoral areas), environmental area, important index and optional index have been derived. As for the evaluation index which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ypical local amenities resources, 14 detailed evaluation indexes from three sectors have been derived. These have been classified again into six key indexes, six important indexes and two optional indexes. In the evaluation index of amenity resources, natural and environmental value-such as ecological value of preservation, uniqueness of aesthetic landscape and ecological value of restoration-historic and cultural value of preservation and individuality of the resources, and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are derived as being important. As for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15 items from three sectors-such as reservation, restoration, intentional use, and industrial use-have been derived. Also, through a survey with specialists, key indexes and important indexes were derived by unit-space. As a result, in urban areas, seven items-including creative development of space, aesthetic landscape control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have been derived as key indexes; in rural areas, mountain villages, fishing villages and littoral areas, eight items-including brand of region, brand of the products, and brand of tourism resources-have been derived. In environmental areas, six items-including 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 and restoration of ecosystem-have been derived. Indexe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order to establish a strategy for amenity plans and an implementation strategy, but can be readjusted, allowing for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thus, advisable that local governments selectively utilize index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r newly develop them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regional amenities.

      • KCI등재

        수입관리에서 회귀모형 기반 수요 복원 방법

        이재준,이우주,김정환,Lee, JaeJune,Lee, Woojoo,Kim, Junghwan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3

        정확한 수요예측은 수입관리(RM)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기 출발편 예약 데이터는 미래 출발편의 수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는데, 이 중 일부 데이터에는 예약 요청이 거부된 경우가 포함된다. 거부된 예약 요청은 통계학적 관점에서 중도절단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도절단된 수요를 복원하는 것은 미래 출발편의 참수요 예측을 위해 중요한 사안이다. 현재까지 여러 복원방법들이 소개되었으며, Expectation Maximization 방법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절단된 자료를 복원할 수 있는 회귀모형 기반의 새로운 수요복원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새로운 방법의 성능을 RM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복원방법들과 비교하였다. Accurate demand forecasting is a crucial component in revenue management(RM). The booking data of departed flights is used to forecast the demand for future departing flights; however, some booking requests that were denied were omitted in the departed flights data. Denied booking requests can be interpreted as censored in statistics. Thus, unconstraining demand is an important issue to forecast the true demands of future flights. Several unconstraining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and a method based on expectation maximization is considered superior.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unconstraining method based on a regression model that can entertain such censored data. Through a simulation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with two representative unconstraining methods widely used in RM.

      • KCI등재

        도시유역에서 저류지 설계를 위한 특성인자 분석

        이재준,김호년,곽창재,Lee. Jae-Joon,Kim. Ho-Nyun,Kwak. Chang-Jae 한국방재학회 200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6 No.4

        도시화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도시재해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하여 도시 배수유역내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하수관거의 통수능 이하로 방류량을 조절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기초계획 단계에서의 저류지 설계를 위해서는 복잡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제반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대표적인 관련 주요변수를 택하여 저류용량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저류지 계획모형이 이용되고 있다, 기왕의 저류지 계획모형에서는 주로 도시화 특성인자인 첨두유량비<TEX>$(\alpha)$</TEX>와 도달시간비<TEX>$(\gamma)$</TEX>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영향평가서 22개소의 저류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도시화에 따른 도시배수유역 특성인자와 저류지 특성인자간의 분석을 통해 저류지의 계획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첨두유량비 <TEX>$\alpha$</TEX>가 도달시간비 <TEX>$\gamma$</TEX>보다 저류 용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민감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개발전 후의 유출계수비 <TEX>$\beta$</TEX>가 설계강우강도의 지역계수 n값 보다 <TEX>$\alpha$</TEX>에 미치는 영향이 작음을 알 수 있었다. 사다리꼴 설계수문곡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우지속기간이 저류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Urban development results in increased runoff volume and flowrates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Flow retardation structures to limit adverse downstream effects of urban storm runoff are used.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w retardation measures include detention basins, retention basins, and infiltration basins. In basic planning phase, a number of planning models of detention ponds which decide storage volume by putting main variables were used to design detention ponds. The characteristics of hydrological parameters <TEX>$\alpha,\;\gamma$</TEX> which are used in planning models of detention pond were analyzed. In this study, detention ponds data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report at 22 site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 of urban drainage basin parameter and characteristics of detention pond parameter due to urbaniz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storage volume was influenced by peak discharge ratio <TEX>$\alpha$</TEX> more than runoff coefficient ratio <TEX>$\beta$</TEX> and peak discharge ratio <TEX>$\alpha$</TEX> was influenced by runoff coefficient ratio <TEX>$\beta$</TEX> less than regional parameter n. Storage ratio was mainly influenced by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the case of trapezoidal inflow hydrograph such as Donahue et al. method.

      • KCI등재

        진동 패턴의 평균 변화 탐지를 위한 누적합 관리도

        이재준,김덕래,이종선,Lee, Jae-June,Kim, Duk-Rae,Lee, Jong-Seon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6

        공정관리에서 작은 평균변화를 탐지하기 위하여 누적합 관리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기상관이 존재하는 공정의 경우 시계열 모형에 적합하여 구한 잔차를 관리도에 적용하는 모형기반 관리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정에 일정한 크기의 지속적인 수준 변화가 발생하면 잔차에는 동적 평균변화의 패턴이 나타나게 되어 누적합 관리도의 탐지능력은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잔차에 등락을 반복하는 진동(oscillation) 특성의 동적 평균변화가 발생하는 ARMA(1,1) 모형을 대상으로, 그러한 변화를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OCUSUM 관리도를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최근에 소개된 기존의 CUSUM 관리도와 탐지능력을 비교하였다. The cumulative sum(CUSUM) control charts are typically used for detecting small level shifts in process control. To control an auto-correlated process, the model-based control methods can be employed, in which the residuals from fitting a time series model are applied to the CUSUM chart. However, the persistent level shifts in the original process may lead to varying mean shifts in residuals, which may deteriorate detec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Therefore, in this paper, focussing on ARMA(1,1), we propose a new CUSUM type control method which can detect the dynamic mean shifts in residuals especially with oscillating pattern effectively and, through the simulation study, evaluate its performance by comparing with other various CUSUM type control methods introduced so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