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시체 크기가 변형강도를 이용한 소성변형 추정에 미치는 영향
이문섭,도영수,김광우,최선주 한국도로학회 2004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6 No.3
This study dealt with size effect of specimen in measuring deformation strength and estimating rut resistance of asphaltconcretes under static loading using Kim test. Two aggregates, a normal asphalt (pen 60-80) and 6 polymer- m o d i f i e dasphalt (PMA) binders were used for preparation of 14 dense-graded mixtures. Mixtures were prepared based onoptimum asphalt content by Marshall compactor (S = 10cm) and gyratory compactor (S = 15cm) for Kim test and forwheel tracking test. In statistical analysis by general linear model (GLM) procedure of SAS, the diameter of specimenwas found not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 the Kim test resul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ither 10cm-diameteror 15cm-diameter of specimen g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formation strength (KD) values in Kim test for anyaggregate mixture. However, the thickness of specime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KD. It isestimated that K D is a function of y, vertical deformation, and y has something to do with thickness of specimen.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thickness of specimen should not be higher than 6.6cm, and the correction factordepending on the thickness value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study. 본 논문은 정하중하에서 김테스트를 사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소성변형과 변형강도가 공시체에 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2가지 골재(편마암, 화강암)와 6가지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총1 4개의 밀입도 혼합물을 사 용하였다. 마샬 배합설계를 통해 최적아스팔트 함량을 구하고 결정된 최적아스팔트 함량으로 마샬공시체( S = 1 0 c m )와 자이레토리 공시체( S = 1 5 c m )를 제작하여 마샬안정도시험, 휠트래킹시험, 개발된 김테스트(Kim test)를 수행하였다. SAS 분석을 통하여 공시체의 지름이 김테스트의 결과에 중요한 변수가 아닌 것을 알았으나 공시체의 두께는 KD에 주용한 변수가 되는 것을 알았다. KD값에 y값이 사용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시체의 두께를 6.6cm 이상으로 제작하여 김테스트에 적용 할때에는 마샬안정도에서와 같이 y값에 따른 보정계수를 사용하거나 시험시 6.6cm 미만으로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보정계수 사용에 관한 연구도 가능할것으로 판단된다.
찰옥수수 연구: Ⅹ. 육성된 찰옥수수 교잡종의 식물학적 특성 및 식미관련 이화학적 형질
이문섭,복태규,최윤표,홍범용,조양희,이희봉 한국작물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6 No.1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을 계통육성하여 충남대학교 옥수수 유전 육종 실험실에서 새로 작성된 찰옥수수 교잡종을 2009년 5윌에 본 대학 옥수수 육종포장에서 재배하여 얻은 주요 식물학적 특성, 식미관련 물성검정, 영양가 분석 및 식미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찰옥수수 15개 교잡종에 대한 간장은 CNU08H-h39에서 235.7 cm, CNU08H-15에서 182.3 cm 범위로 공시종간에 큰 변이를 보였으며, 착수고 역시 Daehakchal Gold 1에서 83.7 cm, CNU08H-15에서 35.3 cm로 큰 차이를 보였다. 2. 이삭길이는 공시종 중에서 CNU08H-h121이 24.1 cm로 가장 길었고, CNU08H-71이 12.9 cm포 가장 작았으며 이삭직경은 Daehakehal Gold 1이 46.8 mm로 가장 굵고 CNU08H-69에서 26.1 mm로 가장 얇았다. 3. 공시종의 평균 당도는 15brix로 나타났는데 특히 CNU08H-15, CNU08H-35, CNU08H-h39, CNU08H-h102의 교잡종이 16 brix로 높은 편이었고 CNU08H-39에서 13 brix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피는 대조구인 연농찰이 46.0um 로 가장 두꺼웠고 CNU08H-39가 23.0um 로 가장 얇았다. 4. 생체이삭 내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인 Ilmichal이 1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NU08H-39가 8.6%으로 가장 낮았다. 아밀로펙틴 함량은 CNU08H-15의 교잡종이 94.5%로 가장 높았고 CaNU08H-71 에서 90.5%로 가장 낮았다. 5. 공시종에 대한 관능 평가 결과 대학찰골드 1호, CNU08H-h121 그리고 CNU08H-39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인 연농찰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botanical characteristics,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table quality and feed values and develop a new variety among 12 developed waxy com hybrids. These materials were produced in 2008 and cultivated in 2009 at Com Breeding and Genetics Farm of Coll. of Agri. & Life Sci., Chungnam Nat'l Univ.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sed waxy com hybrids showed large difference among hybrids; stem height, ear height and ear length. In physical properties, range of kernel sugar content among used hybrids appeared 16.1 to 13.0brix(%). CNU08H-15, CNU08H-35 and CNU08H-h39 among these were highly appeared as 15 above and pericarp thickness of Yeonongchal was very thick as 46.0~mum , while CNU08H-39 among hybrids showed the thinnest as 23.0~mum compared to other hybrids. Protein content as a indicator of table quality was the highest in Ilmichal among hybrids, while that of CNU08H-39 was the lowest, while amylopectin content was the highest as 94.5%, From experimental results, Daehakchal Gold 1, CNU08H-h121 and CNU08H-39 including check Yeonyoungchal were highly evaluated as new hybrid in thinner pericarp, high amylopectin and chew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