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세변화와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 비교

        신윤아 ( Y. A. Shin ),김민정 ( M. J. Kim ),안재흥 ( J. H. Ah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3

        신윤아, 김민정, 안재흥. 자세변화와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 비교. 운동과학, 제20권 제3호. 249-260, 2011.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정 시 자세변화와 운동 시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와 혈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8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들(20.25±0.43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안정 시 누운자세,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심박수 변이도를 10분씩 측정하고 유산소와 저항운동 30분 동안 심박수 변이도를 측정하였다. 안정 시 심박수 변이도는 자세변화에 따라 심박수(p<.001), 이완기혈압(p<.05), mean R-R(p<.01) 및 LF/HF(p<.01)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누운자세에 비하여 앉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p<.01). 유산소운동 시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01), total power(p<.05), VLFP(p<.01), LFP(p<.05), LF/HF(p<.01)에서 운동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저항운동 시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01), total power(p<.01), VLFP(p<.01), HFP(p<.05)에서 운동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형태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는 심박수(p<.01), VLFP(p<.05), HFP(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혈압은 수축기 혈압만이 유산소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심박수 변이도는 자세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저항운동은 미주신경과 말초교감신경의 활성을 증가시켜 심혈관계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blood pressure (BP) according to the posture and exercise type. Eight male university students (20.25±0.43 y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HRV was assessed for 10 minutes at rest and 30 minutes during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separatedly.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01), DBP (p<.05), mean R-R (p<.01), and LF/HF (p<.01) according to the difference posture. Heart rate, DBP, mean R-R, and LF/HF were shown higher in sitting and standing posture than supine posture (p<.01).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01), total power (p<.05), VLFP (p<.01), LFP (p<.05), and LF/HF (p<.01) during aerobic exercise and heart rate (p<.001), total power (p<.01), VLFP (p<.01), and HFP (p<.05) during resistance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type, 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p<.01), VLFP (p<.05), and HFP (p<.01). SB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erobic exercise. Therefore, HRV wa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posture and exercise type. The cardiovascular response to exercise was controlled through cardiac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peripheral sympathetic nerve activity by resistance exercise.

      •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신경정신행동학적 성격 변화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신윤,박소원,권혁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환자의 신경정신행동학적 성격 변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10주 동안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C병원과 N병원에서 만성 뇌졸중 외래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간단한 설문을 통해 성격변화를 호소한 환자에게 신경정신행동검사-간편형(NPI-Q)와 세계보건기구 한국판 삶의 질 간편형 척도(Korean WHOQOL-BREF)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이 탈억제 특성을 많이 나타내었고, 45세 이상 64세 이하의 집단이 불안을, 45세 이하 집단이 과민/불안정의 성격 특성을 많이 나타내었다. 그리고 4년 이상 5년 11개월 집단이 망상을, 2년 이상 3년 11개월 집단에서 무감동/무관심 특성이 주요하게 나타났으며 치료형태에서는 불안이 기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결과에서는 발병시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에서는 남성이, 연령에서는 45세 이하 집단이 삶의 질이 낮았다. 치료형태에서는 자가운동만을 실시하는 집단이 가장 높은 삶의 질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활치료를 실시하거나 지역사회 복귀를 준비하는 만성의 뇌졸중 환자에게 이러한 신경정신행동학적 성격 특성을 고려하여 가족이나 돌봄을 실시하는 보호자들 또한 특징 및 변화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어야겠다.

      • KCI등재

        농구 운동프로그램이 과체중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조성,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 ( Yun A Shin ),김지태 ( Ji Tae Kim ),석민화 ( Min Hwa Suk ),김강일 ( Kang Il Lim ),류현승 ( Hyun Seung Ryu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과체중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24주간 농구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신체조성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체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신체조성의 변화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체력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남자 지적장애학생 중 과체중인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군(7명)과 대조군(8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농구 운동프로그램은 24주간 주3회, 60분간 실시되었고, 대조군에게는 건강정보만 제공되었다. 본 연구 결과 농구 운동프로그램 후 운동군은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와 이완기혈압의 유의한 감소와 고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유의한 증가를 보여 대사증후군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의 변화는 혈압과 순발력에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체력요인 중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에서 운동군이 유의하게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비만지적장애학생에게 24주간 농구 운동프로그램은 신체조성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면서 체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은 어린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대사증후군 위험수준의 증가를 보여, 지적장애인들에게 적절한 건강정보제공과 관리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24-weeks basketball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metabolic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in overweighted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ifteens volunteer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ercise group(n=7) and control group(n=8).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a supervised basketball program for 24-weeks (60 min, 3 day per week), after 24weeks basketball program, body weight, BMI, %Fat, waist circumference and DBP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HDL-C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power and cardiovascular fitness increased after training. In addition, the changes of body weight, BMI and %Fat were positively related to blood pressure and muscle power. As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24-weeks basketball exercise program may reduce the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and improves physical fitness in overweight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고강도 저항훈련 시 신체조성, 호르몬 및 근력변화 비교

        신윤,김기홍,석민화,임미영 대한운동학회 2012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4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hormone after 10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According to gender. [METHOD] Seventeen young men(n=9) and women(n=8) completed 10 weeks of heavy-resistance training with large muscle 4 days/week. [RESULT] After 10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body weight, BMI, muscle mass, and body fat increased in men. However, body weight, BMI, and body fat decreased and muscle mass increased in women. Growth hormone and Insulin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Absolute strength of shoulder press, lat pull down, biceps curl and strength per lean body mass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before resistance training and in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after resistance training. Absolute strength of squat, leg extension, and leg curl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before resistance training and in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after resistance training. Leg extension and leg curl per lean body mass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before resistance training but squat per lean body mass didn'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before resistance training.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muscle mass, upper and lower muscle str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and body fat de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after 10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Absolute gains in muscle strength in response to heavy-resistance training typically were more in men than in women. Relative the changes of muscle strength per lean body mass increments after resistance training, however, may be more in women than in men. Therefore, no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hanges of muscle strength and anabolic hormone after heavy resistance training,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s of relative change were not found in both men and in women. [서론] 본 연구는 10주간의 고강도 저항훈련 시 성별에 따른 신체조성, 호르몬 및 근력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피험자는 D대학교 다니고 있는 20대 초반 남․여 대학생의 남성 9명, 여성은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주간 주4회의 고강도 저항훈련을 실시하였다. [결과] 10주간의 저항훈련 후 남성은 체중, 체질량지수, 제지방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여성은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이 감소하고, 제지방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성장호르몬과 인슐린은 성별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저항훈련 전 절대적 및 제지방량 당 shoulder press, lat pull down, biceps curl 근력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저항훈련 후 남성과 여성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항훈련 전 절대적 및 제지방량 당 squat, leg extension, leg curl 근력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고 저항훈련 후 남성과 여성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저항운동은 성별에 상관없이 제지방량을 증가시키고 체지방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체와 하체의 근력을 남성과 여성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적 근력으로 나타낼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근력을 나타냈으나, 제지방량 당 근력은 여성이 남성보다 큰 변화량 혹은 유사한 변화량을 나타내어 저항훈련에 따른 근력변화의 성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호르몬과 인슐린 및 코티졸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전거 운동 시 종아리 기능성 의류 착용이 최대 무산소성 파워와 근통증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Shin, Yun-A),최남영(Choi, Nam-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자전거 운동 시 종아리 기능성 의류 착용이 최대무산소성 파워와 근통증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실시되었다. 10명의 피험자들이 7일 간격으로 종아리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2가지 조건의 자전거 운동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종아리 기능성 의류의 착용여부에 따른 최대 무산소성 파워를 알아보기 위하여 윙게이트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근통증과 피로회복을 알아보기 위하여 10km 자전거타기와 회복 15분을 측정하였다. 최대 무산소성 파워와 평균 무산소성 파워는 종아리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착용하였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10km 자전거 타기 후 심박수와 근통증은 종아리 기능성 의류 착용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통증의 지표인 젖산수준은 종아리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보다 착용하였을 때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종아리 기능성 의류의 착용은 무산소성 파워를 증진시키고, 자전거를 탈 때와 타고난 후의 근피로를 감소시켜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f"s compression garments on maximal anaerobic power, muscle pain, and recovery during cycling. Ten participants performed 2 sessions separated by 7 days, with and without calf"s compression garments during cycling and 15 minutes post cycling. Participants performed wingate test for maximum anaerobic power and 10km cycling for muscle pain and recovery of fatigue in wearing and non-wearing of calf"s compression garments. Maximal anaerobic power and mean anaerobic pow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earing compression garments compared to non-wearing compression garments. Following 10km cycling, heart rate and muscle pain did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r without compression garments. Lactic acid, as muscle fatigue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wearing compression garments compared to non-wearing compression garments. Therefore, wearing compression garments improved anaerobic power, reduced fatigue and faster recovery during and post cyc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