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에 대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연구

        김일수 ( II Soo Kim ),정훈영 ( Hoon Young Jung ),전헌선 ( Hun Sun Ju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에 대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차이를 밝히고, 관련 변인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체육교사로, 교사 관련 배경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 경력, 연령, 설립 형태, 학교 종류, 학교급별, 연수경험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고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기초통계량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범주형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체육교사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 목표 영역에서 여교사, 교육경력과 연령이 낮은 교사, 발달장애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교육과정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내용 영역에서 고등학교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영역에서 여교사, 연령이 낮은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수학교 체육교사는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체육과를 발달장애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교육과정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physical education in the 2008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eachers` background were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establishment form, school type, class type, and training experi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2008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are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type, class type, and training experience in the goals category, class type in the contents category, and gender, age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category. That is, the teacher who was woman and have been lower teaching experience and age were highly recognized in the goals category. In addition, the teac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chool and high school class in the contents category and who was woman and have been lower age i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were highly recognized.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2008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are school type, class type, and training experience. That is, the teac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school and high school class were high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teachers who have been more training experienced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highly recognized as to the 2008 revised special school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특수체육지도자의 스페셜올림픽 참여경험과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

        채규연 ( Kyu Yeon Chae ),조영희 ( Young Hee Ch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지도자들의 스페셜올림픽 참여경험이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특수학급 교사, 사회복지기관의 특수체육 담당교사와 지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중 참여자 108부, 비참여자 111부, 총 219부 설문지를 분석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Spodek(1985)의 신념분류기준과 Peters 등(1985)이 제시한 신념측정도구(Beliefs Test Inventory)와 최선미(2001)와 임종미(2005)의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체육지도자의 스페셜올림픽 참여에 따른 교육신념은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집단이 비참여 집단에 비해 교육신념이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은 성숙, 행동, 상호작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신념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교육신념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행동주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특수체육 전공유무에 따른 교육신념은 특수체육 전공한 지도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지도경력에 따라서는 3년 이하-5년 이하의 경우 교육신념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5년 이상에서 낮아졌다. 근무시설에 따른 교육신념에서는 특수학교가 사회복지시설,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비해 높은 교육신념을 나타냈다(p<.05).셋째, 특수체육지도자의 스페셜올림픽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교육신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p<.05), 하위요인별로는 성숙과 행동주의적 교육신념에서 6회 이상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의 교육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스페셜올림픽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의 대회규모에 따른 교육신념에서는 국내, 국제대회에 모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들의 교육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신념의 하위요인별로는 성숙과 행동주의적 교육신념에서 또한 국내, 국제대회에 모두 참여한 특수체육지도자들의 교육신념이 높게 나타났다(p<.0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instructors` participation in Special Olympics influences their educational fai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9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instructors of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and welfare center, including 108 who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and 111 who did not. The research tools employed by this study include Spodek(1985)`s categorization of beliefs, the Beliefs Test Inventory by Peters(1985),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Choi Seon-mi`s 2001 study, modified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used in some past studies on educational faith (Oh Chae-seon, 1990; Han Ji-hye, 1992; Heo Hye-gyeong, 1994; etc.) to suit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show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than those who had not. Among the sub-factors of educational faith, maturity, behavior, and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relevant,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Special Olympics-experienc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with respect to age. As for the college major of the participant, those who majored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ducational faith, only inter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experience, the participants with 1 to 5 year experience showed an increase in their educational faith, but the level of faith was found to decrease after 5 years. In regard to the facility type, those working at special schools show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than those working at welfare facilities or those teaching special classes within regular school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rd, the analysi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5) in educational faith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each instructor had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As for the sub-factors of educational fai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aturity and behavior of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Special Olympics 6 times or more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As for the size of the event,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vent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faith while those who had participated only in international event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educational faith (p<.01). The instructors with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ecial Olympics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higher in educational faith in terms of maturity and behavior (p<.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interaction.

      • KCI등재

        특수체육 미래를 위한 교류와 협력 : 특수체육학 학제 간 연구의 새로운 시작

        구교만 ( Kyo Man Koo ),박채희 ( Chae Hee Park ),조창옥 ( Chang Ok Ch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최근 몇 년 전부터 특수체육 분야에서 현장 중심의 연구 활동이 강조되면서 더더욱 특수체육을 전공하는 학자들을 비롯하여 현장에서 근무하는 많은 지도자들이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유익한 정보와 필요한 자료를 특수체육 내에서만 수집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얻어내는데 한계에 부딪치고 있음을 종종 발견하고 경험하고한다. 이 논문은 현재의 특수체육 발전과 양질의 특수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어떻게 학제 간의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는가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특수체육학 관련 학회지와 체육학 관련 학회지 등을 중심으로 특수체육의 동향을 알아보고 그 간 체육학계에서 이루어졌던 분화와 통합에 대한 논쟁들을 살펴봄으로써 특수체육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교류와 협력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연구의 객관성과 타당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수체육학 관련 학술토론회의 발표과정을 거쳐 관련 학문 전공자들과의 심도 깊은 토론들을 거쳤으며 연구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동료 연구자들과의 협의를 통하였다. 특수체육의 꾸준한 발전과 학문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첫째, 다른 학문 분야들과의 최적화된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류와 협력에 앞서 특수체육의 정체성에 대한 계속적인 논의와 함께 특수체육 전공자들의 역할제고가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다양한 학문과 연구 방법들을 통합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모색, 그리고 셋째, 다양한 측면에서 학문간 협력과 교류 방식을 특수체육에 적용하는것이 특수체육학의 성장과 발전에 필요하다 사료된다. In recent years,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are facing needs for all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to develop good quality of programs and curricula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limited resources and hard to find adequate information from only in the area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was to suggest how to optimally improve and/or develop Adapted Physical Activity for the future. The sugg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reviews as well as analyse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and discussions in the area of Physical Education in general.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rticle, this topic had been presented a variety of conferences and it had been discussed among many colleagues through different occasions. The study mainly describes three ideas: (1) establishing Adapted Physical Activity`s identity and enhanc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roles, (2) the importance of finding paradigm to integrate diverse studies and research methods, and (3) collaboration and coalition through the cross-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aximize our ability to learn and gain knowledge to enhance the quali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통합체육의 국내 학술 연구동향 분석: 2015~2020

        하윤수 ( Yun-su Ha ),박수경 ( Soo-gyung Park ),이현수 ( Hyuen-su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통합체육 연구학술 동향 분석을 위해 국내 저명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논문 중 통합체육과 관련된 논문 52편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이현수(2005), 박수경, 박진우, 이현수(2011)의 국내 통합체육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후속활동으로써 연구동향의 변화를 통해 국내 통합체육의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평가자간 일치도(inter-rater agreement)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국내 통합체육의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학술발표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통합체육 연구주제별 특성을 살펴보면, 인식/태도, 기타, 교수/학습, 제도/행정, 교육과정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통합체육 연구대상별 특성을 살펴보면, 교사, 비장애학생, 통합, 장애학생, 문헌/기타,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통합체육 연구방법별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통합연구, 실험연구, 관찰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통합체육 발표학술지별 특성을 살펴보면 기타, 한국특수체육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스포츠교육학회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의 통합체육에 중요한 대상으로 장애학생만이 아니라 통합체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폭넓은 연구와 대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장애학생, 교사, 부모 등에 대한 연구가 중요함을 시사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통합체육의 바탕아래 통합체육 환경에서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재 연구 및 교육과정과 제도의 뒷받침, 그리고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학습하는 협동적, 포괄적 통합체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52 papers related to integrated sports among papers published in Korea's prestigious journal from 2015 to 2020, and was conducted to provide meaning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ports in Korea through changes in research trends.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rater agreement content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or research topics,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academic presentations on the research trends of integrated sports in Korea: First,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of integrated sports research in Korea,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perception/attitude, other, teaching/learning, system/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Secon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grated sports research subject in Korea, teachers, non-disabled students, integrated students, disabled students, literature/others, and parents were shown in the orde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grated sports research method in Korea were shown in the order of survey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integrated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observational research. Fourth,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grated sports presentation journal in Korea, it was followed by the other, the Korea Special Sports Association,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the Korea Social Sports Association, and the Sports Education Assoc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ent integrated sports include all areas that can affect integrated sports, not just disabled students, but also extensive research and research on non-disabled students, teachers, parents, etc. are important.

      • KCI등재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전공교과과정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영희 ( Young Hee Ch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전공교과과정 만족도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지적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학년을 제외한 197명의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이다. 본 연구는 특수체육 교육(학)과 재학생들의 전공교과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김재승(2002)의 체육계열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설문지 중 교과과목 만족도에 대한 문항과 교과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11개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전공교과목과 미국의 특수체육국가공인자격증 시험과목(APENS), California 11개 특수체육 자격프로그램에 필요한 과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김준희(1993)의 사회체육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증(t-test), 교차분석(χ2-tes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전공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 가장 많았고. 전공별로는 특수체육학과 학생이 특수체육교육과 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문제점은 졸업 후 사회진출과 연관된 실무과목들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이론과목이 세분화되지 않아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개선방안으로 `졸업 후 폭넓은 진로 및 취업을 위한 교과과정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다양한 실기 및 실습과목의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의견으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업과 통합체육과 관련한 수업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넷째, 개선방안을 위한 교과과정 구성도는 이론: 실기의 비율이 60:40으로 가장 높았다. 필수이론과목은 재활스포츠의학(스포츠의학), 특수교육학(특수교육개론), 특수체육지도법, 운동생리학(특수체육생리학), 특수학급운영(특수학급체육경영) 과목을 요구하였고, 필수실기과목은 장애인스포츠, 수영지도법 및 실습, 특수체육현장실습, 배구지도법 및 실습, 응급처치 및 인명구조법(상해예방과 응급처치)를 요구하였다. 특수체육교육(학)과의 교과과정에 첨부하고자 하는 과목으로 `장애유형별 특성(건강장애 체육론)`, `특수체육의 연계성`,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교육현장에서의 유대관계 및 협력체계능력`, 기타의견으로 `통합체육교육`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the curriculum problems, and improvements and to investigate curricula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university students except first grade year. The instrument was the questionnaire used by Jae Seung Kim(2002), Jun Hee Kim(1993) and Soo Kyung Park(1998)`s questionnaire.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3.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curriculums are neither good nor bad(37.1%). Curricula satisfaction showed that student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was higher level than them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Second, as the problems of curriculum, the students selected "shortage of subjects connected with the job"(42.1%), they selected "it must plan curriculum for job"(44.2%) as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Third, The curricular component ratio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was 60(theory):40(practice). Students wanted curriculum for field education related to job as like Rehabilitation Sports, Speci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of APA, Sports for Disabilities, Swimming, Volleyball, Field Experience, emergencycare. They selected additional subjects: `Unique Attributes of Learners`, `Collabora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Consultation and Staff Development`, `Communicati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배건환,노형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by identifying the themes of the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for the past 29 years, and analyzing the issues,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o this end, text mining-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on 924 papers with English abstracts among 951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from 1993 to 2021.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based topic modeling was applied using Python 3.7 Pack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6 topics were derived: 'exercise program effect', 'athlete social support', 'social/psychological approach', 'special schools(class) field', 'athlete training', 'children and parent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6 sections and analyzed. Looking at the trend of change in topic share by period, the topic of 'exercise program effect' maintained a constant share (22.4%, 20.1%, 24.6%) from the 1st period to the 3rd period, and after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4th period (14.5%) The 5th period (16.2%) showed a slight increase, and the most recent period, the 6th period (7%),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 topic of 'athlete social suppor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1st period (21.1%) to the 2nd period (9%), then increased again through the 3rd and 4th periods (13.2%, 21.4%), and then increased again in the 5th period (21.4%) ) increased slightly in the 6th period (22.2%) after the stagnation period. The topic of 'social/psychological approach' showed an inclination of steadily increasing from the 1st period (2.7%) to the 4th period (13.8%), decreasing in the 5th period (9.2%), and then rebounding sharply again in the 6th period (19%). The topic of 'special schools(class) field' showed characteristics such as tendency to form a high-ranking share by period, repe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2nd period (32.1%), and ranked 1st in the overall period's combined share (24.5%). Except for the 4th period (6.9%), ‘athlete training’ continued to maintain a share in the early to mid-range of 10%, and showed a tendency to appear steadily. Lastly, the 'children and parents' topic maintained a share of around 20% from the 1st to the 3rd period (19%, 21.6%, 21%), and showed a share of around 16% from the 4th to the 6th period (16.6%, 16.8%, 15.8%), steadily forming the middle rank.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we can identify and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by analyzing and arranging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research areas. 본 연구는 지난 29년간 한국특수체육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들의 주제를 파악하고 시기별 이슈, 주제 출현 추이 및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특수체육학회지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특수체육학회지에 게재된 951개 논문 중 영문초록이 존재하는 924개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Python 3.7 Package를 활용해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 기반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운동 프로그램 효과’, ‘선수 사회적 지원’, ‘사회·심리학적 접근’, ‘특수학교(급) 현장’, ‘선수 트레이닝’, ‘아동과 부모’라는 총 6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또한 시계열에 따른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를 6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기별 토픽 점유율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운동 프로그램 효과’ 토픽은 제1시기부터 제3시기까지 일정 점유율을 유지(22.4%, 20.1%, 24.6%)하다 제4시기(14.5%) 에서 대폭 감소 후 제5시기(16.2%) 소폭 증가, 가장 근래인 제6시기(7%)에서는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선수 사회적 지원’ 토픽은 제1시기(21.1%)에서 제2시기(9%)로 가면서 대폭 감소한 이후 제3,4시기(13.2%, 21.4%)를 거치며 다시 증가하였고 제5시기(21.4%) 정체 구간 이후 제6시기(22.2%)에서 소폭 증가하였다. ‘사회·심리학적 접근’은 제1시기(2.7%)부터 제4시기(13.8%)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제5시기(9.2%)에서 감소한 이후 제6시기(19%)에서 다시 크게 반등하는 추이를 보였다. ‘특수학교(급) 현장’ 토픽은 전반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며 시기별 점유율 상위권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제2시기(32.1%)에서의 폭발적 증가, 전체 시기 통합점유율(24.5%) 1위 등의 특징이 있었다. ‘선수 트레이닝’은 제4시기(6.9%)를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10% 초중반대의 점유율을 유지하며 꾸준히 출현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아동과 부모’ 토픽은 제1시기부터 제3시기까지(19%, 21.6%, 21%)는 점유율 20% 내외를 유지하였고 제4시기부터 제6시기까지(16.6%, 16.8%, 15.8%)는 16% 내외의 점유율을 나타내어 꾸준히 중위권을 형성하는 추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한국특수체육학회지 내 연구물의 현황과 추세를 분석 및 정리하여 특수체육이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파악하고 전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수체육 연구 영역 확장 및 발전을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의 운영특성 및 가치와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최범권 ( Bum Kwon Choi ),노형규 ( Hyoung Kuy R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에 관여하는 당사자들의 관점에서 그들이 경험한 맥락의 특성 및 가치와 의미를 탐색적으로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희망구와 소망구의 특수체육교실을 사례로 선정하여 자치구청 교실사업 담당자, 장애당사자의 부모 그리고 특수체육 지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문서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사례연구 접근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후, 학령기 장애아동 및 청소년의 생활체육 저변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거시적 관점에서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의 운영특성 및 가치와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은 교실의 점화, 개설, 실제의 3가지 맥락에 걸쳐 총 11가지의 운영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자는 각각을 첫째, 장애당사자의 필요와 장애당사자 부모들의 요구에 의한 점화(點火): 1) 부모들의 인식전환, 2) 목소리 키워가기, 3) 장애인부모회와의 연계, 4) 주인의식의 발로, 둘째, 장애당사자를 위한 지역사회 복지사업으로의 개설(開設): 5) 자치구의 예산 지원, 6) 자치구의 학교 체육관 활용, 7) 자치구에 거주하는 학령기 장애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체육교실, 셋째,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의 실제(實際): 8) 대그룹 형태의 교실 개설, 9) 특수체육 전문가에 의한 위탁운영, 10) 교실참여의 적합성 검증을 위한 선별검사, 11) 부모참여 프로그램과 같이 명명하였다. 또한,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은 교실에 관여하는 당사자들에 당사자주의의 실현, 교육비 절감 및 기회의 제공, 소통, 공감, 힐링의 장, 인식개선 및 정보공유의 장이라는 가치와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 연계 특수체육교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linked to autonomous districts. The Desire and Hope districts were selected for this case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elfare officials, adapted physical educator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field note and interview data, important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as follows. Results indicated that they were also interpreted based on the main purpose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linked to autonomous districts such as revitalization and base expansion. What these study discovered are as following ; 1) Beginning to be lightened by the requirements of their parent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perception transition of parents, raising of the voices of parents, parent`s associ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vealing a sense of an ownership, 2) developing social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Acquiring financial support from autonomous districts, the use of the school gym in autonomous districts, establish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linked to autonomous distric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3) Reality of the programs: forming large-scale groups, charging operations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specialists, screening for compliance verification, and parent involvemen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linked to autonomous districts were : 1) Realization of consumerism, 2)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reduction of the cost for private education, 3) Provision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empathy, and a venue for healing, 4) Opportunities to improve awareness and share relevant information. After conducting these analysis, this study would present suggestions to facilitate adap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linked to autonomous districts.

      • KCI등재

        특수체육의 정상화 및 특성화

        김기홍 ( Ki Hong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정상화 원리를 기반으로 특수체육의 특성과 체육과의 관계성을 재해석함으로써 특수체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한편 특수체육이 한국에서 특성화되어 장애학생들의 신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한국의 특수학교 현장에서 특수체육교사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것은 그만큼 특수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떠나서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졸업 후 프로그램도 중요하다면 장애인신체활동은 그에 적합한 생애체육이라는 장기적 의미에 부합된다. 이러한 장기목표가 요구되기 때문에 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이 강조되지 않을수 없다. 미국장애인교육법(2004)에서는 특수체육을 특수교육의 한 구성요인으로 간주하지만 특수체육을 담당할 지도자는 보다 전문적인 소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여 자격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특수체육교사는 체육교과의 내용을 장애학생에게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적합하고도 차별난 방법의 교과과정을 개발해야만 한다. 차별적 교육방법이란 별스러운 것이 아니라 양질의 교과내용을 토대로 장애학생의 수준에 맞추는 것이다. 특수체육에서 신체활동의 주체는 장애학생이다. 주체로서의 존재성을 체육에서 찾아볼 수 있기에 특수학교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스포츠사관학교를 제시하는 것으로 본연구를 매듭지었다.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b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normalization, and to search for the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Now, the position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is not stable at special school district in Korea which is a kind of proof of recognition lack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If the lif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graduation is important,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would be right fitted to the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n long term goal. Therefore, adapted physical educator should be very professiona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DEA(2004), adapted physical education is regarded as a part of special education but the standard to be a teacher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is so strong connected with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dapted physical educator should know how to develop not the special teaching methods only but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ppropriate teaching means not special but high quality fit and proper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a student with disability. Therefore, the sport academy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to make the identity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y more firm tha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16-2020):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이현수 ( Hyun-su Lee ),김대경 ( Dae-kyung Kim ),윤석민 ( Seok-min Yu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학회지에 게제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 특수체육학을 대표하는 특수체육학의 학술지인 한국특수체육학회지(APAE)와 국외에서 특수체육학을 대표하는 학술지인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APAQ)에 게재된 학술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술연구논문 중 2016년부터 2020년 까지 이루어진 학술 연구 논문 342편의 학술 연구결과와 과거 연구동향 분석 결과를 비교 제시함으로써 국내 외 연구동향의 변화의 추이를 파악하고 특수체육학 방향성과 발전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평가자간일치도 내용분석방법에 근거하였다. 그리고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두 학술지 간의 연구 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장애 유형, 연구방법을 교차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분야의 경우 APAE와 APAQ에서 동일하게 생활체육/레크리에이션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주제의 경우 APAE는 행동측정 및 평가 부분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반면 APAQ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구축 부분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의 경우 APAE와 APAQ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장애유형의 경우 APAE와 APAQ는 지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의 경우 APAE는 조사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반면 APAQ는 실험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research topic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between Korean’s APAE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and American’s APAQ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from 2016 to 2020. Among the academic research papers, 342 academic research papers from 2016 to 2020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ast research trend analysis to identify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and provide a meaningful foundation for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Further, the cross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specific topics within APA by using SPSS 25.0 Program.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se two journals, there were four results. First, APAE and APAQ had the most life activities and recreations parts. Second, APAE had the most behavior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parts, while APAQ had the most programs and system construction parts. Third, the research aimed a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studied in both journals. As for the type of disability, APAE and APAQ were the most studied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urth, mostly APAE showed the survey research methods, while APAQ showed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 KCI등재

        특수체육 지도자를 위한 양성 과정과 진로

        최승권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and the post undergraduate employment status.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websites of adapted/special physical education (APE/SPE) department. The information about attaining certification to become an adapted physical activities professional was found in related criteria of legislation.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was analyzed using internal data of the department of adapted/special physical education. Eight departments of APE/SPE focus on training students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the other three departments provide general knowledge for being a professional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s of APE/SPE provide the opportunity to attain national and private certification as adapted physical educators.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ort instructor for the disabled are counted as national certification. Psychomotor therapist, referee license, and lifeguard are examples of private certifications. The departments of APE/SPE focused on education produce about 200 students annually. These students had the following careers: adapted educator (23.9%), occupations related to adapted physical activities (18.7%) such as working for Korea Paralympic Committee (KPC)/ healthy and welfare center, or an instructor of adapted physical activities/sports or, and the others were employed at the other field (17.3%). The rest of students (40.1%) were unemployed. On the other hand, the department of APE/SPE, which are not focused on producing educator, yield about 63 students annually. The students were employed in a field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53.3%), KPC or adapted physical activities (psychomotoricity) (31.2%) and the other field (22.5%). The rest of 22.5% students are unemployed. It is hard to expect the founding of more department related to adapted physical activities due to the decreased number of students. However, the future of careers related to adapted physical activities are bright because the government increase the support in promoting lifetime physical activities and the welfare policy for in people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과 졸업 후의 취업 현황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특수체육 전공 학과 관련 내용은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였고, 자격 취득에 관한 내용은 법률 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진로 현황은 특수체육 전공 학과의 내부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사범계 8개와 비사범계 3개 학과가 있다. 사범계 특수체육교육과는 국가자격인 특수교육(중등 체육)교원과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민간자격인 심리운동사, 장애인스포츠 심판, 수상인명구조원 등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비사범계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교원자격 이수 이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범계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매년 200명씩 특수교육(체육) 교원 자격자를 양성하고 있는데, 이들의 진로는 특수학교(급) 교사 23.9%, 체육 관련 분야(장애인체육회/장애아동 체육지도/스포츠지도/복지관) 18.7%, 기타 17.3%, 미취업 40.1% 등이다. 비사범계 특수체육 전공 학과는 매년 평균 63명씩 졸업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는 장애인체육회 및 특수체육(심리운동 지도) 분야는 31.2%이지만, 체육 분야 전체로는 53.3%, 기타 22.5%, 미취업 22.5%를 나타내었다. 향후 학령인구 감소로 더 이상의 특수체육 관련 학과의 설립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지만 특수체육지도자의 진로는 정부의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및 장애인 복지 정책의 확대 추진으로 보다 밝다고 예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