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인 비흡연 COPD 환자의 임상 특성

        윤형규,이진국,이재희,최혜숙,이재천,박소영,김태형,이진화,박용범,김영삼,이상학,이상엽,신경철,유광하,정기석,( Kocoss Cohort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

        연구배경: COPD는 대개 흡연에 의해 발생하지만 20-30%의 COPD환자는 흡연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거의 모든 COPD 연구가 흡연에 의한 COPD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비흡연자의 COPD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고 있다. 방법: KOCOSS연구에 등록된 COPD 환자 224명을 대상으로 흡연력을 포함한 병력, 삶의 질 평가, 폐기능 등 COPD와 관련된 임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총 229명의 COPD 환자 중 49명(21.9%)이 비흡연자였다. 비흡연 COPD 환자에서 여성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1) 나이는 양군간 차이가 없었다. CAT score와 SGRQ scores는 흡연 COPD 환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흉부 답답함과 운동시 호흡곤란 항목의 점수는 흡연 COPD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6분 도보 검사는 양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폐기능 검사에서 DLco/VA가 흡연 COPD환자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1) 폐용적은 흡연 COPD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결론: 비흡연 COPD 환자는 전체 COPD 환자의 2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여성에서 많았다. COPD로 인한 전체적 영향은 흡연 COPD와 차이가 없었지만 흉부 증상과 운동시 호흡곤란은 흡연 COPD에서 더 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비흡연 COPD 환자가 폐기종의 영향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Risk Factor and Clinical Outcome of Bronchiolitis Obliterans Syndrome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윤형규,이진국,하직환,윤재호,조병식,민우성,이종욱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6 Yonsei medical journal Vol.57 No.2

        Purpose: The development of bronchiolitis obliterans syndrome (BOS)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deteriorates patient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evalence,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prognosticfactors of BO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HSCT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2008 and survived for ≥100 days after transplantation. Results: Of 860 patients who survived for ≥100 days, 36 (4.2%) met the diagnostic criteria. The duration of BOS development after transplantation was 466.00 (284.00–642.75) [median (interquartile range)] days. The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BOS was peripheral blood as the stem cell source with a hazard ratio (HR) of 2.550 [95% confidence interval (CI): 1.274–5.104, p=0.008]. In multivariate analysis, pretransplant FEV1/FVC (HR: 0.956, 95% CI: 0.921–0.993, p=0.020) and time from HSCT to diagnosis of BOS (HR: 0.997, 95% CI: 0.994–0.999, p=0.009)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Conclusion: Peripheral blood as a stem cell source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BOS. A decreased pretransplant FEV1/FVC and shorter duration of time from transplantation to diagnosis of BOS ar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BOS.

      • KCI등재

        대구·경북 청동기시대 무덤의 전개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변화

        윤형규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4 No.-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total analysis of the tombs in Daegu and Gyeongbuk during the Bronze Age and review the process of their development in the region, thus figuring out the aspects of social changes during the age. As preliminary work, the investigator recognized a need to set a diachronic and synchronic scope. The study started by classifying red burnished jars, polished stone daggers, and polished stone arrowheads because they were the most universal artifacts buried in the tombs. The study then classified the items according to form and examined their combinational relations into certain time zones (late early/early middle/late middle/late parts of Bronze Age).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natural and geographical elements such as mountain and water system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ombs within the region, setting a total of five small local zone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nging patterns of tombs in the region, their development process by stage, and aspects of the community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Bronze Age. The reviewed results show that tombs (tomb groups) in the region gradually grew in cluster size over time based on natural and geographical advantages with a phenomenon of differentiation observed internal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central and surrounding tombs. There were certain flows of changes in some attributes including the tomb size (large→ small> medium> large), location of the subject buried (underground→ underground or above the ground), shape of cover stone (single→ multiple cover stones), construction method of coffins and cases (use of a single stone material→use of mixed stone materials), form of Sisang (single plate stone→ multiple-plate stone or trimmed stone), and burial of artifacts (multiple types→ single type, red burnished jars: all inside the coffin→ short walls inside the coffin/stone daggers: all inside the coffin→center of the coffin, burial inside the coffin→ burial outside the coffin). The directions of change were not uniform based on temporality, but took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due to the different acceptance and settlement processes of different groups (areas). In the settlement processes of the group based on the culture of Songguk-ri and that of Geomdan-ri around Ulsan and Pohang, the different cultures were accepted according to selective needs based on a range of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As a result, combinational forms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Songguk-ri-type tomb and Geomdan-ri-type burial method emerged in some areas including Gyeongju. As such mutual efforts among different groups were maintained and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ir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took a more progressive form. 본고에서는 대구·경북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 내 전개과정을 검토해보고이를 통해 청동기시대 사회의 변화상에 대해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선행작업으로 우선 통·공시적 범위를 설정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무덤 내 부장유물 가운데 가장 보편화된 적색마연호·마제석검·마제석촉에 대한 형식분류와 이들의 조합관계를 통해 일정한 시간대(청동기시대 전기 후반 / 중기 전반 / 중기 후반 / 후기)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산·수계와 같은 자연 지리적 요소와 지역 내 무덤의 분포양상을 함께 검토하여 모두 5개의 소지역권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무덤의 구조적인 변화양상과 함께 단계별 전개과정을 통해 청동기시대 사회발전에 따른 지역사회변화의 일면을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지역 내 무덤(군)은 자연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군집의 규모가 점차확대되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중심무덤과 주변무덤의 배치 및 구조에 따라 차별화 현상이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 각 속성들 중 묘역의 규모(대형→소형>중형>대형), 매장주체부의 위치(지하→지하·지상), 개석의 형태(단차개석→다중개석), 관·곽의 축조방식(단일석재사용→석재혼용), 시상의 형태(단판석→다판·할석), 유물의 부장(다종→일종부장, 적색마연호 : 관내 모두→관내 단벽 / 석검 : 관내 모두→관내 중앙, 관내부장多→관외부장多)에 있어서 일정한 변화의 흐름을 확인하였다. 다만 변화의 방향이 시간성을 바탕으로한 일률적인 모습이 아니라 지역 내 사회 발전에 따라 집단(지역) 나름의 다양한 수용 및 정착과정으로 인해 각기 다른 형태로 표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송국리 문화를 매개로 한 집단과 울산·경주·포항을 중심으로 한 검단리 문화를 경험한 집단의 지역내 정착 과정은 이들 서로 간의 문화가 다양한 환경 및 사회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 선별적 필요성에 따라 수용되면서 경주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송국리형 묘역+검단리형 장법과 같은 형태의 결합형 구조가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각 집단 상호간의 노력이 다양하게 유지·발전하면서 보다 점진적인 형태로사회통합의 과정을 이루고 있다.

      • 한국에서의 중증 COPD 환자의 특성과 의료이용

        윤형규,이진국,유광하,김영삼,박용범,이진화,김유리,김경주,김진희,이세원,오연목,이상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COPD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질환이며 사망률도 높고 만성질환으로서 장기간에 걸친 의료 비용의 지출을 강요하며 심각한 사회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COPD로 인한 사망과 사회경제적 손실은 COPD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증가하지만 아직 한국에서의 중증COPD환자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방법: 2009년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서의 중증 COPD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의료 비용, 의료 이용 등을 비중증 COPD환자와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중증 COPD환자는 비중증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성이 많았으나(P<0.001) 두 군간 나이는 차이가 없었다. 동반질환에서 심혈관질환, 우울증, 골다공증,대사증후군 등은 중증 COPD환자에서 많았으며 관절염은 비중증 환자에서 많았다(P<0.001). 중증 COPD환자는 비중증에 비해 입원 치료를 많이 받았으며(P<0.001), 응급실 방문 등 의료기관이용도 많았다(P<0.001), 직접의료비용도 비중증에 비해 일인당 2.5배 이상 많이 소요되었다. COPD환자의 의료비용과 의료기관 이용은 환자의 연령, 중증도, 전년도 입원 또는 응급실 이용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P<0.001). 결론: 한국의 중증 COPD 환자는 비중증 COPD환자에 비하여 남성에서 흔하며 동반질환이 많고 심각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COPD 환자의 조기발견, 조기치료는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