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매트필라테스 코어운동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가 배곧은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기홍,김시현,이상현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매트필라테스에서 코어운동에 효율적인 자세를 찾고자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근활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충남 C시의 20대 여성 9명을 대상으로 운동 조건별로 무작위 배정하여 3일 간격으로 8가지 동작을 수행하였 다. 무릎각도와 보조형태별 더블 레그스트레치, 롤 업 동작을 정적으로 10초간 시행하였으며 운동 중 배곧은근 상부, 배곧 은근 하부, 넙다리곧은근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 시 무릎각 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배곧은근 상부의 iEMG는 무릎각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4), 보조여부와 상관없 이 모두 무릎을 편 자세가 높았다. 둘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배곧은근 하부의 iEMG 는 무릎각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38), 보조를 실시한 경우에서 무릎을 편 자세가 높았다. 셋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넙다리곧은근의 iEMG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롤업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배곧은근 상부의 iEMG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롤업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넙다리곧은근의 iEMG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p=.029), 무릎을 편 자세에서 보조를 하지 않았을 때 가장 높았고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보조를 하지 않았을 때 가장 낮았다. 종합하면 매트필라테스 코어운동 시 하복부 운동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은 무릎각도에 따라 배곧은근의 활성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롤 업 동작은 보조를 하지 않았을 때 무릎 굽힘 여부에 따라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knee angle and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uxiliary form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posture for core movement in Matpilates.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10 women in their 20s in C city, Chungcheongnam-do,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s and performed a total of 8 movements at intervals of 3 days. The knee angle and the double leg stretch and roll-up motion were statically performed for 10 seconds, and the EMG of the upp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low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nd the rectus femoris were measured during exercise. First, the iEMG of the upp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ccording to the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nee angle (p=.014). Second, the iEMG of the low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ccording to the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nee angle (p=.038), and the knee posture was higher in the case of assisting.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EMG of the rectus femoris according to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EMG of the upp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ccording to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roll-up exercise. Fifth, the iEMG of the rectus femoris according to the knee angle and the assistive type during the roll-up exercise had an interactive effect (p=.029), and it was the highest when the knee was not supported in the extended posture and the lowest when the knee was not supported in the bent posture. A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knee angle in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which is the lower abdominal exercise during the mat pilates core exercise, and th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knee bending when the roll-up exercise is not assisted.
다중모드간섭 현상에 입각한 1*4 폴리머 광파워분할기의 제작
김기홍,송현채,오태원,신상영,이운영 대한전자공학회 1998 電子工學會論文誌, D Vol.d35 No.11
다중모드간섭 현상에 입각한 1 4 폴리머 광파워분할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 광파워분할기는 2차원 유한차분 빔전파방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코어와 클래딩 물질로 각각 Cyclotene-3022과 UV-15이 사용되었고, 반응이온식각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다. 제작된 1 4 광파워분할기의 각 출구에서의 측정된 광출력비는 TE모드에서 0.93 : 1.00 : 0.93 : 0.90, TM모드에서 0.84 : 0.94 : 1.00 : 0.83 이었다. 다중모드간섭 현상을 이용한 1 4 광파워분할기는 소자의 길이가 작고, 편광에 따른 의존도가 작은 장점이 있다. A 1 4 polymeric optical power divider based on the multimode interference effect i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two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beam propagation method has been utilized in designing the device. Polymers used for the core layer and the cladding layer are Cyclotene-3022 and UV-15, respectively. The device is fabricated by the reactive ion etching method. The splitting ratio of the fabricated device is 0.93 : 1.00 : 0.93 : 0.90 for TE mode and 0.84 : 0.94 : 1.00 : 0.83 for TM mode. The advantages of this device are small size and low polarization-depen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