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dometrial thickness cut-off value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for screening of endometrial pathology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박유란,이신화,김영신,배인영,김홍규,최재원,김용만 대한산부인과학회 201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2 No.6

        ObjectiveTo assess the clinical usefulness and diagnostic accuracy of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endometrial thickness (ET)in women with endometrial hyperplasia or cancer (EH+). Methods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29,995 consecutive women who underwent transvaginal ultrasonography(TVS) for an incidental finding of a thickened endometrium at the health screening and promotion center at AsanMedical Center between 2006 and 2010. Among 959 patients with endometrial abnormalities, 92 patients wereincluded in this study. A total of 867 patients were excluded: 416 were lost to follow-up; 263 did not undergoendometrial biopsy; 155 had endometrial polyps; 17 had submucosal myomas; and 16 had insufficient tissue samples. Endometrial histology was the reference standard for calculating accuracy. ResultsOf the 92 patients, 78 (84.8%) had normal pathology, while 14 (15.2%) had endometrial pathology (EH+), including5 patients (35.7%) with simple hyperplasia without atypia, 3 (21.4%) with complex hyperplasia, and 6 (42.9%)with endometrial carcinoma, all stage Ia. The area under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0.75 (95%confidence interval [CI], 0.593–0.906). The cut-off value for ET was 8 mm, indicating that TVS ET had a fair accuracyin diagnosing carcinoma, had a sensitivity of 100% (95% CI, 62.9–100.0%) and a specificity of 24.3% (95% CI, 15.2–36.3%). ConclusionTVS is useful for detecting EH+, with a cut-off value for ET of 8 mm having a high sensitivity for detecting endometrialpathologies and the ability to identify women highly unlikely to have EH+, thereby avoiding more invasiveendometrial biopsy.

      • 국민 건강 보험과 의료 보호 대상자의 부인암 발생률의 변화 (국민 건강 보험 데이터, 2007-2016년)

        박유란,김대연,남소현,조정민,김예지,최재원,이신화,박정열,서대식,김종혁,김용만,김영탁 대한산부인과학회 2020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6 No.-

        Objective: 부인암은 최근 암종 별로 발생률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자궁경부암은 공단 검진과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예방 백신으로 발생률이 줄어들고 있고, 난소암과 자궁 내막암은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암의 발생은 주로 환경적,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사회경제적 요인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부인암의 발생률을 건강 보험 자격에 따라 추이를 분석하였다. Methods: 2007년부터 2016년의 건강 보험 공단 데이터 중 C53, C541, C56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2002년에서 2006년 사이에 다른 암으로 진단된 사람들을 제외하였고 산정특례 코드(V027, V193, V194)가 포함된 경우에만 포함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정의된 환자들의 연도별 건수를 확인하여 조발생률을 계산하였고 연령표준화 발생률로 계산하기 위하여 2005년 주민등록 연앙인구를 기준으로 연령표준화 발생률을 계산하였다. Results: 자궁경부암의 경우 건보의 경우 2007년 10만 명당 조발생률이 8.84 (95% CI, 8.57-9.11) 명에서 꾸준히 감소하여 2016년에는 7.44 (95% CI, 7.20-7.68) 명으로 감소하였다. 의보는 2007년 20.13명으로 건보와 비교해서 높은 조발생률을 보였고, 그럼에도 꾸준히 감소하여 2016년에는 13.12 (95% CI, 11.35-15.08) 명으로 감소하였다. 연령 표준화한 데이터에서도 건보는 2007년 8.43명에서 2016년 6.45명으로 감소하였다. 의보는 15.56명에서 11.9명으로 감소하였다. 난소암의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건보는 2007년 4.38명으로 나타났고, 2011년 3.25명, 2016년 3.74명이었다. 의보는 2007년 4.10명, 2010년 3.01명, 2016년 5.28명으로 나타났다. 건보와 의보의 자궁 내막암 조발생률은 2007년 1.99명, 2.70명이었으나 양 그룹에서 모두 발생률이 증가하여 2016년에는 3.74명, 5.50명으로 증가하였다.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건보는 1.87명의 환자가 2007년에 발생하였으나 2016년에는 2.92명으로 증가하였고, 의보 그룹은 2.20명의 발생률이 2016년에는 4.14명으로 증가하였다. 두 그룹 중에서 의보에서의 발생률의 변화가 더 높게 나타났다. Conclusion: 자궁 경부암은 두 그룹 모두 감소하였고, 난소암은 의보에서 증가하였다. 자궁내막암의 경우에는 두 그룹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증가하고 있는 난소암, 자궁내막암의 증가 요인에 대한 추가 분석과 건보 그룹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의보 그룹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왜 뉴트로 콘텐츠에 열광하는가? : 미디어 콘텐츠의 차별화 전략

        박유란,송원숙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Newtro is gaining popularity recently as one of the media content genres. Newtro contents are not just a restoration, but are the creations that create new values ​​by adapt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appealing to the nostalgia for the past. A total of 254 people participated the online survey. Result showed that users prefer Newtro content that is in the ‘moderate incongruity’ state with moderate novelty, rather than content that is very new or too familiar. In addition, both ‘personal nostalgia’ from direct past experiences and ‘vicarious nostalgia’ from indirect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for Newtro conte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of Newtro contents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Newtro contents positively. But the attitude toward Newtro contents did no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Newtro contents. 과거의 익숙함을 활용한 뉴트로가 미디어 콘텐츠 장르의 하나로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뉴트로 콘텐츠는 복고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시대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창작물로써,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노스탤지어 감성을 소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의 뉴트로 콘텐츠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2020년 12월에 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이용자들은 아주 새롭거나 너무 익숙한 콘텐츠보다 적당한 새로움이 가미된 콘텐츠를 좋아할수록 뉴트로 콘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낯설지만 공감이 가는 뉴트로 콘텐츠의 인기를 ‘중간 불일치 효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거의 직접 경험에서 비롯한 ‘체험적 노스탤지어’와 간접 경험에 의한 ‘대리적 노스탤지어’ 모두 뉴트로 콘텐츠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뉴트로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는 뉴트로 콘텐츠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뉴트로 콘텐츠에 대한 태도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뉴트로 콘텐츠의 차별화 전략에 대한 함의를 제안했다.

      • KCI등재

        밀레니얼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박유나(Park, Yuna),소경희(So, Kyung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직에 등장하고 있는 밀레니얼 교사들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4명의 밀레니얼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여 1) 밀레니얼 초등교사들이 어떻게 교사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2) 이들 교사들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밀레니얼 교사들은 각자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교사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구성된 네 교사의 이야기로 제시되었다. 이들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드러난 특징으로는 첫째, 밀레니얼 교사들이 자신들의 일과 관련하여 느끼는 내·외적인 성취감이 그들의 교사 정체성 형성의 기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밀레니얼 교사들은 고유한 생애 경험을 바탕으로 한 개인적 정체성과 교사로서의 전문적 실천과 관련된 전문적 정체성을 통합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밀레니얼 교사들은 ‘온라인 환경의 적극적 이용’과 ‘함께 할 학교 밖 동료 찾기’와 같은 학교 밖 맥락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교사들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는 이러한 공유되는 특징도 있었으나,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교사 간에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밀레니얼 교사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millennial teachers that have recently appear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by exploring the process of their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how millennial primary teachers form their teacher identity? 2) wha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ir teacher identity formation? To this end, researchers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four millennial primary teachers. The findings show that millennial teachers construct their own teacher identity in various ways, presented as the story of four teachers organized over time.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teacher identity formation of thes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nternal and external sense of achievement was essential for millennial teacher identity formation. Millennial teachers tended to integrate personal identity based on their own life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identity related to professional practice as teachers. Millennial teachers used strategically out-of-school contexts such as the online environment and fellow teachers. There were also shared characteristics on the process of teacher identity formation for millennial teachers, but in detail,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bout millennial teachers.

      • KCI등재

        하수처리장 소수력 수차 블레이드의 압력변화 특성 분석을 통한 구조안전성 평가

        박유,김기중,윤병돈,Park, Yoo-Sin,Kim, Ki-Jung,Youn, Byong-D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1 No.6

        저유속 조건에서 소수력 에너지 생산 효율 증진을 위한 항력식 수직축 수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산 유체 동역학(CFD) 기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1.0~3.0 m/s의 유속 조건에서 수차 블레이드의 타공 유무에 따른 블레이드 압력 변화와 내부유동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타공이 있는 경우 유속에 따라 수차 블레이드의 압력 및 유체 속도가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타공이 없는 경우에는 유속에 따른 수차 블레이드의 압력 및 유체 속도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공이 포함되지 않은 수차 블레이드에 비교하여 타공이 포함된 수차 블레이드 표면에서 압력 분포와 유체의 속도가 고르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수차 블레이드에 타공을 형성하는 것이 구조안전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Numerical analysis using commercial CFD code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drag force type vertical axis hydraulic turbin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small hydro energy at low flow velocity condition. Blade pressure changes and internal flo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ydraulic turbine blade holes at flow velocity of less than 1.0~3.0 m/s. According to the numerical results, the pressure and flow velocity is severly affected by the flow velocity in turbine blade with no holes, while the influence of flow velocity is comparatively decreased in turbine blade with holes. It is also found that the pressure and flow velocity on the blade surface with holes are evenly distributed with no singular loc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forming a hole in the blade may be helpful in terms of structural safet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폐경이전 비만여성에서 영양교육과 식사요법이 비만도와 혈청지질 및 혈중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유,이규래,장유경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2

        본 연구는 , 32명의 폐경이전 비만여성 (BMI≥25)을 대상으로 실시한 총 12주간의 체중조절 프로그램으로서 영양교육과 행동수정 및 식사요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프로그램의 전반부인 6주째까지의 인체계측 및 혈액 지질과 랩틴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본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효과를 중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체계측 결과를 보면, 체중조절 이후에 유의한 변화가 있어 체중은 약 4.3% 줄었으며, 허리와 엉덩이둘레도 각각 2.7%와 2.6%씩 감소하였다. 상완삼두근두께와 장골윗부분피부두께도 각각 26.3%와 20.5%씩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량도 각각 4.3%와 4.6%씩 유의하게 감소되어 비만상태에서 preobese로 호전되었다. 혈중 랩틴 농도는 체중조절 이후에 22.8%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체지방량 감량정도 (r=0.51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중 지질 농도를 보면,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 HDL 콜레스테롤은 각각 21.3%, 21.6% 및 1.2%씩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LDL 콜레스테롤과 총콜레스테롤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장년층 (20 ~ 45세) 폐경이전 비만여성 32명을 대상으로 한 본 체중조절 프로그램은, 6주간의 실행만으로도 비만도를 낮추고 혈청 렙틴 농도 및 지질의 농도를 낮추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혈중 지질 농도에 있어서 체중감량에 따른 변화 양상은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른 생화학적인 인자들-혈중 인슐린이나 갑상선자극호르몬, 포도당, 요산 등- 과의 관계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esity is recognized as one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diseases and atherosclerosis and obese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nowadays, 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weight management program with relatively low-cost and effective method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ght management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dietary recommendation, behavioral modification, exercise recommendation and counseling in decreasing obesity and relationships among obesity, anthropometry and the levels of serum leptin and lipids in the obese premenopausal women. Thirty two obese women (BMI≥25, 20-45 year-old) were participated in a twelve-week weight management program and their anthropometric measurement, blood lipid and leptin levels were assessed before this program (0 week) and middle of the program (the 6th week). And they will be assessed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12th week).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present the results of pre-half period of this program. As results, w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suprailiac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 of body fat, lean body mass and BMI were reduced significantly at p<0.001 level after weight management. Body fat variation (??body fat) was correlated in the order of ??weight (r=0.637***), ??BMI (r=0.627***), ??waist (r=0.574**), ??hip (r=0.533**), ??triceps (r=0.449*) and ??WHR (r=0.353*). Blood leptin level was also reduced (p<0.05) and leptin variation (?? leptin) was correlated with ??body fat (r=0.511**) and ??lean body mass (r=0.383*). Serum triglyceride (p<0.01), HDL cholesterol (p<0.001) and free fatty acids (p<0.001)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riglyceride variation (??TG) was also correlated with ??weight (r=0.458**) and ?? BMI (r=0.422*). Blood total cholesterol variation (??TC) was correlated with ??HDL-C (r=0.397*), ??LDL-C (r=0.747***) and ??suprailiac (r=0.357*). We concluded that this weight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during 6 weeks for obese women to decrease obesity and blood leptin and lipid levels. However, the blood lipid level variations should be observed for longer period.

      • KCI우수등재

        침입범죄로부터 안전한 환경조성을 위한 장소프로파일 진단 도구 제안 연구

        박유나(Park, Yu-Na),현태환(Hyeon, Tae-Hwan),손동필(Son, Dong-Phil)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lace-based profiling that allows practitioners diagnose vulnerable spaces on CPTED project to prevent intrusion crime. In order to propose the checklist based on the place-based profiling, expert interviews and hands-on surveys are conducted. Then,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and surveys, the priorities of the place-based profile are derived through AHP-MC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both on-site diagnostics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riteria explains the environment in which intrusive crime occurred. Also it could indicate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place-based profiling results and the extent of the crime. Finally, various and granular diagnostic cards that could account for around 80%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ffecting intrusive crime on the target are comprehensively proposed by combining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