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인식에 관한 연구

        남정권,조형정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roject Based Learning(PBL) cognitive department and among the learner and instructor in the industrial highschoo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is based on PBL, collaborative learning and module learning. The importance of the PBL has been continuously reviewed by many educational researchers. In addition, it was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PBL provided design principles and method for learning in the industrial high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d applied to investigate (1)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of cognition on learner's and instructor's task solving process, (2)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groups(learner, instructor) and type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cognition on task solving process. The total of 100 learners and 50 instructors from industrial highschool in the study for the period of sixteen weeks. Based on the type of groups and department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uch as learner and instructor of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depar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the study, between the types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of cognition on learner's and instructor's task solving process are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groups(learner, instructor) and type of departments(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of cognition on task solving process are difference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for cognition of PBL's help, however, four items(accomplishment, application subject, hereafter appl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indicated the cognition of PBL in the industrial highschool seem significant for departments and subjects characteristic of learning. In future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PBL model designs should consider components of group and department types.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하였을 때,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인식차이와 계열별 학습자들 간의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학습은 모듈수업 가운데 교수·학습 기본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고, 집단유형(학습자, 교수자)과 계열유형별(농업, 공업, 상업)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학습결과에의 도움 여부, 프로젝트 학습 수행에의 만족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가능 교과, 향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선호여부에 관한 4개 항목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이유는 자발적인 경우(21.0%)보다는 교수자들의 권유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58.0%). 또한, 집단(학습자, 교수자)과 계열(농업, 공업, 상업)간 상호작용효과는 프로젝트 학습 수행에의 만족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가능 교과, 향후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선호여부 항목에 있어서는 각각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학습 수행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용 프로젝트 학습 모듈이 각각 개발되어야 하며, 동시에 계열에 따른 별도의 프로젝트 학습 모형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진균성 접형동염에 의한 외전신경 마비 1예

        남정권,서병삼,박기철,최재혁 대한비과학회 2006 Journal of rhinology Vol.13 No.1

        Isolated sphenoid sinusitis is a rare disord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its diagnosis; therefore the first presentation of this disorder might be with complications. These complications are essentially due to the anatomical location of the sinus and its proximity to the intra-cranial and orbital contents, to which infection may easily spread. A case of isolated sphenoid fungal sinusitis with unilateral abducent nerve palsy is being reported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by parenteral antibiotic therapy and endonasal endoscopic sphenoidotomy.

      • KCI등재

        외상없이 인후두부 이물감을 유발한 갑상연골 상각 내전 2예

        남정권,서병삼,최재혁,김영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9 No.10

        Foreign body sensation is a nonspecific symptom of aerodigestrive tract diseases. Symptoms may be the result of gastroesophagealreflux,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psychological factor and malignant lesion. Rarely, a unilateral bulging of the hypopharynx asa result of medial displaced superior cornu of the thyroid cartilage can be a reason. The appropriate diagnosis is made by fiberopticlaryngoscopy and CT scanning. Surgical removal of the portion of the superior cornu bulging toward the hypopharynx improvesthe foreign body sensation. We experienced two cases of medially displaced superior cornu of the thyroid cartilage without laryngealinjury. This unusual presentation is discuss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Otolaryngol 2006;49:1039-41)

      • KCI등재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벼 조생 고품질 중간모본 ‘중모1008호’

        남정권,김기영,고재권,신문식,하기용,고종철,김보경,강현중,신운철,백만기,김우재,백소현,박현수,모영준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지 Vol.44 No.4

        ‘중모1008호’는 내냉성이 강한 조생종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9/2000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면서 밥맛이 좋은 ‘익산451호’를 모본으로 하고 조생종이면서 내냉성인 ‘상주2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다. ‘중모1008호’는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랭지, 동해안 북부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7일로 ‘오대벼’보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간장은 73 cm로 ‘오대벼’보다 약간 크며, 주당수수는 13개이고 수당립수는 ‘오대벼’에 비해 많으며 등숙비율이 91.1%로 높고, 현미천립중은 23.0 g이다. 노화묘 늦심기에서 위조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하나 임실률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중모1008호’는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반응을 보이나 흰잎마름병(K1~K3)과 바이러스병에 약하고 벼멸구, 애멸구 등 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없었다. ‘중모1008호’의 쌀은 심복백이 거의 없고 투명하며 외관 품위가 양호하고, 쌀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60 MT/ha로 ‘오대벼’보다 3% 증수되었다. ‘Jungmo1008’ is a new japonica rice intermediate parent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high yielding ‘Iksan451’ and cold tolerant ‘Sangju21’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09. This cultivar has about 113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Korea. This cultivar is about 73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Jungmo1008’ is resistant to rice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Jungmo1008’ exhibits translucent,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Compared to ‘Odaebyeo’, it has similar amylose content (18.6%), lower protein content (6.7%), and simila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cultivar is about 5.60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Jungmo1008’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and southern mountainous area of Korea.

      • KCI등재후보

        벼 조생 고품질 복합내병성 ‘조평’

        남정권,고재권,김기영,김보경,김우재,하기용,신문식,고종철,강현중,박현수,백만기,신운철,모영준,최인배,김영두,양한수,김정곤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2

        ‘조평’은 고품질 조생종 품종육성을 위하여 2000/2001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조생종이면서 내냉성인 HR16683-46-3-1를 모본으로 하고 중만생종으로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인 HR18129-B-16-1-4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F3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에 준하여 육성 선발하면서 주요 병해충, 내냉성 및 미질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조생종이면서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고, 직립이면서 숙색이 좋은 ‘HR22799-66-3-2-5-2’ 계통을 선발하여 ‘운봉4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흰잎마름병에 강한 조생, 고품질 계통으로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년 12월 농촌진흥청의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심의회에서 특색 있는 품종으로 결정 조생종으로 평야지적응성이 있다는 의미로 ‘조평’으로 명명하여 중북부 평야지, 중산간지 및 남고냉지(경기, 강원, 경북, 충북, 전북)에 적응하는 품종으로 보급하게 되었다. 출수기는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동북부해안지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7월 28일로 ‘오대벼’와 비슷한 조생종이다. 간장은 67 cm로 ‘오대벼’ 보다 약간 작다.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14개와 84개이다. 등숙비율이 94%로 높은 편이며, 현미천립중은 22.6 g으로 중소립종이다. 재배기간 동안에 위조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다. 불시출수와 수발아는 ‘오대벼’ 보다 약간 잘되는 편이고, 춘천 내냉성 검정 결과 ‘오대벼’에 비해 적고는 비슷하고, 출수지연일수는 짧으나, 임실율은 낮은 편이다. 재배 포장의 도복은 ‘오대벼’와 비슷하다. 도열병, 흰잎마름병(K1 ~ K3)과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는 약하며, 벼멸구 및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쌀은 심복백이 없이 맑고 투명하며, 아밀로스 함량은 19.9%로 ‘오대벼’ 보다 낮으나 단백질 함량은 6.5%로 ‘오대벼’ 보다 높다. 도정율과 밥맛은 ‘오대벼’와 거의 비슷하다. 쌀수량성은 9개소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수량이 5.67 MT/ha으로 ‘오대벼’에 비하여 8% 증수되었고, 소득후작재배에서는 평균 쌀수량이 4.88 MT/ha으로 ‘금오벼’에 비하여 25% 증수되었다. ‘Jopyeong’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cold tolerant ‘HR16683-46-3-1’ and rice stripe virus and bacterial blight resistant ‘HR18129-B-16-1-4’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10. This cultivar has about 114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Korea. This cultivar is about 67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Jopyeong’ was multiple resistance to rice stripe virus, bacterial blight and blast. The milled rice of ‘Jopyeong’ exhibits translucent,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Compared to ‘Odaebyeo’, it has similar amylose content (19.9%), palatability of cooked rice and high protein content (6.5%).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cultivar was about 5.67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Jopyeong’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and southern mountainous area of Korea.

      • KCI등재

        호남평야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남정권,김상수,이준희,최원영,백남현,박홍규,최민규,권태오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2~~2004 년에 호남평야지인 익산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는 다비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다비할수록 저하되었다. 2. 백미 외관상 품위에서 완전립 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질소시비량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쌀 수량은 삼천벼와 화성벼는 질소 9kg/10a, 남평벼는 질소 11kg/10a까지,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와 화성벼는 질소 7kg/10a, 남평벼는 질소 9kg/10a 수준까지는 증수 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10g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9kg 내외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proper nitrogen application level considering rice quality in Honam plain area from 2002 to 2004 at the paddy field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Samcheonbyeo (Early maturing one), Hwaseongbyeo (Medium maturing one) and Nampyeongbyeo (Mid-late maturing on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amount of nitrogen application resulted in greater number of panicle and grain in per unit area, but the rate of ripening and the 1,000-grain weight of brown rice decreased. The protein content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 with higher nitrogen level. The head rice yield increased by the higher nitrogen application up to 7 kg/10a for Samcheonbyeo and Hwaseongbyeo, and 9 kg/10a for Nampyeongbyeo respectively. The appropriate nitrogen application amounts, with respect to the yield of head rice, the rate of ripening and the quality of rice were found to be in range of 7 to 9 kg/10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