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조형정,김명랑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특성화고등학교의 NCS 교육과정은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미 있는 제도적 장치로 인식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학교현장 교사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수업 운영에 대한 구체적 안내를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수업의 방향성과 수업 내 팀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논하고, 직업기초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을 국어교과와 연계한 수업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 연계방안과 팀기반학습 절차를 개발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요소를 적용하여 팀기반학습 절차에 따라 요구되는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고, 일련의 과정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피드백을 반영한 결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 수업설계와 자료개발에 실제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nd develop procedures and strategies for team-based learning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is perceived as the institutional strategy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However, teachers can be limited to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subject. For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instructions for team-based learning and developed TBL cases using communication abilities of vocational ke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thods were developed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connecting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eam-based learning procedures to improv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Second,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for TBL according to team-based learning procedures were developed, and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guide for team-based learning designs and development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 KCI등재후보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조형정,이영민 교육종합연구원 2008 교육종합연구 Vol.6 No.2

        교수자가 팀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유도한다고 모두 효과적인 교수활동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교수자는 교수자의 팀 활동에 대한 구조화된 교수 설계와 구체적인 교수 과정에 대한 계획을 통해서만이 의도한 교수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평가의 경우, 팀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공통된 팀 성취는 평가 상의 불공평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학습자의 동기를 저하시켜 팀학습에 대한 반감과 성취 저하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팀 단위의 교수·학습 전략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측면을 보완할 대안적 방법이 필요하다. 팀 기반 학습은 동료 학습자들과 지식과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집단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팀 기반 학습에 대한 효과성과 그 한계점에 대한 탐색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이 그러한 대안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 가능한 지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팀 기반 학습의 효과성과 그 한계를 탐색하고 대안적인 팀 기반 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협동학습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관계분석 : TIMSS 2007 한국과 미국의 수학교과 비교를 중심으로

        조형정,김대석 韓國比較敎育學會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TIMSS 2007 자료를 기초로 한국과 미국의 수학교과 수업에서 갖는 협동학습 경험이 수학적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의 정의적 태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협동학습의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에서 공통적으로 소집단 협동학습의 경험은 수학적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 등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학생들이 수학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하는 비율은 미국의 1/3정도로서 미국학생들에 비해 협동학습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가 한국학생들의 수학 성취도가 국제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낮은 원인이 됨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인 협동학습의 수업환경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and students’ self-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SCM),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PATM) and the value they place on mathematics(SVM).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ents who worked together in small group in every or almost every lesson have higher or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SCM, PATM, SVM) than students who do never work together in mathematics lessons. All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less of gender, their mathematics score and parent education level. The results were consistent both in the United States and in South Korea. Therefore, students’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is presumed to be improve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if they work together in small group in mathematics lesson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ere PATM among SCM, PATM and SVM. The results were consistent both in the United States and in South Korea. Therefor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is presumed to make the most impact on PATM among SCM, PATM, and SVM. The differences of students whose parent education level are less than upper-secondary school were bigger than those of students whose parent education level are more than university degree.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both in the United States and in South Korea. Therefor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is presumed to make impact to the students whose parent education level is low more than to the students whose parent education level is high.

      • KCI등재

        면대면과 웹기반에서의 협력적 문제해결과정 분석 ― 비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

        조형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n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problem structure in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is, the study compared functional message content and group interaction patterns in F2F and Web-based groups in terms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while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For this study, 24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K university freshmen in Seoul. Event sequential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messages frequency and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hreaded messages from F2F and Web-bas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 ill-structured problems. there were differences message content and group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F2F and Web-based in ill-structured problems. The quantity of messages in Web-based than in F2F conversation was smaller but reflected more on their critical thinking and ideas in reaching their decisions for problem-solving. It was also found that participants suggested messages paratactically with criteria development(CD) and solution development(SD) in Web-based. The other side, students discussed as suggesting their additional one with other person's opinions for one solution development in F2F. In additional, Participants made one solution development rapidly through frequent phases of OO and solution approval(SA) in F2F environment while solving problems. In this study, Web-based environment enabled learners to participate critical thinking activities interactively in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There was differences of problem-solving process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al, there are clearl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2F and Web-based for supporting group problem solving for ill-structured problems. From this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implication for design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학습환경에서 비구조화된 문제가 주어졌을 때 협력적 문제해결과정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환경별 비구조화된 협력적 문제해결과정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협력적 문제해결 학습과정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과 전략구성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대학 신입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각 집단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생성한 메시지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순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별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한 결과 비구조화된 문제의 경우 학습환경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면대면의 경우 모든 문제해결단계가 고르게 나타난 가운데 빈번히 나타난 해결과정 수정과 동의단계를 통해 비교적 빠른 시간안에 타인의 의견에 대한 비평 및 정당화과정을 통한 조정된 해결안을 도출했다. 반면 웹기반의 경우 해결책제시와 해결책비평 등이 문제해결과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고, 웹 등의 자료검색을 통해 자신의 의견제시를 위한 논리적 근거에 기반한 해결안제시의 메시지가 다수 제시되며 최종 해결안이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자아효능감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형정,고영미,윤지영,신윤미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4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 의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충남 소재 사립 대학 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개발한 K-CESA와 자아효능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초통계와 더불어 이원변량분석 및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6가지 핵심역량과 자아효능감은 서로 관련성이 있었으며, 대학 생의 개인 특성(학년, 성별, 성적)에 따른 핵심역량의 차이는 자아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할 때 대학생의 특성 뿐만 아니라 자아효능감과 같은 핵심역량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는 요인들 또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 역량 간 관계에서 자기관리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조형정(Hyung Jung Cho),윤지영(Ji young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manag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college students. Also, this study is confirmed to differ in mediating model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study, the mediating model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competency is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partial mediation model).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struct equivalence 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in mediating model. The path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male and female groups and between self-man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Therefore, the mediation model was supported the partial medication mod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ath between self-confidence and self-man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group. Also the path between self-confid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group. That is, male and female groups are differed to path the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Based on ther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colleges decide to set up education course which is factors having a relevance to core competencies like self-efficac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효능감, 대인관계 역량 간 관계에서 자기관리역량의 매개 효과를 변인 간 관계가 성별 간 차이를 보이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는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 역량은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또한, 성별 간 다집단 검증 결과, 형태동일성 검증은 만족하였으나, 측정동일성 검증은 기각되어 두 집단 간 경로는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아조절효능감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관리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남, 녀 집단이 동일하나 남자의 경우 자신감이 자기관리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인관계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할수 있으며,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립과 성별 특성을 감안한 핵심역량증진 접근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