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lk의 Seam Puckering 과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정승혜,조차,이순덕,이순자 한국의류학회 1997 한국의류학회지 Vol.21 No.6

        For this study, we did needlework of the sample considering practical aspect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ilk, high-quality material for women's clothes, and then analyzed the state of the seam puckering after press and dry cleaning, estimated the Seam Puckering bas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lk related to machine sewing, and examined the effects which Mechanical Properties have on Seam Puckering closely. Through this, we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re are three types of seam puckering for each stage, which are caused by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by pr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rinkage rates of fabric and sewing thread by Dry Cleaning. 2. In analyzing seam puckering classified by each step, seam puckering after sewing the fabric is related to WT negatively, while to RT and W positively. Seam puckering after sewing and pressing the fabric is related to WT, RC, MMD negatively and seam puckering after sewing, pressing anddry cleaning the fabric isrelated to WT negatively, too. 3. Concer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with a little seam puckering, WT, LC, WC, RC, MMD, SMD is relatively large while RT, B, 2HB is small. 4. Judging from the result of estimating seam puckering based on mechanical properties, the estimate-formula is satisfied in this study.

      • 저세포성 골수를 보인 환자에서 저용량 Ara-C 치료 후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된 1예

        정승혜,박성훈,정성창,진명인,박민식,류헌모,김상경,조창호,이재련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저세포성 급성골수성백혈병은 골수 검사 결과 세포충실도가 5~40%이면서 백혈구 아세포가 30% 이상이 되는 경우를 말하며 급성백혈병 중 5~10%를 차지한다. 저세포성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low-dose Ara-C는 골수양 분화를 항진시킴으로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저세포성 급성골수성백혈병 또는 저세포성 골수이형성증후군이 의심되어 low-dose Ara-C를 투여한 후 세포충실도의 증가를 보이며, 후에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행하는 증례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low-dose Ara-C 투여 후 골수의 세포충실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어 low-dose Ara-C의 분화 유도 효과를 뒷받침해 준다고 볼 수 있다. 환자는 idarubicin과 Ara-C 병용 요법으로 관해유도요법을 시행한 후 완전관해에 도달하여 공고요법 중이다. Hypocellular AML occurs in 5 to 10% of patients with AML, and has been described as a subset of AML with a cellularity between 5 and 40% when the blast % exceeds 30% of all the nucleated bone marrow (BM) cells. Low-dose cytosine arabinoside (Ara-C) in patients with hypocellular AML is known to be an effective regimen with some clinical benefits through the action of myeloid differentiation. We experienced a 56- year-old female with pancytopenia in the peripheral blood and a hypocellular marrow. She was diagnosed of having either hypocellular AML or hypocellular MDS and chemotherapy with low- dose Ara-C was started. Her BM cellularity increased to 10%. Two months later she was admitted again with thrombocytopenia with a BM cellularity of 75% and was diagnosed of AML (FAB M2). The increase in BM cellularity supported the myeloid differentiation effect of low-dose Ara-C. She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fter receiving a combination regimen of idarubicin and Ara-C and is presently undergoing postremission therapy.

      • KCI등재

        嶺南大 所藏 「老乞大(古貴727)」의 자료적 특성에 대하여

        정승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이 글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동빈문고에 소장된 귀중본 노걸대<고귀 727>을 검토하고 이 자료가 사역원 한학서로서 가지는 자료적 특성과 가치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영남대본 <古貴727>은 형태적인 특징이 규장각본과 동일한 계통의 갑인자복각본이지만, 판본상의 형태적 특징이 다르며, 장서각 소장의 <노걸대>와 동일 계열이다. 이 책은 활자본의 복각임을 나타내는 여러 특징(계선과 어미의 분리, 글자와 계선과의 분리 등)을 보이고 있고, 글자는 갑인자체를 나타내고 있어서 갑인자의 초기 간본의 복각임을 알 수 있다. 이 자료는 현전하는 자료 중 최근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원대 「노걸대」 다음으로 빠른 시기에 간행된 것들 중의 하나로 보이며, 이 책의 저본이면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초주갑인자본 「노걸대」의 원형을 간접적으로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역학서(譯學書) 연구 현황과 과제

        정승혜 국어사학회 2022 국어사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Yeokhakseo’s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to explore how to proceed with future research. The study of Yeokhakseo in Korea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Chinese studies (42%) > Japanese studies (37%) > Manchu(Jurchen studies) (10%) > Mongolian studies (7%) > General theory (5%). In the study of Hanhak, mainly research focused on ‘Nogeoldae’ and ‘Baktongsa’ were the main studies. In the study of Waehak,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studies on ‘Cheophaesineo’. By period, research tends to be activated as new materials are discover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due to the Korean Wave and globalization also led to vitalization of Yeokhakseo. In addition, research and cooperation with native speakers of Greater China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study of Yeokhakseos. Future Yeokhakseo’s research can be developed through overcoming the bias of specific matirial research, revitalizing translation work, databaseizing the entire Yeokhakseo’s, expanding the research area, and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studies. 본고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경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의 역학서의 학별 연구는 한학(42%) > 왜학(37%) > 청학(여진학)(10%) > 몽학(7%) > 총론(5%)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한학은 노걸대 와 박통사 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몽학과 청학은 몽어유해 , 동문유해 , 한정문감 과 같이 어휘류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왜학은 첩해신어 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기별로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에 따라 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을 띤다. 한류(韓流)와 글로벌화에 따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도 역학서 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또한 원어민 화자, 중화권(中華圈)의 연구와 협력도 역학서 연구의 원동력이 되었다. 앞으로의 역학서 연구는 자료 연구의 편향성 극복, 역주 작업 활성화, 전체 역학서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연구 영역의 확대, 학문 후속 세대의 양성 등을 통해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본고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경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의 역학서의 학별 연구는 한학(42%) > 왜학(37%) > 청학(여진학)(10%) > 몽학(7%) > 총론(5%)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한학은 노걸대 와 박통사 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몽학과 청학은 몽어유해 , 동문유해 , 한정문감 과 같이 어휘류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왜학은 첩해신어 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기별로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에 따라 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을 띤다. 한류(韓流)와 글로벌화에 따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도 역학서 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또한 원어민 화자, 중화권(中華圈)의 연구와 협력도 역학서 연구의 원동력이 되었다. 앞으로의 역학서 연구는 자료 연구의 편향성 극복, 역주 작업 활성화, 전체 역학서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연구 영역의 확대, 학문 후속 세대의 양성 등을 통해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에 대하여

        정승혜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6 No.-

        이 논문은 규장각 소장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서지 정보, 語音의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편찬 시기’에서는 譯科 漢學에서 사용된 科試書와 經書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은 ① 經筵 시에 經書의 발음을 정확하게 말하고, ② 중국과 통교할 때 經書의 音을 바르게 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은 초기로부터 『經書』의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데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는데, 마침내 英祖대에 이르러 『經書正音』을 처음 편찬하였고, 正祖대에 중간하였다. 특히 『周易正音』은 1800년에 역관 金益瑞가 초판본을 만들었음을 밝혔다. 둘째, 제3장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의 書誌’에서는 규장각에 소장된 『경서정음』의 현황과 서지사항을 정리하였다. 규장각 소장본은 ‘경서정음’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3질이 있고, 활자본과 목판본을 각각 따로 소장하고 있다. 셋째, 제4장 ‘『經書正音』의 語音’에서는 한어음을 표기하는 한글 전사를 살펴보았는데, 좌측음은 물론 우측음까지도 『洪武正韻譯訓』(1455)에서 수립된 한글 전사 체계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본래의 목적이었던 한자음의 현실음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This is a study on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as well as its biographic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apter 2 surveys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texts and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were used in the Sino-Korean studies as a category for the translator program. The purpose of Gyeongseojeongeum was to make sure that ① examinees effectively pronounce words when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for the contests and that ② the relevant officials correctly pronounce the sounds of the words in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reby ensure their effective communication during diplomatic exchanges with China. Since its early days, the Joseon Dynasty was continuously interested in making correct pronunciation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led the publication of Gyeongseojeongeum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then to a reprint during King Jeongjo’s reign. It lets it be known for the first time that Juyeokjeongeum in particular had its first edition made by translator Kim Ik-seo in 1800. Second, Chapter 3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The three copies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are bound under the name of Gyeongseojeongeum, and the movable type printing and the woodblock printing editions are also available in the collection. Third, Chapter 4 surveys the Korean transliteration that describes the sounds of the Chinese words but fails to reflect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words, which is it original purpose, as not only the left sounds but the right sounds almost faithfully follow the Korean transliteration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Hongmujeonghunyeokhun (14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