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봉독약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통증, 종창 및 급성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상훈,이현종,백용현,김수영,박재경,홍승재,양형인,김건식,이재동,최도영,이두익,이윤호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TRADITIONAL MEDICINE 2003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3 No.-

        Objectiv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bee venom(BV) on the pain, edema, and acute inflammatory reactant of rheumatoid arthritis(RA) patients. Methods Patients with RA who met the ACR(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1987 revised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RA were treated with the BV therapy twice a week for 3 months. Tender Joint counts, swollen joint counts, Visual analog scale(VAS), morning stiffness, ESR. C-reactive protein(CRP)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BV therapy. Results The results as follows. 1. Tender joint counts in patients after BV therap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before BV therapy(9.0±7.9 vs 15± 11.4, p=0.002). 2. Swollen joint counts of the patients after BV therap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before BV therapy(50±61 vs 15±23, p=0.001). 3. VAS in patients after BV therap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before BV therapy(608± 17.6 vs 380± 159, p=0.000). 4. Duration of morning stiffness in patients after BV therapy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before BV therapy(119.1± 112.6 min vs 59.0±89.7 min, p=0.009). 5. ESR and CRP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BV therapy, suggesting BV itself could make inflammatory reaction as well as therapeutic effect. Conclusions BV therapy improved tender joint counts, swollen joint counts and duration of morning stiffness in this study, and further study is needed on long-term effect of BV therapy.

      • KCI등재

        크롬(Ⅵ)의 체내 흡수와 소실속도에 관한 연구

        김현영,이성배,임철홍,이권섭,정용현,이종성,한정희,전윤석,황호순,이용묵 한국산업위생학회 2003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13 No.1

        The CrO3 mostly used in plating. metal surface disposal, leather, cosmetic manufacturing, as an experiment material by repeatedly inhaling and exposure the male S.D. rats at a 0.00, 0.2., 0.50, 1.25 mg/㎡ concentration(particle size: 0.5-0.5 aerosol)6hours a day, 5day a week in 13weeks comparing with 2weeks, 8weeks of recovery group about the noxiousness of the experiment animal and the reduce scale of the CrO3 in the internal organ especially in blook and respiratory organ with the period of convalescent and clearance. The experiment results which we received are as follows. 1. In blood the RBC, HGB and HCT experiment, rats with 0.20, 0.50 mg/㎡ concentration showed that there were some decreases but not dependent. The kidneys absolute we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as reduced intentionally(p〈0.05) and the lungs absolute we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howed intentional increase(p〉0.05). 2. After the exposure of the experiment material, the whole blook, l\blood plasma and red blood cell in blood by (x): the period of convalescent, per (y); the decreasing of Cr concentration, was y=66.51 e -0.057x, y=67.2 e-0.101x, y=70.01 e-0.030 in 0.50 mg/㎡ exposure concentration by calculating the clearance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the half life (day)was estimated 12.0, 6086, 23.0 each. 3, After the exposure of the experiment material, the experiment animals lung, liver and kidneys by(x); the period of convalescent, per (y); the decreasing of Cr conentration, was y=1808 e-0.00493x, y=12.02e-0.0297x, y=67.61 e-0.0292x in 0.50mg/㎡ exposure concentration by calculating the clearance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the half life(day)was estimated 140.6, 23.3, 23.7, each, and including lung, liver with all of the experiment internal organs, the Cr clearance decreased as the exposure concentration increased.

      •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내에 생긴 가성동맥류 : 1례 보고

        오연희,이채경,김승현,이성우,양창현,이정호,이영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동맥류는 드문질환으로, 반복적으로 다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사망율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38세 남자 환자에서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낭종내에서 발생한 가성동맥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성 동맥류의 색혈류도플러상 낭종내에 양방향 흐름의 와류를 볼 수 있었다. Pancreatic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1 Cas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DongGuk University Yeon Hee OH M.D., Chae Kyeong Lee M.D., Seoung Hyeon Kim M.D., Sung Woo Lee M.D., Chang Heon Yang M.D., Jung Ho Lee M.D., Young Hyun Lee M.D. Pseudoaneurysm from pancreatitis is uncommon, but it can cause recurrent and massive hemorrhage.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is needed. We report a case of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Color-flow Doppler sonography shows bidirectional flow and turbulent arterial flow, within anechoic mass.

      • 혈액 투석 환자에서 중심정맥 협착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 : Wallstent Placement

        임대승,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정우,강정아,김정희,이민수,정준용,최시완,정진옥,성인환,이강욱,신영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2 충남의대잡지 Vol.29 No.1

        Stenosis of central vein is a common complication arising after percutaneous subclavian vein catheter insertion performed for temporary vascular access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ere are several treatment methods for the condition like percutaneous angioplasty(PTA), stent insertion, and surgery, but recent trend is toward PTA and stents. Among the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from March 1993 to May 2002 and undergoing hemodialysis through AV fistula, the 14 Patients in whom central vein stenosis aros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total of 28 percutaneous interventions(5 PTA and 23 stent placement) were performed, and restenosis rate and the time taken till the restenosis in de novo lesions and instant lesions were compared. All 28 cases were operated successfully. The 14 cases that received both ani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initially. (de novo lesion : 14 cases), Among the 10 cases with de novo lesion that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3 cases are currently undergoing hemodialysis without restenosis, and the remaining 7 cases have recurred stenosis with the mean time to restenosis of 10.9 months. In the 7 cases in whom stenosis recurred, 11 interventions were done(instent lesion: 11 cases). 4 of these were using only ballon angioplasty with 100% restenosis rate and the mean time of 3 months until restenosis. The remaining 7 cases were using both balloon an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also with 100% restenosis rate but with the mean time of 12 months until restenosis, which was later than the group receiving only balloon angioplasty. In treating the patients with central vein stenosis, stent placement seems to be more advantageous over PTA in terms of restenosis rate and the mean duration of patency. In the case of instent lesion, inserting the stent for the second time after stenosis recurred lengthened the duration of patency compared to performing balloon angioplasty alone.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Nanogenerators: Fully Rollable Transparent Nanogenerators Based on Graphene Electrodes (Adv. Mater. 19/2010)

        Choi, Dukhyun,Choi, Min-Yeol,Choi, Won Mook,Shin, Hyeon-Jin,Park, Hyun-Kyu,Seo, Ju-Seok,Park, Jongbong,Yoon, Seon-Mi,Chae, Seung Jin,Lee, Young Hee,Kim, Sang-Woo,Choi, Jae-Young,Lee, Sang Yoon,Kim, Jo WILEY-VCH Verlag 2010 ADVANCED MATERIALS Vol.22 No.19

        <B>Graphic Abstract</B> <P>The cover shows an image of fully rollable transparent nanogenerators synthesized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grown large-scale graphene sheets as transparent electrodes and piezoelectric ZnO nanorod arrays. Sang-Woo Kim, Jae-Young Choi, and co-workers report on p. 2187 the electrical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anogenerators, with excellent charge scavenging performance under external mechanical loads such as bending and rolling. This study shows that graphene-based nanogenerators are very promising for self-powered rollable transparent device applications. <img src='wiley_img_2010/09359648-2010-22-19-ADMA201090066-content.gif' alt='wiley_img_2010/09359648-2010-22-19-ADMA201090066-content'> </P>

      • SCOPUSKCI등재

        백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의 Chicken Lysozym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₃효과 분석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유전자 전사과정은 증강부위 (enhancer) 또는 억제부위(silencer)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조절되며 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는 두 개의독립적인 전사인자 결합부위 (Fl과 F2)를 가지는데 Fl부위는 75~93 kD 크기의 NePl 단백질이 결합하는 위치인 반면 역위회문구조(inverted palindrome, InvPal)의 F2 부위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Fl부위 또는 F2 부위 (이하 F2-TRE 부위)를 각각 다량체화(multimerization) 하였을 때 전사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가 완전한 전사억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다. 현재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chicken Iysozyme 유전자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73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자들은 치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전 ·후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IRE2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색체 면역침전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F2-lRE 부위를 포함하는 백서 뇌하수체 종양세포주인 GC8 세포를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시간적 순서에 따라 F2-TRE 부위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thymidine kinase(TK) promoter의 5' 부위에 chicken Iysozyme silencer의 고친화력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F2-TRE 부위)가 삽입된 플라스미드,mouse TRα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 neomycinresistance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를 백서 뇌하수체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인 GC 세포에 각각 주입하여 제작한 GC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100 α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각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을 1.5μL에서 4.5μL로 바꾸어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한 후 2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F2-TRE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과 TRβ2의 결합은 증가한 반면 TRβl의 결합은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TRα1은 T₃ 투여 전 1.01에서 T₃ 투여 후 2.7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Bβl은 T₃ 투여 전 4.59에서 T₃투여 후 2.0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Rβ2는 T₃ 투여 전 2.53에서 T₃ 투여 후 2.98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TRα1, Δ=+170.3%, p<0.05; TRαl, Δ=-55.1%, p<0.05; TRβ2, Δ=+17.8%).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8.13에서 T₃ 투여 후 7.7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Δ=-4.4%).100nM T₃ 투여 전 ·후 시간별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Rα1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과 6시간 뒤 각각 증가하였으며 TRβ2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 뒤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가 2시간 뒤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TRαl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1시간 뒤 최저치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100 nM T₃ 투여 전과 투여 후 2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비교하였을 때 TRα1은 219.8% (1.01→3.23), TRβ2는 9.9% (2.53→2.78) 증가하였으나 TRβ1은 52.9% (4.59-)2.16) 감소하였으며 결합량 변화의 방향은 100 naM T₃ 투여 후 4시간 뒤와 6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 변화의 방향과 일치하였다(TRα1, 2.89→4.09, Δ =+41.5%; TRβl, 2.33→2.04, Δ=-12.4%; TRβ2, 2.57→2.59, Δ=10.8%).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 μL 또는 4.5 μL 투여한 후 F2-TRE부위에 대한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행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결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관찰된 T₃ 자극 전 · 후 chickenIysozyme 유전자의 F2-TBtE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이성체의 교대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하여 추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다른 유전자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와유전자 발현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대한 많은 의문점을 풀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ㆍ후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F2-TRE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교대현상을 재확인하였다는 점과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can be controlled by both positive (enhancer) and negative (silencer) regulatory sequences. Several enhancer and silencer ele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5' region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The silencer located at -2.4 kb upstream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is composed of two separate modules (Fl and F2) that can function as silencers by themselves, but also show synergistic repression after multimerization. The F1 module is bound by a protein termed NePl and F2 module, a F2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 (F2-TRE), and can be bound by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TR). F2-TRE has an inverted palindromic structure, with high affinity to TR. Although many current reported results have tried to expla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hicken lysozyme gene expression due to the thyroid hormo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larify the TR dynamic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either with or without exposure of the thyroid hormone. Here, the changes in the TR binding pattern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are described,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Methods: Using the stably transfected rat pituitary somatotroph tumor cell line, GC8 cells, with the F2-TRE inserted 5' to the thymidine kinase (TIC) promoter, together with a mouse TRα - expressing plasmid,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was employed to reveal the TR-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Following the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the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respectively.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1 and TRβ2 to the F2-TRE, before and after 1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The ChIP technique was used to give a basal value for 20 minutes and 1, 2, 4, 6, 8 and 12 hours after the 100nM T₃ stimulation, and RQ-PCR was then performed. Western blot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of the GC8 cells, the TRα1 and TRβ2 binding to the F2-TRE increased, but the TRβ1 binding to the F2-TRE decreased, by conventional PCR. Although all the TR isoforms were bound to the F2-TRE by RQ-PCR, the TRαl binding to the F2-TRE, after 12 hours of l00nM T₃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1→2.73, Δ =+170.3%, p<0.05), bu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W2 binding was not significant (2.53→2.98, Δ=+17.8%). The TRβ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level (4.59→2.06, Δ=-55.1%, p<0.05). The total TR bindings to the F2-T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8.13→7.77, Δ=-4.4%).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βl and Tβ2, both before and after the 100 nM T₃ sti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over time. While the TRβl bindings to the F2-TRE after 1 hour of l00nM T₃ stimulation were acutely reduced, those of the TRαl at 20 minutes and 6 hours were increased. The TRβ2 bindings showed a maximal increase at 20 minutes. The directions of the TR binding pattern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identical to those for between 4 and 6 hours of T₃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 bindings to the F2-TRE in relation to the amounts (1.5 vs. 4.5μ I)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the ChIP assays. The Western blo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s of each TR isoform proteins, either before or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100nM T₃.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dynamic binding patterns of the TR isoforms to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our observations. The ChIP technique may then be used to reveal the dynamic models of the cofactors, as well as TR isoforms, in the TR-regulated transcription machinery (J Kor SOC Endocrinol 18:379-391, 2003).

      • SCOPUSSCIEKCI등재

        성견에서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

        이상열,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을 시행한 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체중 15 kg 내외의 성견 9마리에서 상악 좌우측 제3절치의 원심 치근면에 수직적 골결손을 형성하고 치주질환을 유발시킨2주 후 치주판막술을 시행하고 골결손 기저부 수준의 치근면에 기준 흠을 형성하였다. 골이식 후 치유기간에 따라 2주군, 4주군, 6주군으로 각각 3마리씩 분류하고 우측 제3절치는 치주판막술만 하는 비이식측으로, 좌측 제3절치는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병용한 이식측으로 설정하여 양측 모두 술후 2주, 4주, 또는 6주부터 120 gm의 교정력을 적용하여8주 동안 치체이동 시킨 후2주간 보정하였다. 이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표본을 만든 후 치주조직의 반응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실험동물에서 비이식측에 비해 이식측의 골재생양이 많이 나타났다. 2. 6주군에서는 홈에서 백악-법랑 경계부까지 거리의 1/2이상 치조골과 백악질이 재생되었고 상피의 하방증식없이 결합조직대가 치근면과 부착을 이루었다. 3. 4주군에서는6주군과 유사한 치주조직 재생소견을 보였으나 그 양은 더 적게 나타났다. 4. 2주군의 경우 골재생이 양측 모두 홈에 한정되어 나타났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이 홈의 기저부까지 연장되고 백악질과 결합조직의 재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치주질환에 의한 수직적 골결손 환자에서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시행하고 교정적 치아이동을 할 경우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주요 단어 : 수직적 골결손, 골이식, 교정력 적용시기, 치주반응)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odont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into the angular bony defect. Nine do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2, 4, and 6 weeks,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Periodontal angular bony defects were created surgically at the distal aspect of both maxillary third incisors. Two weeks later, flap operation was performed to eliminate inflammation and reference notch was made on the root surface at the level of the bottom of each defect.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was implanted on the left side whereas only debridement was done on the other sid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was executed during 8 weeks on both graft and non-graft sides. After 2 weeks of retention period, animals were sacrificed for histologic specimen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New bone formation was more pronounced in the graft side than in the non-graft side in all experimental animals. 2.In the 6-week group, new bone and cementum formation was observed in more than half from the notch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the zone of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as found without apical migration of junctional epithelium. 3.In the 4-week group,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was smaller than in the 6-week group whereas the overall remodeling pattern was similar. 4.New bone formation was confined to around the notch and the junctional epithelium migrated apically to the level of the notch with no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and cementum formation in the 2-week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eriodontal response may be influenced by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into angular bony defect. Key words : Angular bony defect, Bone graft, Timing, Periodontal response

      • 폐암에서 CYFRA 21-1과 다른 종양표지자의 진단적 의의

        이상구,이호현,전병철,김성자,이영현,김문연,하경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폐암의 확실한 조직학적 진단이 어려울 경우 종양표지자의 검사가 보조적인 진단 수단이 되고, 조기 진단이나 경과 관찰에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CYFRA 21-1이 폐암의 종양표지자로서 효용성이 있는지 판정하고, CYFRA 21-1과 다른 폐암 종양표지자인 SCC Ag, CEA, NSE의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병기 진행에 따른 CYFRA 21-1치의 증가 여부를 관찰하고, 4가지 종양표지자를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의 진단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동국대학병원에 입원한 폐암 환자 40명과 양성 폐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편평상피세포암 21명, 선암 10명, 소세포암 7명, 대세포암 2명이었다. 혈청 CYFRA 21-1의 cytokeratin 19 분절에 대한 쥐의 두 가지 단일 클론항체(KS 19-1과 BM 19-21)를 이용하는 RI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EA는 MEIA 방법으로, SCC 항원과 NSE는 RIA로 측정 하였다. 1. CYFRA 21-1의 혈중 농도는 폐암군 22.08±43.00ng/mL, 양성 폐질환군 1.14±1.04ng/mL로 폐암군에서 양성 폐질환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폐암환자군에서 55%의 양성율을 보였고, SCC 항원 30%, CEA 44.7%, NSE 54.5%의 양성율을 나타내 CYFRA 21-1이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2.CYFRA 21-1은 비소세포암군 23.79±44.49ng/mL, 소세포암군 13.90±33.57ng/mL로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암환자군에서 민감도와 특이도는 CYFRA 21-1 55.0%와 96.7%, SCC항원 30.0%와 96.4%, CEA 42.5%와 92.8%, NSE 36.4%, 76.9%로 CYFRA 21-1에서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민감도는 편평상피세포암에서 CYFRA 21-1이 61.9%로 CYFRA 21-1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선암에서는 CEA가 88.8%로, 소세포암에서는 NSE가 85.7%로 가장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비소세포암군에서 CYFRA 21-1치는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4. 폐암환자에서 단일 종양표지자를 측정하는 것 보다 동시에 여러 종양표지자를 측정하는 것이 특이도는 떨어지나 민감도는 80.0%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양성 표지나 수에 따른 비교분석시 폐암의 상대 예측도는 두 표지자 양성인 경우가 76.5%, 3가지 표지자와 4가지 모든 표지자에서 양성으로 나온 경우는 10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CYFRA 21-1은 새로운 폐암의 종양표지자로 기존의 종양표지자 보다 민감도가 높고 비소세포암 특히, 편평상피세포암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료되며, 폐암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단일 종양 표지자를 측정하는 것 보다 수종의 종양표지자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진단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Cytokeratin 19 is a subunit of cytokeratin intermediate filament expressed in simple epithelia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 fragment of cytokeratin subunit 19 can be measured in serum with a immunoradiometric assay using two mouse MoAb KS 19-1 and BM 19-21. Thus this cytokeratin 19 fragment is referred to as CYFRA 21-1.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CYFRA 21-1 in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to compare the diagnosti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FRA 21-1 with those of CEA, SCC Ag, NSE according to histological type of lung cancer. Methods: In 40 patients with lung cancer(21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10 with adenocarcinoma, 7 with small cell carcinoma, 2 with large cell carcinoma) and 40 patients with non-malignant lung disease, serum CYFRA 21-1 was measured by solid-phase immunoradiometric assay(CIS Bio International, France). Serum NSE and SCC Ag were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and CEA was measured by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Results: 1) The mean value of CYFRA 21-1 was 22.08±43.00ng/mL in the lung cancer and 1.11±1.04ng/mL in me non-malignant lung disease group(P<O.O5). 2) Using the cut-off value of 3.3n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FRA 21-1 were 55.0%, 96.7% in the lung cancer. The sensitivity of CYFRA 21.1 was 61.9% in squamous cell carcinoma 3) The level of CYFRA 21-1 was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progression of stage in non-small cell carcinoma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4)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our tumor markers revealed increased sensitivity to 50.0% in lung cancer. As the number of positive markers was increased, the relative possibility of lung cancer was also increased. If two markers were positive, it increased to 76.5% and three markers were positive, it increased to 100%.5 Conclusions: CYFRA 21-1 is a useful serum marker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especially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CYFRA 21-1, CEA. SCC Ag and NSE woul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igh risk group of lung cancer.

      • SCOPUSKCI등재

        제1형 탈요오드효소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 모델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제1형 탈요오드효소의 발현에 관여하는 hdiol 유전자는 5 flanking region 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즉 TREI과 TRE2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를 투여하였을 때 hdiol유전자의 전사작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hdiol mRNA가 충분히 발현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으나 T₃ 투여시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바 없다. 한편 현재까지 보고 된 연구 결과들은 갑상선호르몬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 한다는 전제 조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가정은 간접적으로만 증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세포를 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후 hdiol 유전자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에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함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 TR 1, TR 2 항체와 IREI, TRE2에 상보적인 시발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hdiol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4'1, TR 1, TR 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I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 투여 전후 TREI 부위에는 TRgl이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al 결합이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TR4'1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₃ 투여 전3.74에서 T₃ 투여 후 1.97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47.3%, p<0.05). T₃ 투여 전 ·후 TRβl과 TRβ2의 결합은 관찰되지 않았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2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god하였을 때 T₃ 투여 전ㆍ후 TRE2 부위에는 TRα1, TR 1, TR 2가 모두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α1과 TR 1의 결합은 감소하였으나 TR 2의 결합은 증가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Rαl은 T₃ 투여 전 10.41에서 T₃ 투여 후 3.01, TRβl은 T₃ 투여 전 12.56에서 T₃ 투여 후 2.9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Rβ2는 T₃ 투여 전 9.17에서 T₃ 투여 후 9.84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Rα1, Δ=-71.1%, p<0.05; TR 1, Δ=-76.7%, p<0.05; TR2, Δ=+7.3%).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32.14에서 T₃ 투여 후 15.78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50.9%, p.0.05).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μL와 4.5μL 첨가한 후TREI과 TRE2에 대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깡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의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란 후 12시간 뒤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hdiol cDNA 시발체를 이용한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hdiol mRNA발현량은 2.03배 증가하였다(p<0.001).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현재까지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가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실정을고려하여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특히 T₃ 자극 전 hdiol 유전자의 TREI 부위에서 TRal이 억제자 (silencer)로서 작용할 가능성 및 T₃자극 전 · 투 TRE2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교대현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종류의 세포주 및 체내에서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한편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통해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할 뿐 아니라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T₃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통한 유전자 전사조절기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역동학적 기전을 규명함에 있어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ype 1 iodothyronine deiodinase (Dl), the product of the hdiol gene, is involved in thyroid hormone activation by the deiodination of thyroxine (T4) to form 3,5,3'-triiodothyronine (T3).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two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s (TREs) in the 5 ' flanking region of the hdiol gene. TRE1, proximal to TRE in the hdiol gene, consists of a direct repeat of thyroid hormone receptor (TR) binding octamers with 10 bp separating the two TR binding sites. The upstream TRE, TRE2, is a classical direct repeat of retinoid X receptor (RXR)/TR binding half-sites with a 4-bp separation. There are few studies clarifying the TR dynamics in the TRE of a specific gene with or without the exposure of activated thyroid hormone. We evaluated TR binding patterns in the proximal and distal TREs of the hdiol gene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Methods: We employe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TR- 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 line. Following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1 and TRβ2 antibodies. We analyzed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l and TRβ2 to TREl and TRE2 before an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by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Reverse transcriptional PCR (RT-PCR) and Western blot with TR 1, TR 1 and TR 2 antibodi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levels of hdiol mRNA and TR 1, TR 1 and TR 2 proteins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Results: In TRE1, TRα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l00nM T3 (3.74→97, Δ=-47.3%, p<0.05), but TRβ1 and TRβ2 bindings were not detected by conventional PCR and RQ-PCR. Although all TR isoforms were bound to TRE2, the binding patterns were quite different. While TRα1 and TRβ1 bindings to TRE2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0.41→3.01, Δ=-71.1%, p<0.05; 12.56 →2.93, Δ =-76.7%, p<0.05, respectively), TRβ2 binding was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9.17 →9.84, Δ =+7.3%). Total TR bindings in TRE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OOnM T₃ (32.14 →15.78, Δ=-50.9%, p<0.05). The TR bindings to TREl and TRE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amounts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ChIP assays. The levels of hdiol mRN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03 times,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p<O.001). Western blo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 of each TR isoform protein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100nM T3.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e dynamics of TRal at proximal TRE (TRE1) and the switching phenomenon of TR isoforms at distal TRE (TRE2) of the hdiol gene after T3 stimulation.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is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these observations (J Kor SOC Endocrinol 18:283-295,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