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퍼지 제어기를 이용한 차량의 자율주차 시뮬레이션

        박재현,김승철,한창훈,박종오,임영도 東亞大學校 附設 情報通信硏究所 1998 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6 No.1

        In a case of driving beginnners, it is very difficult to park a car perfectly because driver's knowledge makes more errors than intelligent mechanism when they are performed repeatedly. However skilled drivers be of experienced knowledge are able to park a car quickly. In this paper, we analyzed driving patterns of skilled drivers, designed the fuzzy controller to park based on it, and perform auto-parking simulation of a car using that controller.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아고산대 독립훼손지 복원식생 분포특성 및 관리방안

        김종엽(Jong-Yup Kim),윤주웅(Ju-Ung Yun),한봉호(Bong-Ho Han),곽정인(Jeong-In Kwak),박석철(Seok-Cheol Park),박수영(Su Young Park),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독립훼손지 중 아고산대에 위치한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과 노고단 복원식생지를 대상으로 현존식생 분석 및 식생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중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조사범위는 훼손지 일대 유역권분포 현황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세석평전 조사면적은 55,037㎡, 노고단 조사면적은 166,599㎡ 이었다. 세석평전은 초본층에 의한 식생피복도는 90% 이상 수준으로서 나지노출이 없었고, 관목층의 피복도가 60% 이상으로 안정화되어 있었다. 주요 출현수종은 구상나무, 사스래나무, 쇠물푸레나무, 철쭉, 털진달래, 붉은병꽃나무 등 식재수종과 자연적으로 이입한 자생수종이 생육하고 있었다. 노고단은 신갈나무, 호랑버들, 철쭉, 털진달래, 미역줄나무 등이 우점하는 관목식생지가 52%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고, 전반적으로 식생활착 상태가 양호하였다. 노고단의 원식생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추정되었고, 군부대철거지에는 귀화식물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장기적으로 주변 자연식생과 조화로운 식생경관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훼손지 복원모델은 인근 지역의 원식생을 고려하여 설정해야 할 것이지만, 복원 달성 목표는 실현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id-to long-term monitoring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s by analyzing the existing vegetation and identifying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ed vegetation in Nogodan and Seseokpyeongjeon in Jirisan National Park located in the subalpine zone among the independent damaged areas. Actual vegetation survey range wa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shed around the damaged area. The surveyed area of Seseokpyeongjeon was 55,037㎡, and the surveyed area of Nogodan was 166,599㎡. In Seseokpyeongjeon, the vegetation coverage by the herbaceous layer was almost 90% or more, there was no bare exposure, and the coverage of the shrub layer was stabilized at 60% or more. The main emerging tree species were planted species such as Abies koreana, Betula ermanii, Fraxinus sieboldi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Weigela florida as well as natively migrated native species. In Nogodan, the shrub vegetation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Salix capre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Tripterygium regelii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with 52% of the area, and the overall diet was good. The native vegetation of Nogodan was presumed to be a cypress colony. Naturalized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military base demolition site, so active management was required. The study site was predicted to develop into a vegetation landscap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vegetation in the long term. In the future, the restoration model for damaged areas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ative vegetation of the nearby area, but the goal to achieve restoration should be set at a feasible level.

      • 경연대회를 통한 초·중고생의 창의력 현황에 관한 연구

        육근철,이희복,류해일,김현섭,김희수,박달원,심규철,박종석,신영숙,박상태,변두원,김태균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2 과학교육연구 Vol.33 No.-

        21세기의 정보화 산업사회와 지식기반 사회에서 우리의 아이들이 자신의 목소리로 세계 속에서 살아가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 다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교육의 틀을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다라서 21세기의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의 현장 역시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낼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 즉,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분위기에서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인간을 양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 안에서의 교육뿐만이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서 교육 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창의력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개별적이 아닌 여러 명의 동료가 주어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짧은 시간이 아닌 장시간 동안 고민하고 그 해결책을 찾는 활동을 가질 기회가 필요하다. In order to educate our students with their special talents for the informational and knowledge based age expected in the 21st century, we must improve our educational programs such that students are able to create their own fresh ideas. Hence the present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such that they are willing to respect others' characters and personality with their own original ideas. Therefore, we must make them have the opportunity that they can acquire many experiences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social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y may grow up to the person with the humanity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new educational program where students engage themselves in long term research projects with collaboration of the team and creativity of individuals.

      • KCI등재
      • KCI등재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조재운 ( Chea Un Cho ),김규철 ( Kyu Cheol Kim ),권구희 ( Gu Hui Kwon ),김기윤 ( Ki Yoon Kim ),이배근 ( Bae Keun Lee ),송병철 ( Bung Cheol Song ),박종길 ( Jong Gi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 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60°,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a result of feces tracking and camera trap, its population size was estimated as 160 (camera trap)~251 (feces) individuals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he goral prefer 35°~60° (slope), 600~700m (elevation), NE (aspect), 0~50m (distance to stream), 300~600m (distance to road) and bread-leaved forest (forest type) according to field tracking of fecal. Based on field camera trap, we estimated the age classes of goral populations and activity of gorals during day-time (07-18 time, 56.5%) and night-time (18-07 time, 43.5%). Such analyse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of the goral could be applied as important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gorals and management of their habitats.

      • KCI등재

        Distribution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in the South Korea: A focus on protected areas

        Gil-Pyo Hong(홍길표),Jae-Hoon Kim(김재훈),Seul-Gi Seo(서슬기),So-Yeon Cho(조소연),Bo-Yeon Hwang(황보연),Jong-Hyun Park(박종현),Seung-Yeon Lee(이승연),Ga-Young Kim(김가영),Wan-Hee Nam(남완희),Ha-Cheol Sung(성하철)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국내 팔색조(Pitta nympha)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자 전국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중심으로 총 19개 지역을 조사하였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자료를 보강하였다. 전국 19개 지역을 조사한 결과 북한산, 지리산 등 내륙지역 7개 국립공원에서는 팔색조가 확인되지 않았고, 경남 거제, 남해, 해남, 장흥 고흥 등 남해안과 인접한 12개 지역에서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팔색조 출현 위치 정보 82건을 분석한 결과, 전국 8개 광역지자체 모두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고, 내륙지역(26.8%)보다 해안지역(73.2%)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의 팔색조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며, 그 보다 적은 개체수가 내륙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 South Korea. A total of 19 study areas, including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in South Korea were surveyed, and additional data obtained from an expert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Fairy Pitta was absent in seven inland national parks, including Mt. Bukhan and Chiri parks. Fairy Pitta inhabited 12 areas near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cluding Geoje, Namhae, Haenam, Jangheung, Goheung, and Gyeongnam Province. The analysis results of 82 datasets obtained from experts with regard to the locations where Fairy Pitta have been spotted showed that the bird inhabits all the eight metropolitan regions in South Korea, and is more frequently spotted in coastal areas (73.2%) than in inland areas (26.8%).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Fairy Pitta is mainly distributed in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and is distributed in inland areas at relatively lower numbers.

      • KCI등재

        Elevational Distribution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Hwang, Hyun-Su,Lee, Jae-Kang,Eom, Tae-Kyung,Bae, Ho-Kyoung,Lee, Dong-Ho,Lim, Jong-Hwan,Jung, Sung-Cheol,Park, Chan-Ryul,Rhim, Shin-Jae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1

        In this study, the elevational distribution of breeding bird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was investigated. Forty-six species of birds were documented from line transect surveys taken from Seorakdong at 230 m above sea level (a.s.l.) to the Daechungbong summit at 1708 m asl. Bird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highest in Seorakdong and lowest at the Daechungbong summit. As elevation increased, bird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decreased, with a humped-shape trend being observed between 700 m and 1200 m a.s.l. Stepwise analyses revealed that breeding bird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levation (r<sup>2</sup> = 0.327, P < 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vegetational coverage (r<sup>2</sup> = 0.324, P = 0.046). Higher elevations supported fewer birds than low and intermediate elevations. Projections at the local scale, including data on behavior and habitat use by birds, will be necessary for optim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bird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KCI등재

        Elevational Distribution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 Hyun-su Hwang ),( Jae-kang Lee ),( Tae-kyung Eom ),( Ho-kyoung Bae ),( Dong-ho Lee ),( Jong-hwan Lim ),( Sung-cheol Jung ),( Chan-ryul Park ),( Shin-jae Rh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1

        In this study, the elevational distribution of breeding birds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was investigated. Forty-six species of birds were documented from line transect surveys taken from Seorakdong at 230 m above sea level (a.s.l.) to the Daechungbong summit at 1708 m asl. Bird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highest in Seorakdong and lowest at the Daechungbong summit. As elevation increased, bird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decreased, with a humped-shape trend being observed between 700 m and 1200 m a.s.l. Stepwise analyses revealed that breeding bird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levation (r<sup>2</sup> = 0.327, P < 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vegetational coverage (r<sup>2</sup> = 0.324, P = 0.046). Higher elevations supported fewer birds than low and intermediate elevations. Projections at the local scale, including data on behavior and habitat use by birds, will be necessary for optim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bird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KCI등재

        흰쥐의 중추성 Serotonin 고갈이 강제수영 중 부동자세 시간, 불안 및 수동적 회피 학습에 미치는 효과

        박제민,김종백,강철중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3

        흰쥐에서 p-chlorphenylalanine(PCPA)로 인한 강제수영 중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이 불안이나 수동적 회피 학습 능력의 변화와 관련된 것인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흰쥐에게 PCPA 300mg/kg 혹은 생리식염수를 하루 한 번 연속 3회 복강내 주사하였다. 마지막 주사 24시간 후에 공간에서의 활동성(ACT0), 높은 십자 통로 실험에서 개방 통로에 머무는 시간(ANX0), 왕복 회피상자에서 통과 지연 시간(STL0) 등을 측정하고 0.5mA 전기자극을 3초간 주어 회피 반응을 학습시켰다. 그리고 15분간 강제수영시켰다. 다음 날 같은 방법으로 활동성(ACT1), 불안(ANX1), 수동적 회피 반응 학습 정도(STL1), 5분간의 강제수영 중 총 부동 자세 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 약물 혹은 대조액 투여 7일 후 수동적 회피 학습 유지 정도(STL7)를 다시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전체 대상군에서 ACT1은 ACT0보다 감소하였다. PCPA는 개방공간에서의 활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PCPA 군은 높은 십자 통로 실험에서 ANX0와 ANX1 둘 다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3) STL1은 PCPA군과 대조군 모두 STL0 보다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PCPA는 STL0 이나 STL1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군은 수동적 회피 학습 7일 후에도 통과 지연 시간이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는데 반하여 PCPA군은 STL7이 STL0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강제수영 중 부동자세 시간은 PCPA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짧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PCPA 투여로 인한 강제수영 중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PCPA가 비특이적 신체 활동을 증가시키거나 수동적 회피 반응 습득을 방해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며, 진정 작용없이 탐색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스트레스 하에서의 행동 억제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강제수영 중 부동자세 시간을 단축시킨다고 추론한다. 아울러 PCPA가 기억 고정 과정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Purpose : The test if p-chlorophenylalanine(PCPA) induced decrease of immobility time during forced swimming test in rats is an epiphenomenon related with PCPA-induced changes in anxiety level or learning ability. Methods : 22 male rats(Sprague Dawley, weighting 180-280gm) were randomly assigned to PCPA or control group and treated with 300mg/kg of PCPA or saline i.p. at -72, -48, and -24 hrs. Number of segment(ACT0) entered with 4 limbs on the open field(L100×W100×H40cm, 25 segments), time(ANX0, sec) spent on the open arm(L110×W10cm, 50cm from the ground) in the elevated plus maze, and step-through latency(STL0, cut-off time : 300sec) in the shuttle box(L76.2×W34.3×H50.8cm, 7.5w electric bulb in the light chamber, 0.5mA for 3 sec in the dark chamber) were measured consequently at 24hrs after the last injection of PCPA or saline. After 20min of rest, animals were forced to swim for 15 min(cylinder : φ18×H40cm ; water : H15cm, 25℃). On the next day, the second trial of open field test(ACT1), elevated plus maze test(ANX1), passive avoidance learning test(STL1), and measurement of total immobility time(IT, sec) during the 5min of forced swim were don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trial except that electrical shock was not given to the animals in the passive avoidance learning test and duration of forced swimming was shortened from 15min to 5min. To evaluate longterm effect of PCPA on maintenance of memory, measurement of step-through latency was repeated 7 days after the first trial(STL7). Result: 1) ACT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ooled sample, but the effect of PCPA on the general motor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2) PCPA significantly prolonged the time spent on the open arms in the elevated plus maze test. 3) Comparing to STL0, STL1 was significantly prolonged in both groups. PCPA did not affect STL0 or STL1. STL7 was significantly prolonged in the control group, but not in the PCPA group. 4) PCPA shortened IT significantly. Conclusion : PCPA-induced decrease of immobility time during the forced swimming test in rats seems to be related with disinhibition of stress-related behavioral suppression. PCPA does not affect acquisition and short-term maintenance of passive avoidance learning, but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about its effect on long-term maintenance on memory is raised.

      • 중등학생들의 기후 소양 함양을 위한 교수 자료 개발 및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박종근,정철,손미희,육혜경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0 學校敎育硏究 Vol.5 No.2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기후 변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중등학생의 기후 소양 함양을 위한 교수 자료의 개발과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기후 변화 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기후 변화 교육 연구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중등학생의 기후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체계를 수립한 후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 소양 교육 목표를 “기후 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탐구를 통하여 기후 변화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여 기후 변화 대응 및 적응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이 를 지속적으로 실천한다”로 설정하였다. 둘째, 기후 소양 교육 내용의 영역을 ‘기후 변화 과학의 원리’, ‘기후 변화와 인간 생활’, ‘기후 변화의 대응 및 적응’의 3가지 대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기후 소양 교육 목표와 내용 체계를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영역별로 내용 기준을 구체화하였다. Facing the issue of global climate change, it is important for educational community to help our students get the climate literacy with which to guide their own thoughts and decisions in a changing world. Therefore, climate change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of their influence on climate and climate's influence on them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for climate literacy cultivation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oal of climate literacy education is ‘to perceive the changing environment based on the phenomena of climate change, to the proposed plans for response and adapt to climate change through the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overall understanding about climate change through inquiry, and to keep practicing the proposed plans as a member of a community for global environment.' Secondly, contents of some programs and guideli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n fields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created and items by fields were drawn out. The content system of climate literacy is composed of ‘principle of climate change science’,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y, ‘response and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Thirdly, concrete content standards suitable fo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were suggested so that the goal and content system for climate literac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