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훼손지 조사 및 복원방안 체계 구축

        윤주웅(Ju-Ung Yun),정원옥(Won-Ok Jeong),최승운(Seung-Woon Choi)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국립공원 내 다양한 유형으로 증가하는 훼손지의 효율적인 복원계획 수립을 통한 사후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 하였다. 그 결과 국립공원 훼손지 유형은 국립공원 관리 영역, 피행 양상, 발생 위치 등을 고려하여 8개 유형으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토양침식 과정을 고려한 강, 중, 약 훼손등급 판정 기준과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원사업 우선순위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3순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21개 국립공원(한라산 제외)을 대상으로 훼손지 개황, 훼손 유형, 훼손 정도, 훼손 현황, 주변 식생, 특이사항 등 훼손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176개소(1,710,645㎡)로 육상생태계 훼손지 85개소(1,627,634㎡), 도서·연안생태계 훼손지 91개소(83,011㎡)로 분석되었다. 또한 국립공원내 훼손지의 효율적인 복원사업을 위해 훼손지에 대한 현황조사 및 평가를 통한 중장기 복원계획을 수립하였으며, 향후 복원 사업에 대한 이행실적 관리와 복원사업 대상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한 사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a follow-up management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restoration plan for damaged areas that are increasing in various types in Korea national parks. As a result, the types of damaged areas in Korea national parks were divided into 8 types in consideration of management area of national parks, damage pattern, and location of occurrence. In addition, based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damage grade of strong, medium, and weak considering the soil erosion process and the results of field survey, the criteria for prioritizing restoration projects were applied to be classified into 1st to 3r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condition of damage such as status of damaged areas, types of damage, degree of damage, surrounding vegetation, and other conditions in 21 national parks(excluding Hallasan), the total damaged areas were surveyed at 176 sites (1,710,645 m2), of which 85 sites (1,627,634 m2) were damaged in terrestrial ecosystems, and 91 sites (83,011 m2) in islands and coastal ecosystems. As above, a mid- to long-term restoration plan was established through a status survey and assessment of damaged areas for the efficient restoration project of the damaged area in Korea national parks. And it is decided that management of performance result for restoration project and follow-up management of restoration project target site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로 훼손실태 분석

        이상희(Sang Hee Lee),윤주웅(Ju-Ung Yun),최인영(In-Young Choi)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운문산군립공원 내 주요 탐방로 5개 구간 6.73km를 대상으로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훼손정도 및 훼손유형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구간을 일정 간격으로 조사하는 신속조사법을 이용하여 총 29개 측점을 선정하였으며, 훼손이 발생한 지점을 전체적으로 조사하는 전체조사법을 이용하여 훼손정도와 훼손유형 분석을 위한 284개 지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은 평균경사 7.2°, 평균노폭 2.0m, 평균나지폭 0m, 최대 침식깊이 0.2m로 조사되었고, 훼손정도는 ‘건전’ 4.70km(69.8%), ‘약’ 2.03km(30.2%) 순으로 나타나 ‘중’ 이상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탐방로 및 관련 시설에 대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탐방로의 훼손 유형은 근계노출 비율이 49.3%(140개소), 노면침식 비율이 46.8%(133개소), 노폭확대 비율이 2.1%(6개소), 비탈붕괴는 1.8%(5개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a total of 29 points were selected using rapid survey techniques that investigate the routes at regular intervals, and 284 points were selected using census techniques that investigate the whole point of damage for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damage and the deterioration types. As a result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rails were investigated as follow; 1) 7.2˚ average slope, 2) 2.0m average breadth width, 3) 0m average bared width, and 4) maximum erosion depth of 0.2m. And the degree of damage was found to be 4.70km (69.8%) for “healthy” and 2.03km (30.2%) for “weak”, showing that there was no damage more than “medium”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related facilities including trails were maintained systematically. Also, the deterioration types of trails were investigated that the ratio of root exposure is 49.3% (140 points), of trail surface erosion is 46.8% (133 points), of breadth width expansion is 2.1% (6 points), and the slope failure is 1.8(5 points)%.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및 훼손 영향

        김종엽(Jong-Yup Kim),윤주웅(Ju-Ung Yun),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삭도 정류장 시점과 종점 일대의 훼손 현황, 시각 경관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악산 삭도 이용객 95%가 권금성을 방문함에 따라 종점에서 주 탐방로까지의 집중적인 훼손의 요인이 되었다. 삭도 운영 구간은 정류장, 상업시설, 편의시설, 주차장 조성 등으로 1차적인 훼손이 발생하였다. 삭도 이용 탐방객의 일시적이고 집중적인 이용으로 정류장 주변, 탐방로, 우수 조망점에서 2차적인 훼손이 발생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삭도 시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3등급이 9,848㎡, 4등급이 8,407㎡이었다. 내장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3~6등급이 984.4㎡이었다.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5등급이 5,017㎡이었다. 삭도 시각 경관 영향 분석결과, 주요 동선에서 보이는 직접가시권, 삭도를 타면서 보이는 간접가시권 등 불량경관 면적은 설악산 3,022,752㎡, 내장산 1,747,424㎡, 덕유산 6,937,782㎡ 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 use of the ropeway operation section in National Park, the status of damage around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and the impact of the visual landscape. 95% of the ropeway users of Seoraksan National Park visited Gwongeumseong. Therefore, damage occurred from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to the main viewing point. When the ropeway was operated, primary damage to the ropeway stop, commercial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parking lot, etc. occurred. Secondary damage occurred around destination point, trails, and viewpoints because of the temporary and intensive use of the ropeway. As a result of the condition rating class analysi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3rd grade was 9,848㎡ and the 4th grade was 8,407㎡. The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was 984.4㎡ for grades from 3 to 6. The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was 5,017㎡.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landscape effect of the ropeway, the direct line of sight seen from the main movement trail and the indirect line of sight seen while riding the ropeway were analyzed. The area of these poor landscapes is as follows: Seoraksan National Park was 3,022,752㎡, Naejangsan National Park was 1,747,424㎡, and Deogyusan National Park was 6,937,782㎡.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아고산대 독립훼손지 복원식생 분포특성 및 관리방안

        김종엽(Jong-Yup Kim),윤주웅(Ju-Ung Yun),한봉호(Bong-Ho Han),곽정인(Jeong-In Kwak),박석철(Seok-Cheol Park),박수영(Su Young Park),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독립훼손지 중 아고산대에 위치한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과 노고단 복원식생지를 대상으로 현존식생 분석 및 식생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중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조사범위는 훼손지 일대 유역권분포 현황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세석평전 조사면적은 55,037㎡, 노고단 조사면적은 166,599㎡ 이었다. 세석평전은 초본층에 의한 식생피복도는 90% 이상 수준으로서 나지노출이 없었고, 관목층의 피복도가 60% 이상으로 안정화되어 있었다. 주요 출현수종은 구상나무, 사스래나무, 쇠물푸레나무, 철쭉, 털진달래, 붉은병꽃나무 등 식재수종과 자연적으로 이입한 자생수종이 생육하고 있었다. 노고단은 신갈나무, 호랑버들, 철쭉, 털진달래, 미역줄나무 등이 우점하는 관목식생지가 52%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고, 전반적으로 식생활착 상태가 양호하였다. 노고단의 원식생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추정되었고, 군부대철거지에는 귀화식물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장기적으로 주변 자연식생과 조화로운 식생경관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훼손지 복원모델은 인근 지역의 원식생을 고려하여 설정해야 할 것이지만, 복원 달성 목표는 실현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id-to long-term monitoring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s by analyzing the existing vegetation and identifying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ed vegetation in Nogodan and Seseokpyeongjeon in Jirisan National Park located in the subalpine zone among the independent damaged areas. Actual vegetation survey range wa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shed around the damaged area. The surveyed area of Seseokpyeongjeon was 55,037㎡, and the surveyed area of Nogodan was 166,599㎡. In Seseokpyeongjeon, the vegetation coverage by the herbaceous layer was almost 90% or more, there was no bare exposure, and the coverage of the shrub layer was stabilized at 60% or more. The main emerging tree species were planted species such as Abies koreana, Betula ermanii, Fraxinus sieboldi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Weigela florida as well as natively migrated native species. In Nogodan, the shrub vegetation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Salix capre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Tripterygium regelii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with 52% of the area, and the overall diet was good. The native vegetation of Nogodan was presumed to be a cypress colony. Naturalized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military base demolition site, so active management was required. The study site was predicted to develop into a vegetation landscap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vegetation in the long term. In the future, the restoration model for damaged areas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ative vegetation of the nearby area, but the goal to achieve restoration should be set at a feasible level.

      • KCI등재후보

        칠갑산도립공원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및 훼손유형 분석

        이상희(Sang Hee Lee),윤주웅(Ju-Ung Yun),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2

        칠갑산도립공원 내 주요 탐방로 8개 구간 27.28km를 대상으로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훼손 정도, 훼손유형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구간을 일정 간격으로 조사하는 신속조사법을 이용하여 총 138개 측점을 선정하였으며, 전체 구간에서 훼손이 발생한 지점을 조사하는 전체조사법을 이용하여 훼손 정도와 훼손유형 분석을 위한 67개 지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은 평균경사 11.0°, 평균노폭 1.6m, 평균나지폭 0.1m로 조사되었고, 훼손 정도는 ‘건전’ 24.51km(89.8%), ‘약’ 2.04km(7.5%), ‘중’ 0.73km(2.7%)의 순으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탐방로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탐방로의 훼손유형은 근계노출 59회(39.3%), 노폭확대 39회(26.0%), 노면침식 22회(14.7%), 암석노출 22회(14.7%), 비탈붕괴 5회(3.3%), 분기(샛길) 3회(2.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degree, and type of damage of the trail were investigated on 27.28km of 8 major trails in Chilgapsan provincial park. In order to analyz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a total of 138points were selected using rapid survey techniques that investigate the routes at regular intervals, and 67points were selected using census techniques that investigate the whole point of damage for the analysis of the degree and type of damage. As a resul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rail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1) 11.0° average slope, 2) 1.6m average trail width, and 3) average bared width of 0.1m. And the degree of damage was found to be 24.51km (89.8%) for “healthy”, 2.04km (7.5%) for “weak”, and 0.73km (2.7%) for “medium”,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related facilities including trails were relatively stable. Also, the types of damage to trails were investigated the point of root exposure is 59 (39.3%), the trail widens is 39 (26.0%), trail surface erosion is 22 (14.7%), rock exposure is 22 (14.7%), of slope failure is 5 (3.3%), and trail diverged is 3 (2.0%).

      • 모형실험을 이용한 토석류 발생 및 유하구간의 경사별 철강재 바닥스크린의 포착효과 규명

        김진학 ( Jin Hak Kim ),전근우 ( Kun Woo Chun ),김석우 ( Suk Woo Kim ),윤주웅 ( Ju Ung Yun ),김용래 ( Yong Rae Kim ),이윤태 ( Yon Tae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토사처리 공간이 제한적인 도시생활권의 산지계류에서 토석류를 효과적으로 포착·차단할 수 있는 신공법인 바닥스크린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있다. 모형실험은 수로구간과 퇴적구간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고, 바닥스크린 부재의 직경은 6mm로 하였다. 실험은 모형수로의 발생·유하·퇴적구간의 경사를 각각 [40˚, 20˚, 2˚]·[30˚, 15˚, 2˚]·[20˚, 10˚, 2˚]의 세 가지 경우로, 각각의 바닥스크린 순간격은 3mm·9mm·15mm로 하였다. 토석류를 가정한 공급재료는 유목, 토석 및 유목+토석의 세 가지로 하여진행하였고, 총 36개의 경우를 대상으로 5회씩 총 18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발생·유하구간의 경사가 증가할수록 스크린 상의 상부에서 중점적으로 포착되던 공급재료의 포착범위가 점차 하부로 확대(0cm~40cm→0cm~50cm)되었고, 동시에 측면으로 유출되는 양이 증가함에 따라 포착율은 점차 감소(44.7%→31.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닥스크린의 순간격이 너무 작거나(3mm) 큰 경우 (15mm)는 토석과 유수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닥스크린의 현장적용 시에는 계상재료의 크기와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규모와 순간격을 결정해야 하며, 향후 측면으 로 유출되는 토석류를 방지하기 위한 측면스크린의 적용 및 퇴적토사의 처리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S111213L050110)」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This study was made in order to find out the adaptability of float-board screen as a new technology to effectively capture and block debris flow from mountain streams of urban living zone where there would be limited space for soil treatment. For the model experiment, a model waterway produced separately for waterway span and sediment span was used and the diameter of the float-board material was 6m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3 cases of slops for waterway``s creating, flowing and discharging span; [40˚, 20˚, 2˚]·[30˚, 15˚, 2˚]·[20˚, 10˚, 2˚] respectively, and the net spacing of the float-board screen was set to 3mm·9mm·15mm respectively for each case. The supply materials assumed as debris flow were 3 kinds; wood, sand & stone, wood + sand & ston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tal 180 times repeating 5 times for 36 cases.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slope of waterway``s creating and flowing span increased(0cm~40cm→0cm~50cm), the capturing area of the supply materials that had been captured mainly at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were expand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gradually(44.7%→31.3%), and as the amount of flow leaking aside increased, the capture rate decreased. It also showed that the separation of sand & stone from flow was not effectively made in case the net spacing of the float-board screen was too small(3mm) or too large(15mm).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scale and the net spacing of float-board screen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flow characteristic of stream-bed material when applying it on actual sites. Further studies shall be made on the application of side screens to protect debris flowleaking aside and the solutions to treat sedi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Forest Science & Technology Projects(Project No. S111213L050110)`` provided by Korea Forest Service.

      • KCI등재

        Ⅰ분과 : 청옥산(경북 봉화) 산림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

        손호준 ( Ho Jun Son ),김영설 ( Young Sol Kim ),윤주웅 ( Ju Ung Yun ),전근우 ( Kun Woo Chun ),박완근 ( Wan Geun Park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와 소천면의 경계에 있는 청옥산 산림습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조사를 통해 생물종다양성을 확보하여 산림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지에 분포하는 자원식물의 종류조성은 72과 167속 209종 2아종 27변종 5품종 총 243종류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은 7과 9속 9종 총 9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희귀식물은 11과 13속 12종 3변종 총 15종류가 출현하였고, 귀화식물은 5과 8속 8종 총 8종류가 분포하였다. 습지출현빈도에 따른 구분은 절대육상식물이184종(75.7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절대습지식물은 4종(4.65%)이 확인되었다. 습한 정도에 따른 구분은 습생식물이 26종류, 정수식물이 2종류 확인되었다. 생육지에 따른 구분은 숲이 136종류(55.9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개방지가 70종류(28.81%), 습한 개방지가 35종류(14.40%), 수중이 2종류(0.82%)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구조를 중요치와 종다양성지수로 분석한 결과 목본식물 중에서는 물푸레나무의 중요치가 2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본식물 중에서는 햇사초가 10.4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 지역의 평균 종다양성지수는 2.507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생태적인 복원 및 복구을 위해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serving forest ecosystem with understandingforest wetland condition of Mt. Cheongok. It was found from this research that vascular plants of surveyed areawere composed of 72 families, 167 genera, 209 species, and 2 subspecies, 27 varieties, 5 formae. totaling 243 taxa.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Korea endemic plants were 9 species, rare plants 15 species, and naturalizedplants 8 speci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within the wetland investigated, obligate uplandplants (OBU) accounted for 75.72% (184) among the total species investigated, wherea obligate wetland plant(OBW) were four species (4.65%). There were 26 of hygrophyte plants and 2 of emergent plants in the research areaaccording to wet degree. According to habitat category,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habitat was forest (136 species,55.97%), and the others were in the order of meadow and shrubland (70 species, 28.81%), wet meadow (35 species,14.40%), and aquatic environment (2 species, 0.82%), respectively.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important value,Fraxinus rhynchophylla and Carex pseudosinensis was the highest as 22.17% and 10.40%. It was confirmed that thespecies diversity was relatively high. Shannon-Wiener``s species diversity index was calculated as 2.507. Based on theseresults, long-term monitoring survey should be urgently need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covery.

      •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 고사와 산사태의 선-후관계 조사

        박준희 ( Jun-hui Park ),최은비 ( En-bi Choi ),윤주웅 ( Ju-ung Yun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지리산국립공원 치밭목 일대 산사태 발생지에서 고사목의 고사연도와 생육쇠퇴를 조사하여 산사태 발생과 구상나무 고사의 선-후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상지에서 생육목 14본과 고사목 7본을 채취하였으며, 고사목 7본 가운데 5본이 구상나무였다. 고사목들의 고사연도를 분석한 결과 4본은 산사태 발생(2011년) 이후에 고사하였으며, 나머지 1본은 산사태 발생 이전에 고사하였다. 생육쇠퇴의 경우, 생육목에서는 2011년 이후 뚜렷한 쇠퇴강도를 보였으나, 고사목에서는 뚜렷한 쇠퇴강도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