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 분석(1962~2016)

        임중빈 ( Joongbin Lim ),김경민 ( Kyoung-min Kim ),김명길 ( Myung-kil Kim ),이종민 ( Jong Min Yi ),박진우 ( Jin Woo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1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산림과학기술협력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과학 관련 학술지 분석을 통해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NKtech)의 소장 논문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토대로 임학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분석 대상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1,38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북한 산림업 계획 지표를 토대로 산림조성, 보호 및 이용 분야로 분류하여 각 분야별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산림조성 분야에서는 나무모 기르기(양묘)와 임농복합경영 분야의 연구 활동이 활발하였으며 사름률(활착률)을 강조하고 있었다. 산림보호 분야에서는 산림병해충에 대한 노력이 크며 임농복합경영과 풀뚝다락밭을 통해 토양침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이용 분야에서는 주로 펄프/종이와 버섯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산림경영 분야에서는 ‘생태정보’ 분야의 활동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탄소감축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산림과학 동향을 살펴본 결과 북한의 산림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자연 개조’ 대상에서 ‘자연 보호’를 함께 수반하는 관리의 대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여 진다. 향후 세부 분야별 남북 산림과학 기술 비교 연구와 시기별 북한의 정책방향이 연구 방향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남북산림협력사업을 원할히 하기 위해서 남북산림용어사전 편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forest-rela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North Korean journal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n forest science.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 (KISTI) North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Network (NKtech) is constructing a database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in North Korea. From this, a total of 1,389 articlespublished from 1962 to 2016 were collected with forest science key words based on the South Korean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e topic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fforestation, forest protection, forest use, and forest management. In the field of afforestation, research activities on nursery and agroforestry were active, and the survival rate was emphasized. In the forest protection field, there was a significant research effort into forest pests, and efforts were being made to reduce soil erosion through agroforestry. In the field of forest use, research activities on pulp/paper and mushrooms were active. In the forest management field, activities related to "ecological information" were conspicuous, and efforts were being made to reduce carb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forest research has changed from nature reorganization to nature protection. Thus, a comparative study on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in each sub-sector of the forest research field, along wi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direction and research direction of North Korea over time, would be worthwhile future investigation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echnical terminology, a compilation/dictionary of inter-Korean forestry terminology would be usefu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

        산림치유 효과 검증 연구의 주요어 분석을 통한 치유 발현과정 해석

        박경자 ( Kyeong-ja Park ),신창섭 ( Chang-seob Shin ),김동수 ( Dongsoo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1

        본 연구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한 숲 활동이 면역력증진과 건강증진으로 이어지는 산림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이론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산림치유 개념을 정밀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분석자료는 산림치유관련 기관 웹사이트와 2000년에서 2020년 3월까지 산림치유로 검색되는 3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33편의 전문학술지논문의 주요어, 2016년 산림치유 체험수기 공모전 입상작에 나타난 명사와 형용사 빈도수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단어 빈도수를 근거로 한 해석으로 산림치유 요인을 도출하고 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추론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림 치유력의 원천은 산림치유인자와 함께 숲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효과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극대화되고, 신체적 정신적 회복력과 저항력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건강증진, 면역력 증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란 “대상자들의 숲에 대한 긍정경험 및 태도와 산림의 환경요소를 매개로 대상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영적 회복력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이라 제안한다.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forest therapy process, in which forest activities using forest therapy factors lead to immunity promotion and health promotion, was analyzed theoretically and qualitatively to refine and systemize the forest therapy concept. Research and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institutions related to forest therapy; 33 theses and 33 original research articles from 2000 to March 2020 were searched for forest therapy key words, as well as the prize winning work of the 2016 forest therapy experience essay. A word cloud was generated by frequency of nouns and adjectives and from the key words in the web pages, theses, articles, and the forest therapy experience essay. Through interpretation of word frequency, the systemic flow of forest therapy was defin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ource of forest therapy's power was a positive experience of the forest and an improved attitude toward nature as well as forest therapeutic factors. The therapeutic effect is maximized through the forest healing program, leading to physical and mental resilience and resistance; consequently, health and immunity are promoted. From this study, forest therapy is proposed as “a health promotion activity for the psychological, physical, and spiritual resilience of the subjects throug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forest, positive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the forest.”

      • KCI등재

        데이터 수집방법에 따른 딥러닝 기반 산림수종 자동분류 정확도 변화에 관한 연구

        김보미 ( Bomi Kim ),우희성 ( Heesung Woo ),박주원 ( Joowon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1

        최근 급변하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을 통해 컴퓨터 비전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물인식 기법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연구 사례를 보면 주로 대면적 산림을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학습 및 객체인식 기법이 사용되는 반면 개체목 단위의 수종 분류 및 특징을 학습하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침엽수 5종을 대상으로 이미지 학습을 통한 자동분류 연구의 가능성을 분석해 보았다. 데이터 형태에 따른 분류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림전문가가 직접 촬영한 영상(D1)과 웹크롤링을 이용한 영상(D2)을 사용하여 수종 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D1과 D2의 분류정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1은 D2보다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한, D2의 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열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추가 데이터 필터링 기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use of increased computing power,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various sectors. In particular, image detection algorithms are broadly used in forestry and remote sensing areas to identify forest types and tree species. However, in South Korea, machine learning has rarely, if ever, been applied in forestry image detection, especially to classify tree species. This study integrates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and forest image detection; specifically, we compared the ability of two machine learning data collection methods, namely image data captured by forest experts (D1) and web-crawling (D2), to automate the classification of five trees species. In addition, two methods of characterization to train/test the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ification accuracy between D1 and D2: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D1 was higher than that of D2. In order to increas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D2, additional data filtering techniques were required to reduce the noise of uncensored image data.

      • KCI등재

        단기소득 임산물의 주산지 집적도에 관한 연구

        변승연 ( Seung Yeon Byun ),구자춘 ( Ja-choon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1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ing area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 analyzed the spatial aggregations of the main producing area and their changes using the Moran's I index. We found that 45%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re significanty spatially clustered. Additionally, in five major products, we observed that the main producing area has expanded and the degree of aggregation has also strengthened over the last ten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orest policies, such as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istribution centers of specific forest products.

      • KCI등재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방문객의 인식과 요구 조사

        김예지 ( Kim Ye-ji ),김종호 ( Kim Jong-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2

        본 논문은 산촌지역 방문객을 대상으로 산촌생태관광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산촌 정책으로 산촌생태관광을 도입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로 산림청의 산촌지역 내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 식품부의 농촌체험휴양마을을 포함한 57개 산촌 마을의 방문객 439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산촌생태관광 참여의향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살펴본 결과, 평균 3.65점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방문횟수는 1년에 1회(44.6%), 1년에 2회(30.1%) 순으로 선호하였다. 또한 희망 방문지역으로 강원도(44.8%)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지불의향은 평균153,320원으로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요구사항으로 지역관광 연계 상품 개발(평균 3.99점),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평균 3.96점) 순으로 응답하였다. 위의 결과들은 산촌생태관광의 가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강화와 산촌생태관광의 매력성 증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발굴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산촌생태관광은 지속가능한 산촌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s of mountain eco-tourism by surveying mountain villages’visitors. As a feasibility study to introduce new eco-tourism policies, the individual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7, 2015 to September 17, 2015 targeting 439 visitors in 57 mountain villages, where the Korea Forest Service designated them as mountain eco-villages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been operating the rural experience and recreation village business. As a result of the major analysis, the respondents’intention to participate in mountain eco-tourism was 3.65 by Likert 5-point-scale and the respondent’s most preferred the number of visits was once a year(44.6%) or twice a year(30.1%). Also, the most preferred region was Gangwon-do(44.8%) and the average amount of expense willing to pay was 153,320 won. Lastly, the respondents said they expect development of regional tourism product(M=3.99) and mountain eco-tourism program(M=3.96) by requirements for mountain eco-tourism.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inspire public awareness regarding the value of mountain eco-tourism and to develop new policies or programs making people more attracted to mountain villages. Thus, it means that mountain eco-tourism can be utilized as a way to steer sustainable mountain village.

      • KCI등재

        용기의 생육밀도와 용적이 활엽수 3수종의 질소 양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민석 ( Min Seok Cho ),양아람 ( A-ram Yang ),황재홍 ( Jaehong Hwang ),박병배 ( Byung Bae Park ),박관수 ( Gwan Soo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용기 규격이 시설양묘 과정에 질소 양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6 종류의 용기[4 생육밀도(100, 144, 196, 256본/m<sup>2</sup>) × 4 용적(220, 300, 380, 460 cm<sup>3</sup>/구)]에서 생산된 묘목의 질소 양분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생육밀도와 용적에 따른 용기묘의 질소 양분 농도 및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세 수종 모두 용기 규격에 따라 묘목의 질소 양분 특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생육밀도와 용적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질소 농도 및 함량에서 확인되었다. 세 수종 모두 질소 함량과 용적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물푸레나무의 질소 함량은 생육밀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양분벡터분석을 실시하여, 용기 규격에 따른 시비 효과 차이로 양분결핍, 과량집적 등의 양분저장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묘목 질소 함량을 기준으로 다중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한 결과, 졸참나무는 180~210본/m<sup>2</sup>과 410~460 cm<sup>3</sup>/ 구, 물푸레나무는 100~120본/m<sup>2</sup>과 350~420 cm<sup>3</sup>/구, 느티나무는 190~220본/m<sup>2</sup>과 380~430 cm<sup>3</sup>/구가 최적 용기 규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수종별 적정 용기 적용으로 시설양묘 과정에서 양분저장능력이 높은 묘목 생산과 함께 조림 후에도 우수한 생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containers on the nitrogen status of Quercus serrata, Fraxinus rhynchophylla, and Zelkova serrata in the container nursery stage. Seedlings were grown using 16 container types [four growing densities (100, 144, 196, and 256 seedlings/m<sup>2</sup>) × four cavity volumes (220, 300, 380, and 460 cm<sup>3</sup>/cavity)].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nitrogen concentration and seedling content among container types. Additionally,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correlate container dimensions and nitrogen content. Container types had a strong influence on nitrogen concentration and the content of the seedling species, with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wing density and cavity volume. Cavity volum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itrogen content of the three seedling species, whereas growing density negatively affected those of F. rhynchophylla. Further, nutrient ve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edling nutrient loading capacities of the three species, such as efficiency and accumulation, were altered because of the different fertilization effects by container types. The optimal ranges of container dimension by each tree species, obtain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nitrogen content, were found to be approximately 180-210 seedlings/m<sup>2</sup> and 410-460 cm<sup>3</sup>/cavity for Q. serrata, 100-120 seedlings/m<sup>2</sup> and 350-420 cm<sup>3</sup>/cavity for F. rhynchophylla, and 190-220 seedlings/m<sup>2</sup> and 380-430 cm<sup>3</sup>/cavity for Z. serrata.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dequate type of container will improve seedling quality with higher nutrient loading capacity production in nursery stages and increase seedling growth in plantation stages.

      • KCI등재

        솜대 조림지와 확산지의 바이오매스, 임상, 토양의 양분 특성

        곽유식 ( You Sig Kwak ),백경원 ( Gyeongwon Baek ),최병길 ( Byeonggil Choi ),하지석 ( Jiseok Ha ),배은지 ( Eun Ji Bae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1

        본 연구는 대나무 확산에 있어서 토양 성질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매년 시비가 실시된 솜대 조림지와 미시비 확산지를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부위별 양분 농도와 임상 및 토양 30 cm 깊이의 양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솜대 조림지의 잎, 가지, 줄기 내 질소와 인 농도는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높았으나, 임상의 양분 농도는 조림지와 확산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0∼30 cm 깊이의 평균 유기탄소는 조림지가 30.80 mg g<sup>-1</sup>으로 확산지 15.64 mg g<sup>-1</s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전질소 농도의 경우 조림지 2.47 mg g<sup>-1</sup>, 확산지 1.24 mg g<sup>-1</sup>, 인은 조림지 10.27mg kg<sup>-1</sup>, 확산지 5.61 mg kg<sup>-1</sup>, 포타슘은 조림지 0.27 cmolc kg<sup>-1</sup>, 확산지 0.16 cmolc kg<sup>-1</sup>로 조림지가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토양 양분 상태는 솜대의 인접 산림지역으로 확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bamboo expansion and the nutrient characteristics of bamboo biomass, the forest floor, and mineral soil (at 30-cm depth) were determined in unfertilized expansion sites and fertilized plantations of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in Jinju, Gyeongsangnam-do.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bamboo components (culm, branches, and foli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lantation site than those in the expansion site (P < 0.05). However, the nutrient concentration of the forest flo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plantation and expansion sites. Mean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at 0-30-cm soil dep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lantation site (30.80 g kg<sup>-1</sup>) than that in the expansion site (15.64 g kg<sup>-1</sup>). In addition, total nitrogen, phosphorus, and exchangeable K<sup>+</sup> at 0-30-cm soil dep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lantation site than those in the expansion si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mboo can spread to areas with low-nutrient concentrations in adjacent forests.

      • KCI등재

        한국 남부지역 가로수종 잎 미세구조와 미세먼지 흡착량의 계절 변화: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동백나무, 왕벚나무 중심으로

        진언주 ( Eon-ju Jin ),윤준혁 ( Jun-hyuck Yoon ),최명석 ( Myung Suk Choi ),성창현 ( Chang-hyun Su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한국 남부지역의 주요 조경수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왕벚나무(Prunus x yedoensis) 등 5수종을 대상으로 계절별 미세먼지 흡착량 및 수종별 잎 표면 미세구조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계절별 미세먼지 흡착량 범위는 1월(31.51~110.44 ㎍/㎠), 11월(23.20~79.30 ㎍/㎠), 5월(22.68~76.90 ㎍/㎠), 8월(9.88~49.91 ㎍/㎠) 순으로, 8월보다 1월에 54.4% 더 높은 미세먼지 흡착량을 보였다. 잎 표면에 홈이 있고 털을 갖고 있으며, 왁스층 함량이 높은 Q. salicina는 미세먼지 입자 크기별 흡착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광택이 있고 잎 표면이 매끄러우며, 왁스층 함량이 낮은 C. japonica와 Prunus x yedoensis는 계절별 미세먼지 흡착량이 낮았다. 엽면적 크기, 기공밀도 및 기공 길이의 증가는 PM 흡착량의 감소와 관련이 있고 반면, 잎 표피 거칠기, 왁스층 함량, 기공 폭의 증가는 PM 흡착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잎 표면 왁스층 함량이 증가할수록 잎 표면 PM 흡착량도 증가하였으며, PM<sub>10</sub>, PM<sub>2.5</sub> 보다는 PM<sub>0.2</sub>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앞으로 개별 수종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 효율을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통한 저감 수종 선발과 더불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숲조성 가이드라인 또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asonal changes in the absorption of fine dusts and the fine structure of surface on each type of street tree, such as Quercus myrsinifolia, Quercus glauca, Quercus salicina, Camellia japonica, and Prunus x yedoensis in the southernareas of Korea. The absorption ranges of fine dust were 31.51~110.44 ㎍/㎠ in January, 23.20~79.30 ㎍/㎠ in November, 22.68~76.90 ㎍/㎠ in May, and 9.88~49.91 ㎍/㎠ in August. The absorption value was about 54.4% higher in January than in May. With the grooves and hairs on the leaf surface and lots of wax, Q. salicina seems related to the high absorption rate of fine dust for each fine dust particle size. The one with gloss and smooth leaf surface has a low amount of wax. C. japonica Prunus x yedoensisshowed a low absorption rate of fine dust in each season. Whereas the increase in porosity density, length, and leaf area size can be related to the reduced PM and increasedabsorption rate, the leaf surface roughness, total wax amount, and porosity width can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PM absorption rate. There was also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wax amount and absorption rate of the leaf surface at the size of PM<sub>0.2</sub> than PM<sub>10</sub> and PM<sub>2.5</sub>.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rais of leaf, such as wax amounts and leaf surface,can increase the absorption of fine dusts, and the small-sized particles seem to be highly adsorbed with the high wax amounts.

      • KCI등재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조민재 ( Min-jae Cho ),정응진 ( Eung-jin Jeong ),오재헌 ( Jae-heun Oh ),한상균 ( Sang-kyun Ha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우리나라 모든 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자들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산림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은 주로 인력작업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작업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작업자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인간공학적 분석 도구(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기법별 작업자세에 대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벌도와 가지제거작업자세의 위험도는 RULA, OWAS, REBA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2∼3단계로 작업자세의 즉각 변경조치는 요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벌도작업에서 허리와 다리를 굽힌자세와 가지제거작업에서 벌도목 위에서 작업하는 자세는 위험도가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벌도작업의 경우 산지경사, 가지제거작업의 경우는 지상에서부터 벌도목 높이가 작업위험도 평가에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부하가 낮은 자세(벌도작업: 쪼그리는 자세, 가지제거작업: 허리와 다리가 곧은 자세)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Musculoskeletal disorders affect workers' safety in most industries, and forest operations are classified as a musculoskeletal burden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are mainly conducted by manpower, and the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ergonomic risk assessment for safety of felling and delimbing workers.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such 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and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are available for assessing exposure to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imber harvesting operations. Here,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were applied to examine ergonomic risk assessments in chainsaw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Additionally, exposure to risk factors in each method was analyzed to propose an optimal working posture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The risk levels of these operations were evaluated to be highest in the RULA method, followed by the OWAS and REBA methods, and most of the exposed working postures were examined with a low-risk level of two and three without requiring any immediate working posture changes. However, two significant working postures, including the bending posture of the waist and leg in felling operation and standing posture on the fallen trees in delimbing operation, were assessed as the high-risk level and needed immediate working posture changes. Low-risk work levels were examined in the squatting posture for felling operation and the straightened posture of the waist and leg for delimbing operation. Moreover, the slope in felling operation and the tree height in delimbing ope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risk level assessment of working posture. Therefore, our study supports that felling and delimbing workers must operate with low-risk working postures for safety.

      • KCI등재

        대형 목재운송차량 통행에 적합한 토목섬유 활용 임도 노반조성 효과분석

        황진성 ( Jin-seong Hwang ),지병윤 ( Byoung-yun Ji ),권형근 ( Hyeong-keun Kweon ),이관희 ( Kwan-hee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3

        본 연구는 본격적인 목재수확시기에 대응하여 대형화되어 가는 목재운송차량의 원활한 통행과 노체 피해 방지를 위해 산림기술경영연구소 관내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토목섬유를 활용한 노반 조성 후 시간경과에 따른 노면지지력 변화와 대형 목재운송차량의 통행 횟수 증가에 따른 노면지지력 및 침하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반 조성구간의 경우 약 1년의 시간경과 후 노면지지력이 양호판정기준인 CBR 15% 이상으로 안정화 되어 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목섬유별 처리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반 조성구간에서 대형 목재운송차량의 통행이 최대 300회 이루어진 이후에는 침하량이 허용기준 50 mm 이하로 안정되고, 노면지지력 또한 CBR 20% 이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반의 두께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토목섬유를 활용한 노반을 조성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허용기준 이상의 침하와 함께 노면의 지지력은 대형 목재운송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형목재운송차량의 통행을 위한 연약지반의 노면지지력 보강을 위해서는 토목섬유를 부설하고 노반을 최소 0.2 m 이상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surface bearing capacity reinforcement of forest road by sub-base facilities based on a soft ground use of geosynthetics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road surface passing heavy logging trucks and to pass smoothly heavy truck against growing timber harvesting. The analysis of the road surface bearing capacity as progressing time an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assage of heavy logging trucks were conducted experimental section of forest road on the soft ground in the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oad surface bearing capacity were stabilized at CBR of 15% or more, the effect of reinforcement by type of geosynthetic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lapse of about 1 year. After reaching the passage of 300 times for the heavy logging trucks on the sub-base construction section, the settlements was stabilized below the allowable standard of 50 mm, road surface bearing capacity also improved to more than CBR 2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sub-base. However, in the section where the sub-base is not constructed, it is found that the lack of surface bearing capacity with the settlements more than the allowable standard is not possible to pass the heavy logging trucks.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the road surface bearing capacity of the soft ground for the passage of the heavy logging truck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ub-base of at least 0.2 m when using geosyn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