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PNG 발생 빈도(1991-1992)

        김재홍,윤기범,박평원,김영진,전경민,김영태,김중환,곽호,구상완,송민석,유옥,지혜구,김동원,문상은,박영립,정승호,성범진,성순제,엄주용,황정열,이기홍,이주협,전태진 대한화학요법학회 1994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2 No.1

        The prevalence of PPNG among pretreated gonorrhea cases isolated at the ST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has been studied and reported annually since 1981. In 1991, 123 strains of N.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8(47.1%) were PPNG. In 1992, 98 starains of N.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1(52.0%) were PPNG. In all, 109(49.3%) strains were found to be PPNG among 221 strains isolated between 1991-1992.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showed increased tendency till 1989, thereafter, it has been stationary or slightly decreasing.

      • 각종 난치성 혈액 질환에서의 비혈연간 골수이식

        김동욱,한훈,김정아,김희제,민창기,엄현석,최정현,이종욱,한치화,홍영선,최일봉,신완식,민우성,김학기,김춘추,김원일,김동집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목적: 비혈연간 골수이식은 혈연내에 적절한 골수공여자가 없는 만성골수성백혈병, 고위험군의 급성별혁병, 면역억제치료에 실패한 재생불량성빈혈 및 각종 난치성 조혈모세포질환의 완치를 위한 표준적인 치료방법으로 정착되고 있다. 혈연간 표준적인 동종 이식에 비하여 비혈연간 이식시에는 생착부전, 이식편대숙주반응과 감염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임상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없었다. 이에 본 센터에서는 1995년 10월 이후로 약 20개월간 26예의 비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으며 3개월 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여 이식초기 합병증의 관찰 및 분석이 가능하였던 2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성적 및 문제점을 보고함으로써 새롭게 확대되고 있는 이 분야의 임상연구 및 진료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방법: 각종 혈액 종양질환으로 비혈연간 이식을 시행한 총 26예의 환자중 3개월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경과를 분석한 후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연령, 성별, 질병의 상태, 조식 적합 항원의 일치정도, 이식편대 숙주 반응의 유무와 생존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이식과 관계된 생착 부전, 이식편대숙주반응, 감염의 발생과 양상 그리고 그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과: 1. 환자와 공여자간에 HLA 불일치가 20예 중 4예에서 있었으며, 생착여부의 확인이 가능했던 17예 중 16예에서 생착이 확인되어 94.1%의 생착율을 보였다. 2. 급성이식편대숙주반응은 62.5%(10/16예)에서 발생하였으며 111도 이상의 급성의 이식편대숙주 반응은 25%(4/16예)에서 발생하였다. 만성이식편대숙주반응은 40%(2/5예)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들 모두 국소형으로 중증의 진행형 만성이식편대숙주반응이 관찰된 환자는 없었다. 3. 호흡기 합병증은 10예(50%)에서 발생하였으며 감염성 폐렴을 포함한 호흡기 합병증이 가장 흔한 일차적인 사망 원인이었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했던 10예중 6예가 감염에 의한 폐렴이 의심되었고 나머지 4예는 특발성 간질성 폐렴이었다. 4. 8.5개월의 중앙추적기간 중 35%의 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생존기간은0.5개월에서 15개월 (중앙치:4개월)이었다. 한편 고위험군은 25%(3/12예), 표준위험군은 50%(4/8)의 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감염성 폐렴을 포함한 호흡기 합병증(6예)이었고, 이외의 사망 원인으로는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과 다장기부전이 각각 2예, 생착 부전, 간정맥 폐쇄, 그리고 재발이 각각 1예였다. Unrelat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UBMT)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standard treatment for cure of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high risk acute leukemia, aplastic failed on immunotherapy, and the variety of refractory hematologic diseases in patients lacking a related donor. However, as compared to HLA identical sibing transplantation, UBMT carries higher incidence of graft failure, graft versus host disease(GVHD), and infection. In our center, 26 patients underwent UMBT between October 1995 and June 1997. The minimum follow-up of 3 months was possible in 20 patients, for whom early complications and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The median age of the 20 patients was 24 years. 8 patients had standard risk disease and 12 patients had high risk disease. All patients received various preparative regimens including total body irradiation according to disease and disease status. 19 patients received CsA + short course MTX for GVHD prophylaxis. One patient received marrow that was depleted of T cells ex vivo using avidinbiotin column. The class I loci were typed by serological methods and HLA-A, HLA-B and HLA-DRB1. 3 additional pairs were one minor mismatched at the HLA-B locus. Another one patients was one major mismatched at the DRBI alleles. 17 patients were evaluable for engraftment. Successful enfraftment was confirmed in 16 patients(94.1%). Only one patient who was performed one major DRBI mismatched transplants experienced graft rejection. 16 patients were evaluable for acute GVHD. The overall incidence of acute GVHD developed in 4 patients(25%). Five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Ⅳ acute GVHD developed in 4 patients (25%). Five patients were evaluanle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GVHD. 2 patients(40%) developed limited chronic GVHD. Respiratory complications including pulmonary infection developed in 10 patients(50%) and these complications were the most common primary cause of death. Of these 10patients, 6 had pneumonia due to fungus(4 patients), pacterial (1 patient), and CMV infection (1 patient) and 4(20%) had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tis and/or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duration of median follow- up was 8.5 months and 7 of 20 patients(35%) are alive at the time of this analysis with survival duration of 0.5 to 15 months(median survival duration: 4 months). The overall survival was 25% (3/12 patients) in high risk group and 50%(4/8 patients) in standard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an predict that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GVHD in Korea are lesser than multiracial countries and the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standard risk disease can approach that of HLA matched sibling transplants. For the past two years, the performance of UBM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much larger number of patients soon in Korea. In the future the problems of graft failure, GVHD, and infection due to long lasting immunocompromised status will need to be overcome by continued medical research. In addition, the volunteer donor pool will have to be expanded by the promotion of the national awareness of its need.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KCI등재후보

        전경대원에서 발생한 결핵의 임상 양상

        문창기,박상준,조민구,김영중,김소연,김윤권,정준오,안석진,김은실,서승오,김지훈,최원제,이윤영,박형기,최규영,김현근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TB) in combat and auxiliary police, living in a group, in Korea where the incidence rate of active TB in a general population is higher than in Western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tuberculosis patients diagnosed at National Police Hospital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In 2002-2004, a total of 156 cases of tuberculosis were identifi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ge of 20.6 (±1.0) years. Of these, 134 (85.9%) patients were registered as new cases, 11 (7.1%) as relapse, 2 (1.3%) as failure, 5 (3.1%) as treatment-after-default cases whereas 4 (2.6 %) patients were not included in any categories. Average annual new TB rate and smear-positive TB rate were 86.5/10^(5) and 17.4/10^(5) person-years, respectively. In 12 of 31 smear-positive cases, time from onset of symptoms to diagnosis was more than 30 days. Two multidrug-resistance TB cases were identified and two suspected outbreak episodes of TB had occurred during 3 years. Conclusion: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new cases of TB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 to 29 years and combat and auxiliary police in Korea. 배경 : 국내 결핵의 발생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후진국형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젊은이들에서 발생하는 결핵의 유행이 간헐적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전경대원의 결핵 발병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년간 경찰병원에서 결핵 진료를 받은 전경대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도별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결핵 신환율, 진단 지연, 집단발병, 다제내성결핵을 조사하였다. 결과 : 연도별 결핵 신환자 수(10만명당 발생추정치)는 2002년 50명(83.6명), 2003년 42명(83.7명), 2004년 42명(93.5명)이었고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02년 10명(16.7명), 2003년 11명(21.9명), 2004년 6명(13.4명)이었다. 3년간 도말양성 폐결핵 환자는 31명이 있었고 그 중 12명은 호흡기 증상 발생 30일이 지나서 진단을 받았다. 다제내성 결핵은 2명이 있었으며 결핵의 집단발병이 의심되는 사례는 2차례 있었다. 결론 : 전경대원과 20-29세 연령군 일반인의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 폐결핵 발생률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대사 효소 유전자형 빈도의 남녀 차이

        김성곤,김철민,이덕기,황인복,이현숙,김성연,전은숙,송영상,박제민,최병무,김명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2

        Objectives : There are a number of preceding epidemiological studies report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genetic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The author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 in the frequencies of ADH2 and ALDH2 genoypes between th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control.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1 alcohol dependent patients (104 males, 37 females) and 138 normal control (79 males, 59 females). The frequencies of 1/1 and 1/2+2/2 (2+ afterward) genotypes for ADH2 and ALDH2 were investigated in male and female between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control group. DNA was extracted from WBC in peripheral venous blood and PCR-RFLP method was used out for genotyping. Results : First, the frequency of ADH2 1/1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 dependent patients than normal control in both genders. Second,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DH2 1/1 genotype in normal controls, in the patient group however, th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Third, in male subjects with alcohol dependence, the frequency of ALDH2 1/1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ale normal control subjects. On the other hand, in female subjects with alcohol dependence, the frequency of ALDH2 2+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female normal control subje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he risk of alcohol dependence is predominantly affected by ALDH2 1/1 geno-type in male, the female ADH2 1/1 genotype is main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lcohol dependence. This means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genetic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 KCI등재

        남자 알코올 의존 환자의 기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곤,민영기,이덕기,김미영,송영상,권도훈,고영훈,박제민,정병선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남자 알코올 의존 환자의 기질적 특성을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DSM-Ⅳ 진단 기준에 맞는 알코올 의존 환자 30명과 정상인 36명을 대상으로 연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질적 특성을 한글판 TCI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나이는 30~60세였다. 결 과: 1) 두 군간 평균 나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정도와 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 및 취업률은 알코올 의존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2) 알코올 의존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Harm Avoidance(HA) 점수와 Self-transcendence(ST)점수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Self-directiveness(SD)점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3) 알코올 의존군 내에서의 각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는, HA와 SD 점수, HA와 Persistence(PE) 점수, ST와 SD 점수는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ST와 PE 점수, SD 점수와 Cooperativeness(CO) 점수, Reward Dependence(RD)와 CO 점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남성에서 수줍음을 잘 타며, 걱정도 많고, 염세적이고 쉽게 피로해지는 기질적 특성이 알코올 의존과 연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emperament of male par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The subjects were 30 patients who met DSM-Ⅳ criteria for alcohol dependence and 36 normal controls. All subjects completed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which was developed by Cloninger. Results : 1) Th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in alcohol dependenc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ge between two groups. 2) Among the scores of TCI, the score of harm avoidance(HA) and self-transcendenc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group. 3) In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scores of TCI was between HA and SD, HA and Persistence(PE), ST and SD,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 and PE, SD and Cooperativeness(CO), Reward Dependence(RD) and CO.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y, fearful, pessimistic and fatigable temperament are related to developing alcohol dependence in Korean males.

      • KCI등재

        정신과 입원환자의 서비스 만족척도의 개발

        김철권,이지연,송영선,김규호,김경률,김제원,이동기,최병무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정신의료기관(정신병원, 종합병원 정신과)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입원환자의 서비스 만족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여러 단계를 거쳐 국내 실정에 맞는 문항을 개발하였고,정신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 정신과 병동에서 퇴원하는 34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63.04%를 설명하였다. 내적 일관성에 대한 신뢰도 계수 (Crohnbach's α)는 0.95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고, 수정된 개별문항-총점 상관계수는 0.50부터 0.72까지의 범위에 속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서비스 만족척도의 각 하위척도 점수와 서비스 만족척도에 첨부된 각 영역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세 개의 문항 점수 간의 상관성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결과 진단명에 따른 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 점수에서는 불안/신체형/강박장애 환자군과 기분장애 환자군이 각각 정신분열병 및 기타 정신병 환자군과 알코올중독 장애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입원형태에 있어서는 자발적 입원군이 강제 입원군에 비하여 전체 만족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성별, 월수입, 학력, 직업, 종교, 결혼상태 등의 변수에서는 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마찬가지로 연령, 입원일수, 입원횟수, 첫 발병나이, 유병기간 등의 임상적 변수에서도 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 점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서비스 만족척도의 전체점수에서 대학병원 환자군이 정신병원 환자군과 종합병원 환자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국내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들의 서비스 만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본 척도는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으며, 또 국내 정신의료 환경에 맞는 요인구조를 보였다. 따라서 정신의료 서비스에 대한 정신과 환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척도의 개발은 향후 국내 정신의료의 질과 치료결과를 높이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brief self-completed questionnaire (Service Satisfaction Scale : SSS) for routinely assess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psychiatric ward inpatients. Methods : A 30-item multidimension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several steps of face validity and content validity.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npatients (n=348) discharged from psychiatric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by perform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liability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internal consistency of Cronbach's alpha.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five factors comprising staff attitude, treatment quality, ward environment, access/cost, and ward rule, which account for 63.04% of the common varianc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was high (Cronbach's alpha=0.95). The concurr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each of five factors with item that measured overall satisfaction of SSS. Patients with neurosis (anxiety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mood disorders were significantly satisfied than those with psychosis and alcoholic disorders. Patients who admitted voluntarily were more significantly satisfied than those who admitted involuntarily.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and relig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total scores of SSS. Similarly,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f onset, duration of illness, lengths of hospital stay and number of previous hospitalization did not associate significantly with the total scores of SSS. Patients discharged from university hospital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than those of the general and psychiatric hospitals. Conclusion : SSS performed well 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dicating that it can be a useful tool for measuring Satisfaction of psychiatric inpatients in Korea.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개발에 대한 예비연구

        김철권,조진석,서지민,김용관,김호찬,김현수,김상수,제영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이 느끼는 부담을 측정하기 위한 가족부담 척도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 법 : 20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과의 비구조적 면담과 외국 부담척도 고찰을 통하여 94문항을 수집하였고 그 다음에 전문가들과 가족들이 문항 및 영역을 분류하고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36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135명, 불안장애 환자의 가족 22명, 기분부전장애 및 신체화 장애 환자의 가족 26명, 치매 환자의 가족 49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과 : 자료분석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내적 일치도, 감별타당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다섯 가지 구성요인이 추출되었다. 결 론 : 본 가족부담 척도는 정신분열병을 포함한 만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호전과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is preliminary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Family Burden Scale(FBS) of the schizophrenics. Methods : Ninety-four items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in a free unstructured format with one relative of each 200 schizophrenic patients and reviewing foreign FBS's. Several professionals and relatives were asked to group and integrate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Finally 36 burden items were chosen to constitute a FBS. The FBS was administered to the relatives of 135 schizophrenic, 22 anxiety disorder, 26 dysthymic disorder and somatization disorder, and 49 dementia patients for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 The FBS showed high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five-factor solution. Conclusion : The FB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programs intended not only to reduce decompensation among schizophrenics, but also to alleviate family burden.

      • SCOPUSSCIE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