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에 게재된 체계적 문헌고찰의 보고 질 및 방법론적 질 평가

        심수보,이주아,이혜림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porting quality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from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Methods: Systematic reviews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JPKM) by utilizing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and JPKM homepage. Two independent researchers assessed the reporting quality through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guideline checklist, and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 through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AMSTAR) 2 tool checklist. Results: Four systematic review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ssessment. When assessed by PRISMA, three literatures were little insufficient, and one literature was sufficient. When assessed by AMSTAR 2, three literatures were moderate quality, and one literature was critically low quality. Also, all of the reviews had no information about ‘Protocol and registration’, ‘publication bias’, and ‘conflicts of interest’. Conclusions: Systematic review is important for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Society.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reporting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ystematic reviews through PRISMA and AMSTAR 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들의 보고의 질과 방법론적 질을 평가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을 검색하기 위해 OASI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전통의학정보포털과 대한한방소아과학회 홈페이지 학회지 검색 시스템을 사용했다. 2명의 독립된 연구자가 PRISMA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의 보고의 질을 평가했고, AMSTAR 2 도구를 활용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론적 질을 평가했다. 결과: 4건의 체계적 문헌고찰이 최종적으로 평가를 위해 선정되었고, PRISMA를 통해 평가해보았을 때, 3건의 논문은 약간 부족한 수준의 보고 질 (Little insufficient report)을 나타냈고, 1건의 논문은 충분한 수준의 보고 질 (Sufficient report)을 나타냈다. AMSTAR 2를 통해 평가해보았을 때, 3건의 논문은 중등도의 질 (Moderate quality)로 평가되었고, 1건의 논문은 매우 낮은 질 (Critically low quality)로 평가되었다. 모든 논문에서 프로토콜과 등록, 출판 비뚤림, 이해상충에 대한 항목을 누락했다. 결론: 체계적 문헌고찰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및 한의학계에 중요한 연구로, PRISMA와 AMSTAR 2를 통해 체계적 문헌고찰의 보고의 질과 방법론적 질을 재고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방소아과학에서 임상 실습 교육의 만족도와 유용성 조사

        김빛나래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and utility of a clinical training in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after conducting participatory practices in clinical traini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6 students who completed a clinical training in 2019. After complet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n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they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15 questions.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rank the preferences for clinical training items and describe what was good about, things that need to be improved or corrected, and other areas to be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clinical training. Results: 1. Mean of the total satisfaction score was 4.26. Mean satisfaction score of the educational method was 4.25, and mean score of the utility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4.27. 2. Among the questions that evaluat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 agree with OSCE as a part of the clinical training for juniors.’ showe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questions that evaluate utility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It will be helpful to treat patients as a Korean Medicine doctor in the future’ showed the highest score. On the other hand, ‘I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training’ showed the lowest score. Conclusions: A clinical training in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can be highly valu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atisfaction and its utility.

      • KCI등재

        중의치료소아효천임상관찰(中醫治療小兒哮喘臨床觀察) -소아천식에 대한 중약치료의 임상관찰-

        윤혜민,양연,장려영,Yun Hye-Min,Yang Yeon,Jang Ryeo-Yeong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5 No.1

        소아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및 과민반응을 특징으로 나타내고 있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부터 차단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현대의학에서 이미 밝히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천증(喘證)에 본디 뿌리 깊은 근원(천유숙근(喘有夙根))이 있다고 간주하여 허약한 체질은 내적인 요인이고, 풍한침습(風寒侵襲)은 유발요인이며, 담음복폐(痰飮伏肺)와 신기휴허(腎氣虧虛)는 재발의 근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에 구마황(灸麻黃), 은행(銀杏), 건강(乾薑), 오미자(五味子), 백전(白前), 구백부(灸百部), 소자(蘇子) 등을 사용하였고, 경우에 따라 황기(黃?) 혹은 선령비(仙靈脾)를 추가하여 正氣(正氣)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마황과 건강, 오미자 등은 모두 기도의 염증세포 침윤(浸潤)를 억제하고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으며, 건강과 오미자는 또한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효과(拮抗效果)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 추출물은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들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을 방지하여 천식증상을 왕화시킨다. 구백부(灸百部)는 지해(止咳)효과가 뛰어나다. 소아천식에 대한 치료는 표본동치(標本同治)의 원칙을 지키며, 증상이 완화된 단계에서도 중약 투여를 1-2개월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에게 있어서 천식증상이 완화된 후 어혈(瘀血) 상태가 성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지만, "구병필어(久病必瘀)"의 결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천식이 장기간 지속되면 필히 혈액순환 장애가 수반되므로 천궁(川芎)이나 단삼(丹蔘) 등의 활혈제(活血劑)를 가미하여 사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소아의 천식은 항염증, 평천(平喘), 화담(火痰), 지해(止咳)와 더불어 보신익기화어(補腎益氣化瘀)의 약물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한 중약 투여는 일부 양약에 의한 소아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임상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喘息 白鼠에서 香蘇散加味方의 PPARγ에 대한 효과

        오지은,박은정,이해자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7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1 No.1

        喘息 白鼠에서 香蘇散加味方의 PPARγ에 대한 효과 오지은, 박은정, 이해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목적 : OVA에 유도된 천식 쥐 모델에 향소산가미방을 투여한 후 PPARγ의 변화를 조사하여 향소산가미방의 천식 치료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8주된 암컷 BALB/c 마우스에 첫 날과 14일 후에 20 μg의 OVA를 알루미니윰 하이드록사이드 1mg과 혼합한 후 총 200 μl를 복강 내로 주입하여 감작시켰다. 처음 감작시킨 날로부터 21,22,23일 후에 천식 모델에 사용하는 초음파 분무기를 이용하여 세 번째 감작시켜서 천식 마우스 모델을 만들었다. 천식 마우스 모델을 만드는 기간 중 OVA를 복강 내로 주입한 후 19일째에 24시간의 간격으로 향소산가미방을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여 향소산가미방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기관지폐포세척술은 마지막 감작 후 72시간 후에 실행하고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총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PPARγ의 발현은 천식 마우스 모델의 폐와 향소산가미방을 투여한 마우스 모델의 폐를 적출한 후 Western blott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병리 조직학적 검사는 hematoxylin 2 and eosin-Y 염색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정상 군과 비교하여 OVA감작 천식 쥐 모델에서는 72시간 후에 총 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OVA감작 천식 군에서 증가된 호산구의 수가 향소산가미방을 투여 한 쥐 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OVA감작 천식 쥐 모델에서 72시간 후에 정상 군과 비교하여 핵 내에서의 PPARγ 단백질의 발현이 약간 증가하였다. 그러나 향소산가미방을 투여한 쥐 모델에서는 세포질과 핵 내에서 PPARγ 단백질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상 정상 군과 비교하여 OVA감작된 천식 쥐 모델에서는 폐포, 세기관지, 기도내강 주변에 많은 염증 세포들이 있었다. 그러나 가미향소산을 투여 한 후에는 염증 세포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가미향소산은 PPARγ 작용제로서 역할을 하며, 천식에 대한 치료제 또는 예방제를 개발하는데 후보 물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아토피 피부염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연구 동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를 중심으로-

        김기영,이진용,Jin, Qi Ying,Lee, Jin Yong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17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1 No.1

        Objectives The goal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clinical, experimental and literature studies of Korean medicine on atopic dermatitis (AD) of Korean children in Korean medicine literature, seeking for the better research methods for more effective treatments. Methods Electronic investigations were practiced on AKOP (The Association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http://www.akop.or.kr) to collect theses which were published by J Pediatr Korean Med. The key word 'Atopy' was used for searching to ensure that every related thesis was collected. The publication date was limited from 1996 to 2016.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ssessed mainly according to distributions of study type, publication year, scale, treatment and its efficacy. Results 55 papers were selected from 59 studies. In these collected 55 related theses, there were 29 experimental studies (52.73%), 18 clinical studies (32.73%), 8 review studies (14.55%). In the 29 experimental studies, there were 20 studies (68.97%) using NC/Nga mouse as subjects. The mite antigen was used to trigger AD by 8 studies (27.59%). The studies have been utilizing DNCB and DNFB instead of mite antigen since 2011. All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Korean medicine was effective in AD. In total 18 clinical studies, 3 studies (16.67%) were case reports, only 1 thesis (5.56%) was conducted by case control study and the rest were case series studies. 7 studies (38.89%) of 18 studies diagnosed AD according to Hanifin and Rajka's diagnostic criteria (1980), only 1 study (5.56%)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and the rest 10 studies (55.56%) didn't mention diagnostic criteria. 12 clinical studies (66.67%) showed efficacy in treating AD. There were 10 studies (55.56%) only employing internal treatments and 1 thesis (5.56%) didn't mention the exact prescription. Naesowhajungtang-kamibang, Saenghyeoryunbue-um were used 3 times (16.67%) as the internal medicine respectively. 5 theses (27.78%) were combined with acupuncture therapy. Hegu (LI4), Sanyinjiao (SP6) were used in 4 theses, and Taichong (LR3), Quchi (LI11), Zusanli (ST36) in 3 theses. The number of acupoints chosen from The Spleen meridian of Foot-Taiyin was the largest. There were 8 review theses. 2 were about the foreign oriental medicine, 3 were about the external medicine or external treatment methods, and 3 other studies were about severity scoring systems, the methodological study in the latest clinical study, overview for pattern and results of herbal medicine-derived AD clinical researches.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studies and clinical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However, this study still needs improving by conducting more comparative studies and using better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find more effective treatments to improve clinical efficacy.

      • KCI등재

        위평충제치료소아소화성궤양98례임상관찰여수방보고(胃平沖劑治療小兒消化性潰瘍98例臨床觀察與隨訪報告) -위평충제(胃平沖劑)로 소아 소화성궤양 환자 98예(例)에 대한 임상치료 및 추적관찰 결과에 대한 연구-

        진소정,윤혜민,이소정,연윤국,Jin So-Jeong,Yun Hye-Min,Lee So-Jeong,Yeon Yun-Guk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5 No.1

        소아의 소화성궤양은 소아 소화계질환 중에서 발병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최근 소아과에서 내시경의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장기적으로 반복하여 위완통(胃脘痛), 변혈 (便血)및 구혈(嘔血)이 나타나는 경우 궤양성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원에서는 유명한 중의사 왕붕비(王鵬飛) 교수의 비완통(脾脘痛) 치험방을 토대로 많은 임상을 거쳐 위평충제(胃平沖劑)를 개발하여 1992년6월부터 1997년12월까지 위내시경 검사를 통하여 위궤양으로 진단된 98명의 소아환자에게 투여하여 관찰한 바 만족스러운 효과가 나타나 이를 보고한다. 위평충제(胃平衝劑)의 처방구성은 자초(紫草), 청대(靑黛), 곽향(藿香), 유향(乳香), 회향(茴香), 정향(丁香), 황련(黃連), 적석지(赤石脂), 황정(黃精) 등이다. 한의학적 이론에 따르면 불규칙하고 자극성이 강한 음식섭취 습관은 비위(脾胃)를 손상시켜 중주(中州)를 옹체(壅滯)시키므로 기(氣)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통즉통(不通卽痛)의 기전으로 발전한다. 또한 근래 소아들이 각종 정신적인 압박으로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간기울결(肝氣鬱結)을 초래하여 울화(鬱火)로 인하여 혈락(血絡)이 손상되면서 출혈증상이 나타난다. 왕교수의 견해에 따르면 체내에 어혈이 제거되지 않으면 기혈(氣血)의 순환이 더욱 악화되어 어적(瘀積)이나 궤양 또는 경새(梗塞) 등을 일으키게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위평충제(胃平沖劑)는 활혈화어(活血化瘀), 청열해독(淸熱解毒)과 더불어 익기양위(益氣養胃), 거어지통(祛瘀止痛)의 효능이 있는 약물들로 구성되었다. 동물실험에서 위평충제(胃平衝劑)는 궤양표면을 보호하고 치유하며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위액의 분비, 위단백질효소의 활성에 대한 억제 및 진통효과도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한 중약 투여는 일부 양약에 의한 소아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임상연구가 이어져야 한다.(當歸) 목단피(牧丹皮)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 산수황육(山茱黃肉)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비신양허형(脾腎陽虛型)은 온보비신(溫補脾腎) 화어척담(化瘀滌痰)을 원칙으로 하며, 처방에는 구마황( 灸麻黃)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단삼(丹蔘)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반하(半夏) 보골지(補骨脂) 선령비(仙靈脾) 태자삼(太子蔘)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치험(治驗): (1) 천식의 실증(實證)은 치료를 한 뒤 완화단계에 접어들면서 허증(虛證)으로 전화되는데, 허천(虛喘)도 역시 천식이니 만큼 단순히 보법(補法)만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시종일관 천식치료에는 척담화어(滌痰化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폐내(肺內)의 담어(痰瘀)가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폐(肺)의 순환기능을 개선시켜 기도(氣道)의 염증을 신속히 흡수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약 3-6개월이 필요하다. 완화단계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완치될 확률도 높아진다. (2) 급성기 천식은 폐(肺)를 다스려야 한다. 폐(肺)를 다스리는 방법에는 선폐(宣肺), 청폐(淸肺), 온폐(溫肺), 윤폐(潤肺) 및 척담거어(滌痰祛瘀) 등이 있다. (3) 증상이 완화되면 신(腎)을 다스린다. 천식은 신허(腎虛)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완화단계에서 심지어 발작기에도 보신제(補腎劑)를 추

      • KCI등재

        소아 야뇨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외 임상연구 동향 - 2000년 이후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

        이유빈,정아람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4 No.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발표된 야뇨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 및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방법: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인 OASIS, KISS, NDSL, RISS, Cochrane, CINAHL, Embase, Pubmed에서 검색하였고, 2000년 이후로 2019년 10월까지 출판된 임상연구만을 포함하였다. 선택된 연구들에 대한 출판 연도, 연구 유형, 야뇨의 유형, 인구통계학적 정보, 유병 기간, 치료 방법 및 내용, 추적 기간, 평가 지표 및 결과 그리고 부작용을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 38편에서 야뇨증에 쓰인 한의학적 치료 방법으로는 침 치료가 가장 많았으며, 한약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뜸 치료, 혈위 지압 치료, 첩부 요법 순이었다. 침 치료에는 삼음교 (SP6)와 관원 (CV4)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한약 치료에선 축천환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약재는 익지인과 산약이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치료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한의학적 치료시 총유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평가 지표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 한의학적 치료군에서 발생한 부작용은 모두 침 치료나 천자가 시행된 상황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소아 야뇨증의 전반적인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외의 임상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한의학적 치료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소아 야뇨증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유효성과 안정성이 입증되기 위해선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by analyzing the recently published clinical studie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Methods: The literatures were searched from OASIS, KISS, NDSL, RISS, Cochrane, CINAHL, Embase, Pubmed, and only clinical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October 2019 were included. The publication year, study type, type of enuresis, demograph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duration of illness, intervention type and details, follow-up period, outcome measurements and adverse events of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38 studies were selected. In the selected studies, acupunctur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reatment for nocturnal enuresis, followed by herbal medicine,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xibustion, acupressure and plaster therapy. The most commonly used acupoints for acupuncture were SP6 and CV4, and the most used herbal medicine was Chukcheonwhan, while Alpiniae Fructus (益智仁) and Dioscoreae Rhizoma (山藥) were the most used herbal materials. Most of the studies showed that the total effective rat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high. All the adverse events occurred in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group were caused by acupuncture or puncture. Conclusions : This study analyzed clinical studie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 KCI등재

        CARE (CAse REport) 지침에 따른 2018년 5월∼2023년 12월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의 증례보고에 대한 질 평가 및 변화 비교

        안혜리,이혜림,김지환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4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8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case repor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from May 2018 to December 2023 and compare them with case reports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18. Methods Case reports were searched on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website, and the selected reports were evaluated for CARE (CAse REport) guideline.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nine case reports selected for evaluation. The median value evaluated as ‘sufficie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reports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18 (61.5%→70.37%). The ‘Not reported’ rates of item 7 ‘Timeline of case’ and item 10d ‘Adverse and unanticipated events’ decreased the most. However, since the ‘Not reported’ rate still exceeds 50%, continuous improvement is needed. Both item 11a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discussion’, item 1 ‘The word “case report" and item 10a ‘Clinician and patient-assessed outcomes’ were reported 100% ‘sufficiently,’ and the quality of reports improved. Conclusions Case repor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are generally improving in quality of repor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