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서 특정 증산군에 따른 신경인지 기능의 차이

        김철권,김상수,김명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1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positive-negative dichotomy model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neurocognitive function in the specific symptom subgroups of schizophrenia. Methods :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14 item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among 71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ll pat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specific symptom subgroups based on a ratio score and compared the neurocognitive distinction of each subgroups with normal control grouP, which was composed of 60 healthy persons without psychiatric illness. Neurocognitive functions include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executive functio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obtained using Degraded Stimulu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Span Apprehension Task, Wisconsin Card Sorting Test, Digit Span, and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espectively. Results : Three factors, Positive, negative and disorganized, were yielded from factor analysis on 14 items of the PANSS. Three symptom subgroups showed the differential neurocognitive profiles. Disorganized symptom subgroup showed significant deficits in the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executive functio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Negative symptom subgroup showed significant deficits in the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executive func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Positive symptom subgroup showed significant deficits only in the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among three symptom subgroups. But the disorganized symptom subgroup showed a significant deficit in the executive function compared to the positive symptom sub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ree symptom dimensions including disorganization may be more valid than the positive-negative symptom dichotomy in the dimensions of schizophrenic symptoms.

      • KCI등재

        <해피투게더>: 영원히 상실된 사랑의 대상을 찾아가는 세 남자 이야기

        김철권,임진수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2 아시아영화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sychology of the homosexual main characters in the film <Happy Together>. The clues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y are the words ‘Let’s begin again’ ‘a passport’, ‘a mirror’ ‘cigarettes’ ‘Iguassu Falls’ and ‘screaming’. In this paper, the film <Buenos Aires Zero Degree> is also analyzed because it shows the director’s intention and inner feelings that are not revealed in <Happy Together>, and the psychological rationale and the foundation of homosexual love are better revealed. The moment when Lai Yiu-Fai(Lai) accepts Ho Po-Wing(Ho)’s word “Let's start again” is the moment when his maternal protective instinct occurs. The idea that one should take care of the object of love is the core psychology of homosexuality. A Homosexual relationship in this context is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tective mother and a protected son in that the loving one stands in the mother's position and the loved one stands in the son's position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mother. Thus the one in the protective position gives all he has to the one in the protected position who he loves. It goes the same for Lai and Ho. Lai does all he can do to look after Ho. Protecting in this context means caring and it's also a kind of gift at the same time. The gift has the equivalent value of a phallus. The cigarettes in the film is a thing that replace the phallus. Therefore, homosexuals sit in the place of those who take possession of a phallus. The mirror shows narcissism at the heart of male homosexuality. Iguassu Falls can be regarded as a hole or a mouthpiece of Other through which the object of love escapes and lost forever. The reason why Lai is fascinated by the painting of Iguassu Falls and tries to go there is to unconsciously find the object of love that has been lost forever. Lai’s voice recorded in Chang’s recorder is a soundless, desperate screaming by the one who lost the object of love and is in despair. This is a scream for the first lost object. In summary, the film <Happy Together> shows the long, over all journey searching for an object lost forever.

      • KCI등재

        킬링 디어: 죄의식의 전염에 대하여

        김철권,임진수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8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psychoanalytical answers to two key question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The first are Martin’s words of revenge against Steven, which is not easily understood. What Martin says is as follows: One of the family members has to die if the rest of them want to survive. Steven should decide who is to be sacrificed. Steven who committed a crime will never die even if all his family members die. In addition, Martin specifically lists what will happen to Steven’s family if Steven doesn’t do exactly as he was told. Finally Martin’s warning comes true in the film. The second is sense of guilt that Steven’s family members are seized with. They don’t know the fact that Steven killed Martin’s father during surgery. Nevertheless, they are intimidated by Martin as if they killed Martin’s father. The sense of guilt which belongs to Steven prevails contagiously among the rest of his family. There are three main themes in the Killing of Sacred Deer: the murder of one’s father, scapegoat-sacrificial offering, sense of guilt-contagion. The motives associated with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s: The tragedy 『Iphigenia in Aulis』 written by Euripides, the tragedy 『Oedipus Rex』 written by Sophocles, Freud’s Oedipus original sin theory and nomadic myth of primal father in 『Totem and Taboo』, scapegoats and forgiveness of sins in the Christian Bible, and 『Hamlet』 by Shakespeare. Among these, the root of guilt is the original sin caused by unconscious desire to kill his father in the nomadic myth of primal father’. Steven’s guilt prevails on two levels. On the conscious level, it spreads to his colleague Mattew and Martin. On the unconscious level, it spreads to Steven’s family through Martin. In the film, the position characters occupy can be interpreted through identification, a psychoanalytical concept. Through the wristwatch Martin is identified with Mattew and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know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rtin and Kim comes to be the same as that between Steven and Anna by the medium of menarche and a reclining posture. Bob who is Steven’s son puts Martin in the same position as Steven by means of his armpit hair, and Martin puts Stephen in his father’s seat by the medium of his armpit hair. 본 논문의 목적은 <킬링 디어>에서 제기될 수 있는 두 가지 의문에 대해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는 마틴이 스티븐에게 복수하겠다며 하는 말의 내용인데, 그 말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마틴은 스티븐의 가족 중 한명이 죽어야 나머지 가족구성원이 살 수 있고, 가족 중 누굴 죽일지는 스티븐이 결정해야 하고, 가족 모두가 죽어도 죄를 저지른 스티븐은 죽지 않으며, 자신이 말한 대로 하지 않으면 가족에게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 구체적으로 나열한다. 그런데 영화에서는 마틴의 경고가 현실이 되어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스티븐의가족 모두가 갖게 되는 죄의식이다. 스티븐의 가족은 스티븐이 수술하다가 마틴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사실을 모르는데도 마치 자기가 마틴의 아버지를 죽인 것처럼 마틴에게 꼼짝을 못한다. 스티븐만이 가져야 할 죄의식이 전염병처럼 가족전체로 퍼져나가 가족 모두가 죄의식에 전염된다. <킬링 디어>의 핵심 주제는 아버지 살해, 희생양-제물, 죄의식-전염의 세 가지다. 그것과 연관된 모티프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적 원죄 이론, 기독교 성경에 나타나는 희생양과 죄의 사함, 프로이트의 원초적 아버지에 대한 유목민 신화,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중에서 프로이트의 『토템과 타부』에 나오는 ‘원초적 아버지에 대한 유목민 신화’에서 아버지살해에 대한 무의식적 욕망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죄가 죄의식의 근원을 이루고있다. 스티븐의 죄의식은 두 가지 차원으로 퍼져 나가는데 하나는 의식의 차원에서동료의사인 매튜와 마틴에게로 향하고, 다른 하나는 무의식의 차원에서 마틴을통해 스티븐의 가족에게로 전염된다. 영화는 무의식적 차원에서 전염되는 죄의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화에서는 정신분석적 동일시를 통해 등장인물이 앉는 자리를 해석할 수있다. 시계를 통해 마틴은 매튜와 동일시되어 ‘알고 있는 자’의 자리에 앉게 되고, 초경과 침대 위에 눕는 자세를 매개로 마틴과 킴의 관계는 스티븐과 안나의관계와 같게 된다. 스티븐의 아들인 밥은 겨드랑이 털을 매개로 마틴을 스티븐과 같은 자리에 앉히고, 마틴은 겨드랑이 털을 매개로 스티븐을 아버지의 자리에 앉힌다.

      •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세제의 개선방안

        김철권,이상신 남서울대학교 2007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3 No.1

        This article is to study on improvement for start-up small business tax benefit in korea. There are many issues if it is right or not to give a tax benefit for start-up small business. But many country have given the tax benefit for start-up small business, the tax benefit will do. This article treat start-up small business tax benefit from three points, these are start-up small business itself, investor and assistance for it. First, it study what are the tax benefits for start-up small business itself, and it present reform measures of the tax benefits for start-up small business itself. Second, it treat investors to start-up small business. These investors are for example personal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investment company for start-up small business and so on. And it present reform measures of the tax benefits for these investors. Third, it study assistances for start-up small business, and it present reform measures of assistances for start-up small business.

      • <아들의 방>: 애도,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문제에 대하여

        김철권 한국영화학회 2022 Vol.0 No.9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ll how people who lost their loved ones respond to the loss and how they overcome it through the film <The Son’s Room>. <The Son’s Room> is a film about mourning that shows how parents overcome the sorrow and pain after they lost their son in an accident. Mourning is a psychological process resulting from the loss of a loved one. It is a process of withdrawing all libido directed into the loved object because one realizes the loved object no longer exists through reality testing. In normal mourning, the libido which remained in memory of the lost object flows to another object. In the film, the flow of libido is shown in four multiple layers. First, the libido cathexes to the loved object flows to another person. In the film, the libido flows from their son to Arianna who is an ex-girlfriend of their son, then to Stefano who is a boyfriend of Arianna after they lost their son. Second, the flow of libido is shown through spatial movement. When Arianna visits Andre’s house, the Andre family takes Arianna and Stefano to the French border. In other words, the libido travels spatially from Andre’s room to the French border. Third, the flow of libido is shown through music. Whereas loud noises dominate the screen when Andre dies, the peaceful music ‘By the river’ plays on the screen when Andre’s family finally accepts his death as a reality and returns to their daily lives by allowing him to cross the Styx River, the river of oblivion. Lastly, it is shown through the scene of conducting psychoanalysis on patients. In the film, Andre’s father, a psychoanalyst, overcomes mourning while conducting psychoanalysis on various patients. Each of the patients in the film is in a transference relationship in which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projected on the analyst-patient relationship in the analysis situation. All the conversations that patients had with Giovanni had during treatment session are related to Giovanni, describing Giovanni in mourning. <The Son’s Room> shows that mourning is the most fundamental issue that all humans have, through the son’s death in reality ostensibly and the words of patients appearing in psychoanalytic treatment at the same time. 본 논문의 목적은 <아들의 방>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은 그 상실에 대해 어떤 식으로 반응하며 어떤 식으로 극복하는지를 말하기 위함이다. <아들의 방>은 현실에서 사고로 아들을 잃은 한 가족이 어떻게 그 슬픔과 고통을 극복하는지를 보여주는 애도 영화다. 애도는 사랑하는 대상을 잃어버린 결과로 생기는 심리 내부의 과정으로, 현실 검증을 통해 사랑하는 대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음으로써 사랑하는 대상에게 향하던 모든 리비도를그 대상과의 관계로부터 철수시키는 과정이다. 정상적인 애도는 상실된 대상에대한 기억에 머무르던 리비도가 다른 대상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영화에서는 리비도의 흘러감을 4가지 층위로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첫 번째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투여된 감정(리비도)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가는 것으로, 아들에게 향하던 리비도가 아들을 잃은 후에는 아들의 전 여자 친구인 아리안나로 흘러가고 그 다음에는 그녀의 남자 친구인 스테파노로 흘러가게 된다. 두 번째가 공간 이동으로, 아리안나가 안드레의 집을 찾아오자 안드레 가족은 아리안나와 스테파노를 프랑스국경까지 데려다준다. 즉 아들인 안드레의 방에서 프랑스 국경까지 공간적으로이동한다. 세 번째가 음악을 통한 이동으로, 아들이 죽었을 때는 시끄러운 소리가영화를 지배하지만 ‘By this river’라는 음악이 흐르면서 안드레의 가족은 아들을망각의 강인 스틱스강을 건너가게 함으로써 그의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일상으로 돌아간다. 네 번째는 정신분석가인 아들의 아버지가 다양한 피분석자들을대상으로 정신분석을 시행하는 장면을 통해 애도를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를보여준다. 영화에 등장하는 여덟 명의 피분석자들은 모두 부모-자식간의 관계가분석상황에서 분석가-피분석자의 형태로 바뀌어 나타나는 전이 관계에 놓여 있다. 분석치료 시간에 피분석자가 조반니와 나누는 대화 내용은 모두 조반니와 연관된 것으로 애도 상태에 있는 조반니를 묘사하기 위해서다. <아들의 방>은 현실에서의 아들 죽음을 표면에 내세우면서 동시에 정신분석 치료에 등장하는 피분석자들의 말을 통해, 애도야말로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핵심적이면서도 가장근원적인 문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멜랑콜리아>: 상실된 대상과의 합체를 통한 죽음의 승화

        김철권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3 현대영화연구 Vol.19 No.1

        The film Melancholia beautifully describes the process of leading to death after incorporating into it by identification with an object, a concept of the disease called melancholia through the way the planet named Melancholia collides with the Earth and becomes one. The prologue sublimates ‘melancholia’, a disease of death, into a brilliant and beautiful art of death by showing the process of the planet Melancholia and the Earth becoming one through beautiful scenes and music. The first part, titled Justin, deals with her wedding reception but also shows Justin trying to ruin the marriage somehow at the same time. People with melancholia fall into a path of failure and self-destruction by unconsciously inducing others to hate and attack them while suffering from severe depression and lethargy. Part one shows such key symptoms of melancholia through Justin. The second part, titled Claire, revolves around the anxiety displayed by Claire when the planet Melancholia is about to collide with Earth. The film reveals Justin’s psychology in melancholia through Wagner’s opera Tristan and Isolde overture and various paintings expressing death and despair. The last scene of the film, where Justin, Claire, and Leo face death in the magic cave can be interpreted as the mother’s womb, in which the incorporation of the beloved object occurs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bridge Justin’s horse and a golf cart fail to cross is reminiscent of Styx, the river of death in Greek mythology. “Steel Girl,” Justin’s nickname, can be interpreted as an artistic creator or meaning that it is identified with the Thing and regressed. <멜랑콜리아>는 ‘멜랑콜리아’라는 병의 핵심 개념인 대상과의 동일시에 의한 합체 후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멜랑콜리아’라는 이름의 행성이 지구와 충돌하여 하나가 되는 것으로 대체하여 아름답게 묘사하고 있다. 영화의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부분은 단순히 영화의 전체 내용을 요약하는 수준을 넘어 멜랑콜리아 행성과 지구가 하나가 되는 과정을 아름다운 영상미와 음악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죽음의 병인 멜랑콜리아를 찬란하고 아름다운 죽음의 예술로 승화시키고 있다. 저스틴이라는 제목이 붙은 1부는 그녀의 결혼 피로연을 다루고 있지만, 그 내용은 어떻게 하든 결혼을 망치려고 하는 저스틴의 모습을 보여준다. 멜랑콜리아로 진행된 환자들은 특징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미워하고 증오하고 공격하게끔 무의식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자기 파멸과 실패의 길로 걸어가고 동시에 심한 우울증과 무기력증을 보이는데, 1부에서는 저스틴을 통해 그런 멜랑콜리아의 핵심 증상을 보여준다. 클레어라는 제목이 붙은 2부에서는 멜랑콜리아 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려고 할 때 저스틴의 언니인 클레어가 보이는 불안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영화는 바그너의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 서곡을 통해, 그리고 죽음과 절망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그림으로 멜랑콜리아로 진행된 저스틴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저스틴, 클레어, 레오가 죽음을 맞이하는 마법의 동굴은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사랑하는 대상과의 합체가 일어나는 어머니의 자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저스틴의 말과 골프 카트가 건너지 못하는 다리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죽음의 강인 스틱스(Styx)를 연상시키며, 저스틴의 별명인 ‘강철 소녀’는 사물과 동일시되어 퇴행한다는 의미로 혹은 예술적 창조자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라쇼몽 – 욕망의 진실에 대하여

        김철권,임진수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80

        관객은 <라쇼몽>을 보고 혼란을 느낀다. 그 이유는 사실의 차원에서 진실을 규명하려 하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적으로 그런 시도는 무의미하다. 진실은 사실과 무관하다. 오히려 진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실을 무시해야 한다. 진실이 사실과 관계없다고 하는 점은 세 명의 피의자가 동일한 사실을 서로 다르게 진술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사실 따로, 진실 따로이다. 진실은 말의 내용이 아닌 말하는 주체의 의도와 관련되어 있다. 내가 왜 이런 증언을 하느냐? 그것이 바로 주체의 욕망의 진실이다. 영화에서는 세 명의 피의자 모두 각자 자기 욕망의 진실을 이야기하는데, 세 명 모두 자기에게 불리한 증언을 한다. 어느 정도 불리하느냐 하면 자기에게 죽음을 가져오는 불리한 증언이다. 죽음을 불사하는 욕망, 그것이 바로 욕망의 진실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라쇼몽>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의 욕망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다. <라쇼몽>은 두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것을 반복하고 있다. 사건 현장에 세 사람(도적, 무사, 무사의 아내)이 있고, 이것에 대한 목격담을 이야기하는 세 사람(나무꾼, 승려, 행인)이 있다. 그런데 이 세 사람의 관계가 반복된다. 이것이 바로 반복강박이다. 왼쪽 역삼각형에는 도적, 무사, 아내가 있고 그 안에 단검이 있다. 오른쪽 역삼각형에는 나무꾼, 행인, 승려가 있고 그 안에 아기가 있다. 똑같은 구조다. 여기서 단검과 아기가 반복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아기는 남근의 상징이다. 따라서 단검도 남근의 가치를 가지며 남근의 역할을 한다. 왼쪽 도적의 자리에 해당되는 오른쪽 자리에는 나무꾼이 있다. 두 사람 모두 훔친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적과 나무꾼은 단검을 중심으로 반복한다. 도적은 단검을 망각하고 나무꾼에서는 도적으로부터 빠져나간 단검이 나타난다. 왼쪽 아내의 자리는 오른쪽에서 승려의 자리가 된다. 아내와 승려의 자리는 회의하는 자리다. 무사의 자리는 행인의 자리로 이동한다. 무사와 행인의 자리는 진실의 자리로 두 사람은 일말의 진실을 드러내고 있다. 무사는 아내에 대한 증오와 사랑의 진실을 말하고 있고 행인은 스스로 자기가 추악하다는 진실을 말하고 있다. 사건 현장에 있은 세 사람에게는 중요한 증상이 나타난다. 도적에게는 가장 값비싼 단검을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단검 망각과 말에서 떨어져 포졸에게 잡히는 두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무사의 아내에서는 혼절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무사는 멜랑콜리 증상에 빠져 증오와 사랑의 양가감정을 보이면서 자살한다. 증상은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핵심 실마리이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에 기대어 <라쇼몽>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증상과 심리구조를 통해 무의식적 욕망과 그 진실을 탐구해보았다. The audience feels confused when they see <Rashomon>. The reason is because they try to reveal the truth from the facts perspective. Such an attempt is meaningless psychoanalytically. The truth is irrelevant to the facts. Rather, the truth must be ignored in order to grasp the truth. The fact that the truth is irrelevant to the facts can be seen from the <Rashomon> that the three suspects state the same facts differently. Truth and facts are two different things. Truth i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talking subject, not the content of the word. Why do I testify this? That is the truth of the subject’s desire. In the film, all three suspects testify the truth of their desires, and all three give adverse testimony to themselves. Their testimony is so unfavorable that it leads them to death. The desire that does not fear death; that is the truth of desi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ruth of desire of every character in <Rashomon>. <Rashomon> has two structures and repeats them. There are three people (a bandit, a samurai, a wife of samurai) at the scene of the crime, and there are three witnesses (a woodcutter, a monk, a commoner) who talk about their sightings. Incidentall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people is repeated; this is a repetitive compulsion. The bandit, the samurai and the wife form a triangle with a dagger at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woodcutter, the commoner, and the monk forming another triangle with a baby at the center. These two triangles have an identical structure. Here, the dagger and baby are repeated. According to Freud, the baby is a symbol of the phallus. Therefore, the dagger also has the value of the phallus and acts as one. The woodcutter corresponds to the bandit in the other triangle and they both steal. The bandit and the woodcutter repeat around the dagger. The bandit neglects the dagger and the woodcutter discovers it. The position of the wife corresponds to the monk; it is a position of regrets. The position of the samurai matches to that of the commoner; it is the place of the truth, the subtle truth. The samurai tells the truth of hatred and love for his wife, and the commoner tells the truth that he is an awful person. The bandit shows two important symptoms. The first is to forget the most expensive dagger, ‘the dagger oblivion’, and the second is to fall down from the horse. The wife manifests syncope. The samurai succumbs to melancholy and commits suicide with ambivalent feelings of hatred and love. People’s words always contain lies and a subtle truth exists within those lies. That subtle truth is not the opposite of falsehood as it always appears together with lies. Falsehood is a condition of existence of that truth. This is why it is called the subtle truth, not because it is only partly consistent with the facts. The truth in psychoanalysis refers to the truth of desire. Desire and truth do not exist apart from each other. The truth of desire is always accompanied with falsehood, so only the subtle truth is revealed. <Rashomon> is a movie that shows the truth of such desire vividly.

      • KCI등재

        <피아니스트>: 에리카의 피학증에 대하여

        김철권,임진수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Erica’s abnormal sexual behaviors psycho-analytically based on Lacan’s sadism and masochism theory. There are three common factors in various kinds of sexual behaviors that Erica shows. First, she has crappy behaviors and makes herself a vulgar being. Second, she has abnormal sexual behaviors in the presence of a third person, not in discreet places. Third, she wants to have sadistic sexual acts. In Lacan’s sadism and Masochism theory, the sadist and the masochist are not defined by an act of beating and being beaten. Sadism and masochism are not deter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ther, that is between you and I, but rather defined as the way that the subject and the other inform the Other of their existence. The masochist is convinced that the Other reacts to him with anxiety only when he suffers immen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So he acts vulgarly in public or in the presence of a third person’s gaze in order to physically abuse himself and be psychologically despised, insulted and ignored. That’s why Erica has abnormal sexual behaviors in public places. She wants herself to be an object of insult and mock in order to make the Other feel anxious. She believes that she can inform the Other of her real existence only when she makes the Other feel anxious. In the film The Piano Teacher, the Other is embodied by her mother, Clemé and the third’s gaze. They are placed in the seat of the Other by turns.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에서 보이는 에리카의 비정상적인 성적 행동을 라캉의 가학/피학증 이론에 근거하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함이다. 에리카가 보이는 다양한 성적 행동에는 세 가지 공통요소가 있다. 첫째가 그런 행동을 통해 자신을 찌꺼기와 같은 존재로 만드는 것이고, 둘째가 은밀한 장소가 아닌 언제나 제삼자가 보는 공개된 상황에서 이상한 성적 행동을 하는 것이고, 마지막이 자신이 고통을 받는 피학적인 성행위를 원한다는 것이다. 라캉의 가학/피학증 이론에서 라캉은 때리고 맞는 행위로서 가학증자와 피학증자를 규정하지 않는다. 그는 주체와 타자의 양자 관계에서, 너와 나의 관계에서 가학증과 피학증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타자가 대문자 타자에게 자기의 실존을 알리는 방식이 가학증과 피학증이라고 보았다. 피학증자는 자신이 엄청난 신체적 심리적 고통을 겪을 때만, 대문자 타자가 불안해하면서 자신에게 반응을 보인다고 확신한다. 그래서 신체적으로 자신을 학대하고 심리적으로는 경멸과 모욕과 무시를 당하기 위해, 공공의 장소에서 또는 제삼자의 시선이 있는 곳에서 비천한 행동을 한다. 에리카가 비정상적인 성적 행동을 공공장소에서 하는 이유는 자신을 조롱과 모욕과 경멸의 대상으로 만들어야 대문자 타자를 불안하게 할 수 있고 그렇게 하여야 대문자 타자에게 자신의 실존을 알릴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피아니스트>에서 대문자 타자는 때로는 어머니, 때로는 공공의 시선으로 구현되며 그들은 대문자 타자의 자리에 번갈아 가면서 앉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