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취업적응 실습교육 프로그램 효과

        유제복(Je Bog Yoo),인우영(Woo Young 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취업적응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실무 통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K도 J시 소재 K대학의 재학생 2·3·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대학생에게 온라인 취업적응 실습교육프로그램을 ADDIE 모델을 토대로 개발하여 전문가 집단을 통해 실습 프로그램을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병원 교육전담간호사의 실습 지도와 간호대 학생의 온라인 동영상 참여를 기반으로 1일 4시간씩, 5일 동안 총 10회 온라인 교육을 실시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량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그릿(F=17.79, p<.001), 실무통합능력(F=19.47, p<.001)은 대상자가 온라인 취업적응 실습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전, 참여 직후, 참여 4주 후의 평균값이 증가하였으며,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비대면 실습 교육의 가능성을 보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제한적인 비대면 실습 교육 현장에서 간호대학생의 실습이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무 현장이 적용된 산업체와 연계된 다양한 취업적응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0 students in the 2nd, 3rd, and 4th grades of K University in J, K-do to determine the effect of online employment adaptation practice training programs on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ractical integration ability in the COVID-19 pandemic. An online employment adaptation practice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expert validation, and it applied online education 10 times in real time for 4 hours a day and 5 days, using guidance from hospital education nurses and online video participation by nursing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collected data. Study Results Grit (F=17.79, p<.001), practical integration capability (F=19.47,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subjects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four weeks after participation in the online employment adaptation practical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e feasibility of nursing students' practice in limited remote education environment and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online employment adaptation practice training programs linked with industry collaborations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회복마취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유제복(Je Bog Yoo),김정숙(Jung Sook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4

        본 연구는 회복마취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2020년 9월 12일 회복마취간호사회 비대면 워크숍에 참여자 중 연구목적과 방법을 듣고 동의한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량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환자안전역량은 총 4.19점이었으며 하부영역의 지식은 4.11점, 기술 4.20점, 태도 4.26점이었다. 환자안전 지식은 연령, 교육 정도, 임상경력, 현 부서경력, 환자 안전교육 경험, 안전업무담당 경험에서, 환자안전기술은 연령, 임상경력, 현 부서경력, 안전업무담당 경험에서, 환자안전 태도는 연령, 임상경력, 현 부서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 지식(r=.349, p<.001), 기술(r=.464, p<.001), 태도(r=.380,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 기술(β=.29, p=.021), 환자안전 태도(β=.22, p=.025)이었으며 설명력은 22.9%이었다. 회복마취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해 회복마취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환자안전술기를 포함한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적용으로 마취환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도모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perianesthesia care unit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 which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135 participants at a conference of Anesthesia Nursing Society in South Korea at September 12,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Regres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re significant with patient safety knowledge (r=.349, p<.001), skills (r=.464, p<.001), and attitude (r=.380, p<.001). Influencing factors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atient safety skills (β=.29, p=.021), patient safety attitude (β=.22, p=.025), and explanatory power was 22.9%. In order to improv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perianesthesia nurses, it is necessar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nesthesia patient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continuous application of practice programs including patient safety skills required by perianesthesia nurses.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건강관리 봉사활동 효과

        유제복(Je Bog Yo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봉사활동이 제한된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건강관리봉사프로그램이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확인하고자 K도 J시 소재 K대학 재학생 36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지역거주 독거 노인에게 코로나19로 비대면 건강관리 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8주간 간호대학생들이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량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가 비대면 건강관리 봉사활동 참여 전에 비해, 참여 직후, 1주 후의 평균값이 증가하였으며,시간이 지날수록 진로준비행동(F=17.789, p=.000), 전공만족도(F=22.472, p=.000), 간호전문직관(F=19.473, p=.000), 진로결정자기효능감(F=28.248, p=.000)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준비행동의 시간간의 차이는 pre vs post 1(t=-6.481, p<.001), pre vs post 2(t=-6.481, p<.001), post1 vs post 2(t=-3.70, p<.001), 전공만족도의 시간간의 차이는 pre vs post 2(t=-4.363, p<.001), post1 vs post 2(t=-7.751, p=.001), 간호전문직관의 시간간의 차이는 pre vs post 1(t=-2.604, p=.013), pre vs post 2(t=-5.603, p<.001), post1 vs post 2(t=-2.997, p=.005), 진로결정효능감의 시간간의 차이는 pre vs post 1(t=-3.070, p=.004), pre vs post 2(t=-7.539, p<.001), post1 vs post 2(t=-4.788, p<.001)로 모두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비교과과정 활동으로 다양한 비대면 봉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36 students at K University in J, K-si, K-do to confirm the impact of non-face-to-face health care volunteer program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 situation where volunteer work is limited due to the prolonged Covid 19. This study program developed a non-face-to-face health care volunteer program with Covid 19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region, and nursing students conducted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for 8 week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immediately after participation and one week after participation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health care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17.789, p=.000), major satisfaction (F=22.472, p=.000), nursing professional (F=19.473, p=.000),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28.248,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non-face-to-face volunteer programs as non-curricular activiti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교육이 노인의 태도, 자기 효능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Je-Bog Yoo),정정희(Jeong-Hee Jeong),방설영(Sul-Yeong B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농촌에서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강의 기반과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 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자기 효능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65세 이상 농촌 노인 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22명의 대조군에게 강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강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과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χ²-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두 그룹에서 태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F=0.89, p=.353)으로 나타났으나, 자기 효능감(F=5.54, p=.025)과 만족도(F=4.66, p=.039)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에게 이 연구에서 적용한 교육 방법이 효과적임을 나타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들도 응급상황에 대처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lass-based and simulation-based CPR education for the rural elderly on their attitudes toward CP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is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method with a sample of 43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in rural areas. The twenty-two elderly people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class-based CPR education,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both class-based and simulation-based education. Both groups were given surveys to complet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based on the X²-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d ANCOVA.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ir attitudes (F=0.89, p=.353). However,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elf-efficacy (F=5.54, p=.025) and satisfaction (F=4.66, p=.039)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provides the baseline data indicating that the education methods implemented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nsure that the elderly are able to manage emergency situations by boosting their CPR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simulation-bas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KCI등재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외과수술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 분석

        유제복(Yoo, Je-Bog),장희정(Jang, Hee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실 환자의 평균 체류시간을 알아보고,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회복실 체류 시간 예측을 위한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상급 종합병원에 입원한 전신 마취 하에 일반외과 수술을 받은 18세 이상 성인 남녀 환자 중 회복실로 입실한 환자를 1,5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1,293건을 분석 하였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32항목을 측정하였다. 평균 회복실 체류시간은 72.02분이었다. 수 술주기별 관련요인과 회복실 체류시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나이, 수술종류, 수술시간, 진통제사용회수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변수는 수술종류이며 그 다음 EKG 이상여부, 나이, 마 취제, 수술시간으로 나타났다. 범주 I(30분~60분)은 2개의 경우, 범주 II(61분~90분)도 2개의 경우, 범주 III(91분~120 분)은 4개의 경우로 분석되었다. The data mining is a new approach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through effective analysis of huge data in numerous fields. This study was analyzed by decision making tree model using Clementine C&RT(Classification & Regression Tree, CART) as data mining technique. We utilized this data mining technique to analyze medical record of 1,500 people. Whole data were assorted by length of stay in PACU and divided into 3 groups. The result extracted by C5.0 decision tree method showed that important related factors for lengh of stay in PACU are type of operation, preoperative EKG abnormality, anesthetics, operative duration, age.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저체온 관리를 위한 ASPAN의 근거기반 임상실무 가이드라인 적용 효과

        유제복(Yoo, Je Bog),박현주(Park, Hyun Ju),채지연(Chae, Ji Yeoun),이은주(Lee, Eun Ju),신유정(Shin, Yoo Jung),고저스틴상욱(Ko, Justin Sangwook),김남초(Kim, Nam Cho) 한국간호과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3 No.3

        Purpose: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the effects of the American Society of PeriAnesthesia Nurses (ASPAN)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thermal discomfort, and time to achieve normothermia in patients undergoing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under spinal anesthesia. Methods: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wi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Participants (n=60) were patients who underwent TKRA between December 2011 and March 2012. Experimental group (n=30) received active and passive warming measures as described in the ASPAN’s guidelines. Control group (n=30) received traditional care. Body temperature, shivering, thermal discomfort, time to achieve normothermia were measured in both groups at 30 minute intervals. Results: Experimental group had slightly higher body temperature compared to control group (p=.002). Thermal discomfort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surgery but higher in the control group after surgery (p=.034). It decreased after surgery (p=.041) in both groups. Time to achieve normothermia was shor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0). Conclusion: ASPAN’s guidelines provide guidance on measuring patient body temperature at regular intervals and on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hypothermia management which can be very useful in nursing care, particularly in protecting patient safety and improving quality of nursing.

      • KCI등재

        회복마취 간호사의 그릿, 간호실무숙련도가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유제복(Je Bog Yoo),김정숙(Jung Sook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연구는 회복마취 간호사의 그릿, 간호실무숙련도, 간호역량을 파악하고 간호역량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회복마취 관련 부서에서 6개월 이상근무한 회복마취 간호사로 2020년 9월 12일 회복마취 간호사회 비대면 워크숍에 참여자 중 연구목적과 방법을 듣고 동의한 17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역량은 그릿((r=.21, =.006), 간호실무숙련도(r=.59 <.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역량의 영향 요인은 간호실무숙련도(=.51, <.001), 학력은 석사(=.17, =.008), 결혼 유무는 기혼(=-.16, =.011) 순이었으며 요인 설명력은 39.6%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회복마취 간호사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실무숙련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실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rit, nursing practice proficiency, nursing competency of perianesthesia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competenc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75 participants at a conference of Anesthesia Nursing Society in South Korea at september 12,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AS 9.4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Nursing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 (r=.21, =.006) and Nursing practical proficiency (r=.59 <.001).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nursing competency were nursing practical proficiency (=.51, =<.001), educational background (=.17, =.008), and marital status (=-.16, =.011). These variables explained 39.6% of the variance in nursing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nursing competency by increasing the nursing practice proficiency of perianesthesia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 KCI등재

        회복마취간호사의 자율성과 역할갈등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정승은(Seung Eun Chun),유제복(Je Bog Yo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연구는 회복마취간호사의 자율성, 역할갈등, 전문직 자아개념을 파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전국의 회복마취 관련 부서에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대상자의 자율성은 5점 만점에 3.71±.57점, 역할갈등은 5점 만점에 3.75±.65점, 전문직 자아개념은 8점 만점에 5.59±1.15점이었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회복마취간호사의 연령(F=5.60, p=.005), 총 경력(F=2.89, p=.039), 직위(F=3.90, p=.023), 결혼 여부(F=3.20, p=.003), 간호직 만족도(F=-2.91, p=.009), 업무의 전문성 여부(F=2.86, p=.005), 차별화된 업무수행 여부(F=2.29, p=.02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회복마취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율성(r=.608, p<.001), 역할갈등(r=.288, p=.005)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회복마취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율성(β=.607, p<.001), 결혼여부에서 기혼(β=.267, p<.001)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4.0%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회복마취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향상을 위해 자율성을 높이고 역할갈등을 줄일 수 있는 회복마취 전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교육으로 간호사들이 근거를 가지고 간호실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utonomy,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perianesthesia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21 nurses who worked in departments related to perianesthesia nationwide for more than 6 months. The subject s autonomy was 3.71±.57 (5 Likert), role conflict was 3.75±.65 (5 Likert), and the professional self-conflict was 5.59±1.15 (8 Likert). Professional self-concept is age (F=5.60, p=.005), total career (F=2.89, p=.039), position (F=3.90, p=.023), marital status (F=3.20, p=.003), nursing job satisfaction (F=-2.91, p=.009), job expertise (F=2.86, p=.005), differentiated job performance (F=2.29, p=. 024)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perianesthesia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utonomy (r=.608, p<.001) and role conflict (r=.288, p=.00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perianesthesia nurses were autonomy (β=.607, p<.001), in the order of marital status to married (β=.267,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4.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perianesthesia nurses is required to develop a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 for perianesthesia for increasing autonomy and reducing role conflicts, and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so that nurses can provide nursing practice with an evidence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 KCI등재

        전신마취하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근이완 길항제 종류에 따른 수술 후 호흡근육 활성도, 통증, 회복지수 및 회복실 체류시간 비교

        이선경(Son Kyong Lee),유제복(Je Bog Yoo),정현택(Hyeon Taek Jung),송희정(Hee Jung Song),조은아(Eun Ah Cho)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후 회복과정에서 근이완 길항제 종류에 따라 수술 후 호흡근육 활성도, 통증, 회복지수 및 회복실 체류시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받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sugammadex(1군)와 pyridostigmine(2군) 투여군을 각각 30명씩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분석결과 호흡근육 활성도 평가는 수술 후 회복실 입실직후 1군 3.80±1.75점, 2군 2.83±1.32점(p<0.031)이었고, 입실 10분 후에도 1군 5.33±1.03점, 2군 4.30±1.44점(p<0.003)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1군이 2군에 비해 호흡근육 활성도가 높았다(집단*시점, p<0.049). 수술 후 통증의 정도는 1군과 2군의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567), 시점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며(p<0.001), 교호작용은 없었다. 두 군간의 회복지수는 입실 시(12.13±0.90 vs 12.00±0.64, p<0.932)점, 퇴실 시(14.10±0.71 vs 13.87±0.43, p<0.323)점으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의 회복실 체류시간(31.23min±11.19 vs 40.97min±12.54, p<0.002)으로 1군이 2군보다 회복실 체류 시간이 더 짧았다. 새로운 근이완 길항제의 개발이 회복 간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약제에 대한 효과와 원리 및 사용방법에 대한 간호 교육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gammadex and pyridostigmine in the postoperative recovery including respiratory muscle activity, pain score, PAR score and postoprative period in the recovery room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adult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in K hospital: 30 patients each group assigned to receive sugammadex (group 1) and pyridostigmine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iratory muscle activity score in two groups immediately after admission to the recovery room (3.80 ± 1.75 vs 2.83 ± 1.32, p<0.031) and at 10 minutes after admission to the recovery room (5.33 ± 1.03 vs 4.30 ± 1.44 points, p<0.003). Group 1 showed higher than group 2 (group*time p<0.049).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postoperative pain between the groups (p<0.567).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covery index. PACU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group 1 than 2 (31.23 min ±11.19 vs 40.97 min ±12.54, p<0.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