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콩 단백질/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 필름의 특성 및 산소 투과도 연구

        정세환,김성철,조규순,신용섭,장상희,홍기헌,이태진,신부영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2004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32 No.2

        In this study, Mechanical property, thermal property, watervapor, and oxygen permeability of biodegradable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prepared with Na^(+)-MMT, have been studied. X-ray diffraction and TEM experiments an polymer/silicate composite samples demonstrated that the intercalation of polymer chains leads to increase in the spacing between silicate layers. In addition, it were found that the intercalated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ere prepared.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only a small of clay was enough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y of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atervapor of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Soy protein/Pectin. oxygen permeability of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Soy protein/Pectin.

      • KCI등재후보

        과학 교육에서 STS 수업모형의 적용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정미진,윤기순,권덕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STS 과학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STS 수업모형의 적용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논문은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출판된 석사학위 논문 104편과 과학교육 저널에 출판된 논문 78편을 포함한 총 180편이었다. STS 수업 모형의 효과 평가에 총 56편이 선정되었다. STS 수업 모형 적용 효과의 평균효과크기는 0.40이었다. 이 결과는 STS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업 성취도, 탐구능력, 환경에 대한 태도 및 환경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전통적인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STS 수업은 환경에 대한 태도의 증진에 가장 큰 평균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STS 수업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STS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STS 수업 모형의 효과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TS Education an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STS teaching model by using Meta-analysis. The selected research articles were 180 articles including 104 of the master’s theses and 76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1 to 2006.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56 articles were selected finally. The mean effect size of the application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was 0.40. The result indicated that STS teaching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on enhancing student's attitude fo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inquiry ability, attitude for environment and knowledge for environment. Especially, it had shown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in the attitude for environment. Therefore, it might be better to reflect these results for the best effect of STS teaching. To assess STS education on the whole, it is necessary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rel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最近 日本에 있어서의 人文·社會科學의 硏究動向

        金光淳,朴龍喆,徐贊基,李中雨 慶北大學校 東洋文化硏究所 1981 東洋文化硏究 Vol.8 No.-

        Since Samkook Era in Korean history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brought closer together, therefore, the cultural innovations or variations of one country cause sensitive responses of the other. Japan's highly economic growth changed not only her economy and society but also the trends in the sciences. It is certain that such recent trends in science would be affect that of Korean sciences. This study is put the purpose to help determining the directions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in Korea by understanding of their recent trends in Japan. But only literature, law and geography (especially economic and population geography) are treated here among many fields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in Japan. The authors had been to Japan from Feb. 15 to 24, 1981 to collect the data from the relevat institutions or individuals in Japan. The findings on the trends a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recent trend of the literature study in Japan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past except the more diverse approaches of the modern literature than the classic. It would seem that the trend of modern literature is moving from chronologic approach to spatial approach. The area of modern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with comparative literature but it is impossible to clarify effectively the problems of the modern literature by the only literature study, and it is recent trend to introduce medical knowledges such as a case clinical histor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2) It would be dominant opinions among Japan's social scientist that social science must be the science of comprehensive recognition, an empirical, practical and historical science. And in future it is desirable to study the law concretely and practically based on the epistemology, formal logic and social dialectic. (3) Economic geography (especially agricultural and industrial geography) is traditionally most important position in geography together with geomorphology in Japan, and recently the studies of commercial geography and regional development become active as the newer fields of economic geography. But it would seem that the attempt to construct the general theory of economic geography has not yet been successful. (4) The study of population geography in 1970s is quantitatively increased in Japan. Its main issue in the early half of 1970s is the underpopulation problem in the rural areas; in the latter half the over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regions and the return flow from there are most interested problems.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염산 Bleomycin 병변내 주입을 이용한 사마귀 치료

        강민정,임연순,최혜영,명기범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9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2 No.2

        연구목적 : 지금까지 난치성을 보이는 사마귀의 치료로 Bleomycin 행변내 주사의 효과가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치료방법의 효과를 사마귀의 크기, 숫자, 위치 및 유병기간에 따라 판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적응 대상을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 1995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피부과에 비성기성 사마귀로 내원한 환자중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재발한 경우, 크기가 0.5㎝ 이상이거나 7개 이상의 다발성 병변 , 혹은 조감 주위 병변을 보인 1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leomycin 병변내 주사로 치료하였다. 1회 치료후 효과와 치료 종결후 완치율을 병변은 크기, 숫자, 위치, 유병기간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 1) 환자의 연령 분포는 4세에서 45세였고, 남자 59명 여자 74명으로 1:1.24 비율이었다. 2) 첫 주사 치료후 96명의 환자에서 50% 이상의 병변의 수나 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크기별로는 0.5~0.9㎝의 87.5%에서, 병소의 수별로는 단일 병소의 76.9%에서 50% 이상의 병변의 크기나 수의 감소를 보여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조갑주의 병변은 79.1%에서, 수부는 75.8%, 족부는 72.9%에서 50% 이상의 호전을 보였으나 족서부 병변은 53.4%로 가장 낮은 낮은 효과를 보였다. 유행병 기간은 6개월 이하인 31명(86.2%)에서 50% 이상의 효과를 보여 유병기간이 짧을수록 치료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치료 종결시 3개월 이후까지 재발없이 완치된 경우는 총 93명으로 69.9%였고 치료받은 병변의 수가 증가할 수록 완치율이 감소하였다, 부위별로는 조감주위가 77.1%로 가장 높았으며, 병변의 크기에 따른 일괄된 완치율의 차이는 없었다. 병변의 기간에 따른 완치율은 6개월 이하에서 80.6%로 가장 높았으며, 유병기간이 길수록 완치율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4) 부작용은 환자 중 18.4%인 24명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유형별로는 3일 이상 지속된 동통과 홍반, 색소 침착 및 감염이 관찰되었으나, 모두 이후 호전되었으며, 1명에서 경한 조갑 능선을 동반한 변형이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마귀에 대한 Bleomycin 병변내 주사효과가 병변의 크기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심한 부작용이나 전신적인 독작용없이 조감주위병변 및 급성기 병변에서 높은 완치율을 보여 좋은 적응증이 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Bleomycin 병변내 주사의 효과 및 안정성에 있어서 시술자가 적당한 양의 약물을 주변부위로 부터 과도한 침습없이 정확히 병변의 기저부에 도달시키는 기술이 또하나의 중요한 변수가 됨을 반영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Purpose: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injection of bleomycin for common warts and plantar warts according to size, number, location, and duration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indication of this treatment for warts. Materials & Methods : The objective patients had warts being refractory to previous treatment or large than 0.5cm in size or 7 or more lesions or periungal lesions. The intralesional injection with bleomycin hydrochloride 1㎎/㎖ had been performed single to six times at 3 week interval until complete resolution.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4 to 45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 : 1.25(59 : 74). Results : After first treatment of bleomycin intralesional injection, a reduction of 50% or more of the primary wart area was observed in 96(72.2%) of 133 patients. 93(69.9%) of 133 treated patients experienced complete cure after 1 to 7 injections.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bleomycin injection for warts was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warts. However the duration and number of warts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efficacy of treatment. The highest cure rate was shown in patients with periungal warts(77.1%), and lowest in patients with plantar warts(53.3%). The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18.4%(24 of 133) including persistent pain(17.3%), pigmentation(3.0%), erythema(1.5%), and mild nail dystrophy(0.8%), but no evidence of systemic toxicity was found. Conclusions :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injection of bleomyci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ize, but closely related to the duration, number and site of the lesion. These results partly suggest that there is som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treatment of bleomycin such as duration of the lesion and skillful injection of the agent into the wart tissue.

      • KCI등재

        맹출 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을 이용한 치험례

        석충기,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치아의 맹출이란 구강내로 치아가 출현하기 전의 악골 내에서의 이동, 구강에 출현하여 교합면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그리고 교합면 도달이후의 추가적인 이동 등 모두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이다. 맹출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치아가 성장 발육 과정에 따라 구강내로 맹출되는 과정은 preeruptive alveolar bone stage, alveolar bone stage와 mucosal Stage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도 장애가 발생하면 치아가 맹출하지 않는다. 맹출 장애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부정위, 정상 맹출로의 방해, 치낭 혹은 치주인대의 손상 등이 있다. 맹출 장애 치료에는 유치발거 및 맹출 공간확보, 외과적 노출, 외과적 정위, 외과적 노출 후 견인이 있고, 이 중 외과적 노출이 가장 기본적인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은 영구치를 둘러싸는 점막, 골, 병소, 경우에 따라 치낭 등을 제거하여 개방된 맹출로를 확보하는 것이고, 형성된 맹출로는 레진관(celluloid crown)의 접착, 거타 퍼챠 혹은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 주 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 에 충전하여 개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시에는 치경부 치근의 백악질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인접치아의 치주 조직이나 치근의 손상도 피 해야 한다 또한 노출 후 치아는 각화된 치은에 위치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 중에 가해진 손상의 정도는 치아의 병리, 생리 학적 이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본 증례들은 상악 제1대구치가 맹출 장애를 가긴 증례들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위해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외과적 노출을 시행하였고, 맹출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The eruption of permanent teeth represents the movement in the alveolar bone before appearance in oral cavity, to the occlusal plane after appearance in oral cavity, and additive mevement after reaching th the occlusal plane. Tooth eruption is mostly controlled by genetic signals. The eruption stage is divided to preeruptive alveolar stage. alveolar bone stage, mucosal stag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growth and development. If the disturbance is occured in any stage of eruption, tooth does not erupt. The cause of eruption disturbance are eclopic position of the tooth germ, obstruction of the eruption path and defects in the follicle or PDL. In the treatment of eruption disturbance, surgical procedures are commonly used. There are three kind of surgical procedure surgical exposure, surgical repositioning, surgical exposure and traction Surgical exposure is basic procedure. This involves removal of mucosa, bone, lesion that are surrounding the teeth, dental sac when necessary to maintain a patent channel between the crown and the normal eruptive path into the oral cavity. To ensure this patency, many techniques including cementation of a celluloid crown, packing with gutta-percha or zinc oxide eugenol, or a surgical pack, are used. When surgical exposure is conducted, operators should not expose any part of cervical root cement and not in jure periodontium or root of adjunct tooth. After surgical exposure, tooth should be surrounded by keratinized gingiva. There is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development of pathophysiologic aberrations and the intensity of the manipulative injury inflicted on the tooth by surgical treatment, so operator should consider this thing. In these cases surgical exposure is conducted on Maxillary 1st milars that have a eruption disturbance and improve the eruption disturbance effectively.

      • 내열성 Polyesterimide의 합성 및 물성 연구

        박이순,하기룡,박진국,도정희 경북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2 産業技術硏究誌 Vol.20 No.-

        Pyromellitic dianhydride(PDA)와 4-aminophenol(AMP)의 이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양말단에 phenolic OH기를 갖는 bisphenolbisimide형 단량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bisphenolbisimide 단량체를 terephthaloyl chloride 혹은 aliphatic acid dichloride와 반응하여 polyesterimide들을 얻었다. 종합반응은 용액중합 및 계면중합 반응을 사용하였으며 용액중합 반응이 수율을 향상시킴을 알았다, 생성된 polyesterimide들은 FT-IR, NMR을 사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DSC 및 TGA로 역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Tm=401℃, 최대분해온도가 500℃ 이상의 고내열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Bisphenolbisimide type monomer with phenolic OH group at both ends were synthesized through the imidzation reaction of pyromellitic dianhydride(PDA) and 4-aminophenol(AMP). Bisphenolbisimide monomer was reacted with terephthaloyl chloride of aliphatic acid dichlorides to give polyesterimides. Polymerization reactions were conducted by solution and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the former with higher polymer yield. The structure of polyesterimid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NMR, Polyesterimides showed high termal stability with Tm=401℃ and maximum decompositon temperature of over 500℃.

      • KCI등재

        수 종의 복합레진 접착 시스템에서의 미세 누출의 비교

        석충기,남동우,남순현,김영진,김현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최근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이 개발되어 법랑질 및 상아질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임상적 술식을 단순화 시켰다. 이 접착 시스템은 적용하기 용이하고 임상적으로도 법랑질 및 상아질에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in vitro 상에서 복합레진 5급 와동의 법랑질 및 상아질 경계에서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미세 누출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교정적 목적으로 발치된 30개의 소구치를 무작위적으로 3개 군으로 나누었다; 1 군 (Single Bond^(�) + Filtek Z250^(�)), 2 군 (Clearfil SE Bond^(�) + Filtek Z250^(�)), 3 군 (Adper Prompt L-Pop^(�) + Filtek Z250^(�)). 표준화된 5급 와동을 각 소구치 협면, 설면에서 백악-법랑경계에 평행하게 형성하였으며, 와동의 치은측 1/2은 백악-법랑경계보다 1mm 치근단으로 연장하였다. 접착 시스템을 제조자의 지시대로 적용한 다음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제조자의 지시대로 광중합하였다. 시편을 37℃ 증류수에 5일 간 보관 후 5℃±2℃ 와 55℃±2℃에서 1000회 열순환한 다음, 2% methylene blue 용액에 12시간 침잠시켰다. Isomet^(TM) (Buehler Co., Lake Bluff, IL, USA)을 사용하여 치아를 충전물 중앙에서 종절단한 후 입체 현미경하에서 25배의 배율로 색소 침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t-test 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에 사용 된 접착 시스템 중에 미세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접착 시스템은 없었다. ·상아질 경계에서의 미세 누출이 법랑질 경계에서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01). ·법랑질 경계에서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은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아질 경계에서,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은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cently, self-etching adhesive system have been developed and bonding procedures simplified into one or two steps, which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both enamel and dentin. These systems are easy to use and have the potential for good clinical su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n vitro the microleakage on the cementum/dentin and enamel walls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f Class V cavities, regarding the use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30 human premola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 standardized Class Ⅴ preparation was prepared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each premolar. The preparation were made paralle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s, with the gingival half of the preparation extending 1mm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fter adhesive system was applied to teeth as manufacture's recommendation, hybrid resin composite was filled in bulk into the preparation and light polymeriz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Specimen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 for 5 days and thermocycled 1000 times (5℃+2℃ and 55℃±2℃), then immersed in a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12 hours. After sectioning mesio distally through the restorations,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was scored under a stereomicroscope at × 25 magnifi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is no adhesive system which can prevent microleakage perfectly. ·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enamel margin and dentin margin (p<0.0001). · In enamel margin, self-etching primer sys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total-etching system. · In denin margin, self-etching primer sys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one-bottle adhesive system used in combination with total-etching.

      • 솔잎(갈비)·솔방울의 수처리에 관한 연구

        최순규,엄기수,성현순,김윤영,이시우,정대일,이용균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4 硏究報告 Vol.17 No.2

        The absorption ability of low density heavy metal of pine needles and cones is better than one of existing absorption materials in treatment ability and experimental condition. The elimination ability of chlorine of pine needles and cones is better than one of active carbon. In elimination of trihalomethane, the effect of treatment of pine needles is lower than one of pine cones. And surface of pine needles and cones after absorption of heavy metal ion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pplication and availability of pine needles and cones as absorption material need lots of experiments. The experiment on Gal-Bi(fallen leaves) is procee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