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hitosan/oleamide Nanofluid for Enhancing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C1-gas Bioconversion

        Eungsu KANG,Hyunsuk CHOI,Ji Yeong LEE,Min-sik KIM,Jeong Geol NA,Yoo Seong CHOI 한국생물공학회 2021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Microbial biotransformation using C1-gases (CH₄, CO) is a notable technique for sustainable, carbon-neutral chemical and fuel production. However, the low mass transfer coefficient (KLa) of C1-gases in biological processes has hampered the efficient production of value-added materials, despite efficient, nonnative strains having been recently developed. Here, we constructed a nanofluid material mainly composed of chitosan and oleamide (CS/OA), which was stably suspended with a particle size of 120.7 ± 39.0 ㎚ in aqueous culture media below pH 7.5. The kLa value was enhanced more than 1.5-fold with a reduction of surface tension even in the 0.0001 % (w/v) CS/OA nanofluid. In addition, when the nanofluid was applied into media for seed-cultivation of three C1-gas utilizing strains such as Methylomonas sp. DH-1, M. trichosporium OB3b, and Thermococcus onnurineus NA1 156T, the CS/OA nanoparticles attached to the cell surface, leading to a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ell surface at extended lag-phase, and enhanced the specific cell growth rates (μmax),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log-phase. Remarkably, the adapted strains from the seed culture using the CS/OA nanofluid media also had enhanced μmax in a subsequent subculture and the main culture using conventional culture media, resulting in higher C1 gas consumption, cell growth, and metabolite production such as formate and succinat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S/OA nanofluid could be an effective medium component to enhance the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C1-gas microbial bioconversion.Microbial biotransformation using C1-gases (CH₄, CO) is a notable technique for sustainable, carbon-neutral chemical and fuel production. However, the low mass transfer coefficient (KLa) of C1-gases in biological processes has hampered the efficient production of value-added materials, despite efficient, nonnative strains having been recently developed. Here, we constructed a nanofluid material mainly composed of chitosan and oleamide (CS/OA), which was stably suspended with a particle size of 120.7 ± 39.0 ㎚ in aqueous culture media below pH 7.5. The kLa value was enhanced more than 1.5-fold with a reduction of surface tension even in the 0.0001 % (w/v) CS/OA nanofluid. In addition, when the nanofluid was applied into media for seed-cultivation of three C1-gas utilizing strains such as Methylomonas sp. DH-1, M. trichosporium OB3b, and Thermococcus onnurineus NA1 156T, the CS/OA nanoparticles attached to the cell surface, leading to a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ell surface at extended lag-phase, and enhanced the specific cell growth rates (μmax),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log-phase. Remarkably, the adapted strains from the seed culture using the CS/OA nanofluid media also had enhanced μmax in a subsequent subculture and the main culture using conventional culture media, resulting in higher C1 gas consumption, cell growth, and metabolite production such as formate and succinat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S/OA nanofluid could be an effective medium component to enhance the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C1-gas microbial bioconversion.

      • KCI등재

        품종별 무화과의 영양성분 비교

        나환식 ( Hwan Sik Na ),김진영 ( Jin Young Kim ),박학재 ( Hak Jae Park ),최경철 ( Gyeong Cheol Choi ),양수인 ( Soo In Yang ),이지헌 ( Ji Heon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3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무화과 품종인 도후인(Dauphine)2종, 봉래시(Horaish)2종, 바나네(Banane) 1종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무화과의 수분은 85.37~87.28%, 회분 0.38~0.43%, 조지방 0.20~0.26%, 조단백질 0.39~0.81%로 품종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조섬유는 바나네가 7.55±0.13%로 다른 품종 5.12~7.60%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K>Ca>Mg>Na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함량의 경우 도후인 품종이 타 품종에 비해 조금 높은 결과를 보였다. 바나네 품종과 봉래시 품종의 총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proline>aspartic acid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전체 함량의 51.68~58.71%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후인 품종의 경우 glutamic acid>aspartic acid>alanine이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기억력 감퇴 예방 등 학습 능력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물질인 γ-aminobutyric acid(GABA) 함량은 바나네에서 26.69mg/100g으로 상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후인이 198.91~261.64mg/kg, 봉래시 품종이 169.90~174.33mg/kg, 바나네 품종이 211.07mg/kg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바나네(84.95mg/kg), 도후인(60.47~68.71mg/kg), 봉래시(44.12~44.60mg/kg)순으로 바나네가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따. 플라보노이드성분 중 quercetin과 kaempferol은 각각 2.40~3.54mg/kg, 1.09~1.16mg/kg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s, free amino acid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of fig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ultivars. The proximate compositions showed moisture at 85.37~87.28%, crude ash at 0.38~0.43%, crude lipid at 0.20~0.26%, crude protein at 0.39~0.81%, carbohydrate at 11.23~13.66% and crude fiber at 5.12~7.55% (dry base). The amounts of the following minerals in the figs were highest, in this order: K > Ca > Mg > N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this order: Dauphine (198.91~261.64mg/kg), Banane (211.07 mg/kg) and Horaish (169.90~174.33 mg/kg).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is order. Banane (84.52 mg/kg) > Dauphine (60.47~68.71 mg/kg) > Horaish (44.12~44.60mg/kg). The quercetin contents were highest in this order. Dauphine, 2.40~3.54 mg/kg; Banane, 3.54 mg/kg; and Horaish, 2.40~2.75 mg/kg; but the flavonoid contents were lowest in this order. Dauphine, 1.11~1.16 mg/kg; Banane, 1.14 mg/kg; and Horaish, 1.09~1.11 mg/kg.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figs was 199.70~328.77 mg/100g; their essential free amino acid contents, 46.45~67.46 mg/100 g; and their GABA (γ-aminobutyric acid) contents, 13.57~26.69 mg/100 g.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Energy storage capabilities of nitrogen-enriched pyropolymer nanoparticles fabricated through rapid pyrolysis

        Yun, Young Soo,Kim, Yu Hyun,Song, Min Yeong,Kim, Na Rae,Ku, Kyojin,An, Ji Su,Kang, Kisuk,Choi, Hyoung Jin,Jin, Hyoung-Joon Elsevier 2016 Journal of Power Sources Vol.331 No.-

        <P><B>Abstract</B></P> <P>Nanostructured pyropolymers contain significant amounts of redox-active heteroatoms, have high specific surface areas, and a defective carbon microstructure, indicating good potential for pseudocapacitive charge storage. In this study, nitrogen-enriched pyropolymer nanoparticles (N-PNs-50) are fabricated from polyaniline nanotubes through rapid pyrolysis at 50 °C min<SUP>−1</SUP>. N-PNs-50 exhibit a nitrogen content of 9.8 wt%,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875.8 m<SUP>2</SUP> g<SUP>−1</SUP>, and an amorphous carbon structure with an I<SUB> <I>D</I> </SUB>/I<SUB> <I>G</I> </SUB> intensity ratio of 0.95.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lead to good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in which reversible capacities of 660 and 255 mAh g<SUP>−1</SUP> are achieved for Li-ion and Na-ion storage, respectively, with favorable voltage characteristics (<1.5 V for Li-ions and <1.2 V for Na-ions). This study provides a more feasible production method for nitrogen-doped pyropolymers and their practicabl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for use as an anode in energy storage devices.</P> <P><B>Highlights</B></P> <P> <UL> <LI> Nanostructured pyropolymers (N-PNs-50) were fabricated by rapid pyrolysis. </LI> <LI> N-PNs-50 exhibited a nitrogen content of 9.8 wt% and amorphous carbon structure. </LI> <LI> N-PNs-50 exhibited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875.8 m<SUP>2</SUP> g<SUP>−1</SUP>. </LI> <LI> 660 and 255 mAh g<SUP>−1</SUP> were achieved for Li-ion and Na-ion storage, respectively.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Nitrogen-enriched pyropolymer nanoparticles (N-PNs-50) were fabricated from polyaniline nanotubes through rapid pyrolysis at 50 °C min<SUP>−1</SUP>, showing superior electrochemical performances.</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선천성 발진성 연모 낭종 1예

        이나영,김지숙,최유원,황규광,함정희 대한피부과학회 2004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2 No.3

        An eruptive vellus hair cyst is an uncommon, benign, epithelial tumor with hair differentiation. Clinically, it presents as asymptomatic, flesh-colored to yellowish, follicular papules, 1 to 4 ㎜ in diameter, most commonly on the chest. It is usually sen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but may be congenital. Histologically, it shows a middermal cyst lined by squamous epithelium containing keratinous material and vellus hairs. It has a tendency to clear spontaneously but may be persistent. We report a case of congenital eruptive vellus hair cyst in an 11-year-old girl who presented multiple pinhead-sized brown to black papules on her anterior chest since birth. (Korean J Dermatol 2004;42(3):362~363)

      • Cellulose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암컷 쥐의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서지나,최미자 啓明大學校 生活科學硏究所 2006 科學論集 Vol.32 No.-

        Numer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effect of fiber on cholesterol metabolism. Most of studies reported a hypocholesterolemic action of fiber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However, a few studies reported that addition of cellulose to the diet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cholesterol in rats. Therefo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cellulose on cholesterol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cellulose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Twenty female rats (body weight 190 ± 2.9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rats in the control group were fed on 5% cellulose diet (control) and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ed with 10% cellulose diet. All rats were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s and deionized water ad libitum for 5 weeks. The plasma lip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commercial kits with enzymatic metho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rats fed cellulose supplemented diet had significantly higher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an those fed control diet.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rats fed cellulose supplemented diet compared to those fed control diet. But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More detailed research is necessary to explain why the effectiveness of cellulose in reducing the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has been different.

      • 후두 및 하인두 편평세포암종에서 E-cadherin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도남용,나한조,이도용,허준,최지윤,이홍영,임성철 조선대학교 2000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5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cell-cell adhesion molecule E-cadherin i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the epithelial cellular structure. We were design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E-cadherin as a marker for differentiation and invasivenes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Materials and Methods : Our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the epithelium-specific cell adhesion molecule E-cadherin in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tissue specimen of 32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Results : The positive expression of E-cadherin was 56.3%(18 case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Decreased E-cadherin expression was a stas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increased grade of lymph node stage and clinical stage. Reduced expression was seen in the large tumor size and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but thes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 expression of E-cadherin may be related with progress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But these correlation were not sufficient for the prognostic indicators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 복막투석복막염 환자에서 발생한 창자벽공기증 1예

        정선영,나지훈,최윤정,고성애,조규향,박종원,도준영,윤경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6 No.1

        Peritonitis is a serious problem in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Rarely pneumatosis intestinalis can occur as a complication of this infectious process. Pneumatosis intestinalis is a potential life threatening condition with a challenging management. The mortality of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ith pneumatosis intestinalis secondary to mesenteric ischemia is almost 100%. We describe a rare case of pneumatosis intestinalis in a peritoneal dialysis patient who developed Staphylococcus aureus peritonitis which was initially treated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Since initial response to therapy was not achieved, an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was done which revealed a pneumatosis intestinalis. A laparotomy was performed and small bowel necrosis was seen. A segmented resection with ileostomy, jejunostomy was done. Though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the patient died in 2 weeks after admission. Pneumocystitis intestinalis in peritoneal dialysis peritonitis is a uncommon complication which requires prompt evaluation to rule out mesenteric ischemia as it carries a high mortality and its management will be surgical.

      •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권재술,최병순,권치순,양일호,이경호,김지나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학생의 과학 지식 성취도에 대한 장기간의 경향성은 과학 교육 정책의 효율성을 점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나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의 경향성을 이해해보려는 진지한 노력이 현실적으로 거의 없었다. 최근까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는 전국에 있는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을 전국적으로 투입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여 2년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으로써, 이 논문은 두 번째 단계에 관한 내용을 담고있다. 이 연구에서는 권재술 등(1998)이 개발한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1997년에는 전국적으로 8,766명의 학생을, 1999년에는 4,398명의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지역별, 성별 등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 전체 학생의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2년 동안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의 서로 다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성취도가 감소하였으나, 고등학생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중학생의 경우는 두 시기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과학 지식 영역의 하위 영역별 분석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개념 체계에 대한 지식 수준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사실과 원리에 관한 지식 수준은 낮아졌다. 반면 고등학생의 경우는 지식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실 영역에서 크게 향상 되었다.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성별, 지역별, 행동 목표 수준 그리고 검사 문항의 상황 등으로도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 개발한 과학 성취 수준 점검 시스템은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과학성취도를 점검하는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The long term trend of studensts' science achieve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educational policy. However, up to date no such effort to understand the trend of Korea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has been put into action. Recently,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attempted to collect nation wide data for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The first part of the effort was to develop item pools. This study was the second part to collect nation wide data and to check any change during the two year time interval. In this study, the item pools developed by Kwon et. al.(1998)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February 1997 and March 1999. The subjects collected nationally were 8,766 students in 1997 and were 4,398 in 1999. The subjects were collected randomly but stratified by region and sex. As the results, the trends of achievement change during the two years were different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achievement scores were decreased in elementary schools and increased in high school. In case of middle schools,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even in elementary schools the knowledge on theor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knowledge on facts and principles were decreased. In contrast, the knowledge on fact showed the most increase in high school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in light of region, sex, behavioral objective levels(ability) and context of test items. The science achievement monitoring system developed by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monitoring students' achievement on the n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