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TEAM 관련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 초등실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STEAM관련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실과에서의 STEAM 교육 연구와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을 주로 하였으며, 국내 STEM, STEAM 및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에 관한 1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와 정보 관련 학술지 논문은 연차별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과학 관련 학술지는 2012년도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TEAM 프로그램의 수업 유형은 교과내 수업형과 교과 연계 수업형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토대로 STEAM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을 선정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다수의 프로그램은 STEAM 활동의 준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다섯째, 실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개발은 ‘전기전자’영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STEAM의 ‘TE'요소로 분류된 것은 정보통신이 가장 많았으며, 일부 활동은 기술 영역의 활동으로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grated program of STEAM education through studies in practical Arts and propose the research directions and educational implementations.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has applied to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s analysis of studies done related to integrated program of STEM and STEAM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about STEAM have regularly done in practical arts and computing and information area of academic journals in every edition. However, Science Journal showed studies about STEAM education mainly in edition of 2012.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wo class types, 'within subject' and 'related subjects', were similarly adopted for the developed program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topic and/or content were mainly selected through curriculum analysis. Forth,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the program didn't present their criterion for activities. Fifth, it was shown that some activities in the program were not proper as 'TE' elements.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의 오피니언 마이닝 활용 연구

        김지숙,진서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1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촉발된 빅데이터 이슈가 산업 전반에 확산되면서 빅데이터 분석기술은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왜냐하면 기업들이 축적한 빅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따라 향후 기업의 성패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축적된 빅데이터 중에서 가치 있는 데이터는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보유한 빅데이터로부터 누가 먼저 그 가치를 추출해 내느냐에 따라 기업의 성패를 가늠하게 될 것이며 이를 위해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데이터로 발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에 대해 알아보고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해 소비자들이 소셜미디어에 표출한 반응을 기업이미지의 선행지표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대형 슈퍼마켓에 대한 트위터상의 의견들을 수집하여 긍정 또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는 업체를 분석하였다. With the advent of smart phones and social media, the big data issue has spread throughout the industry. Big data analysis techniqu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How to analyze and utilize the big data can influence the company's future success. However, the value of big data is only a handful. Thus, extraction its value from big data will measure the success or failure of companies. In order to analyze large amounts of data into meaningful data advanced techniques are needed. In this paper, we learn about big data and big data analysis methods. Opinion mining through consumer reaction expressed in social media can be a leading indicator of corporate image that looked. Comments on Twitter for supermarkets are collected and companies were analyzed with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image.

      • KCI등재

        김치 명칭에 대한 고찰 - 문헌 자료와 방언을 중심으로 -

        김지숙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이 글은 기존의 어원 연구를 바탕으로, 일차적으로는 문헌상의 기록과 방언 자료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부식인 김치 명칭을 고찰하고, 이차적으로는 한정된 문헌을 통해 단정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것을 방언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김치 명칭의 두 가지 유형인 ‘딤ᄎᆡ’ 유형과 ‘디히’ 유형을 문헌과 방언 자료를 통해 살펴본 결과, ‘디히’는 ‘디히>디이>지히, 지이>지’의 변화로 현재의 ‘지’라는 명칭으로, ‘딤ᄎᆡ’는 당시 한자음에 따라 ‘딤ᄎᆡ>짐ᄎᆡ>김ᄎᆡ>김츼>김치’와 ‘팀ᄎᆡ>ᄎᆡᆷᄎᆡ>침채’의 변화를 거쳐서 현재의 ‘김치’라는 명칭으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음으로, 현대국어에서 김치와 장아찌를 가리키는 명칭에 ‘지’가 여전히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짠지, 싱건지’, ‘지고추’와 같은 형태를 통해서도 ‘지’ 형 역시 김치를 가리키는 명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대어 방언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당 기간 김치와 (짠)지 문화가 동시에 공존해 왔기 때문에 김치 자체가 곧 ‘지’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문헌과 방언의 통합적 검토의 중요함을 알게 하고, 김치 명칭의 특수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studied first, names of Kimchi, a Korean representative side dish shown in records in literature and field dialect data and second, possibility of examining the things which cannot be concluded or solved through limited literature data and the dialects based on the existing etymologies. For this, literature and dialect data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names of Kimchi into two types of ‘딤ᄎᆡ, 짐ᄎᆡ, 침ᄎᆡ, and 김ᄎᆡ’ and ‘디히 and 지’ according to the precedent discu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found that the current name of ‘지’ was created as ‘디히’ has been changed to ‘디히>디이>지히’ and ‘지이>지’ and the current name of ‘Kimchi’ was done as ‘딤ᄎᆡ’ has been done to ‘딤ᄎᆡ>짐ᄎᆡ>침ᄎᆡ>김ᄎᆡ>김츼>김치’ and ‘팀ᄎᆡ>ᄎᆡᆷᄎᆡ’. Next, it has found that ‘지’ is still and independently used in the name of Kimchi and Jangajji (pickled vegetables) in modern Korean and the type of ‘Ji(지)’ in ‘Jigochu(지고추)’ with ‘Singgeonji(싱건지) and Jjogakji(쪼각지)’ also indicates Kimchi. That is, the both types of ‘딤ᄎᆡ’ and ‘지(디히)’ recorded in literature data can be thought to indicate Kimchi of the modern language. It can be said that Kimchi itself is Jjanji(pickled vegetables) because Kimchi and Jjanji cultures have coexistend for a long time as seen in the dialect data of the modern language. This discus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lets people know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reviews of literature data and the dialects and the dialects can be a motive to seek regional cultures.

      • KCI등재후보

        외국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인지도 연구 분석

        김지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0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에 대한 초등하교 학생들의 태도와 인지도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선행 연구들을 분석, 종합하여 후속되는 관련 연구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대상에 대한 광범위한 검색을 하였으며, 선정된 자료는 분석을 위하여 코딩되었다. 자료의 특성상 빈도분석, 주제별 기술, 그리고 관계분석과 같은 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초등학교 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 또는 인지도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주로 학술지와 학술대회 논문을 통하여 발표되어져 왔다. 주된 연구대상의 연령층은 3학년이상 즉, 11세 이상의 학생들이었다.

      • KCI등재후보

        이공계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과 효율적인 지도 방안 모색 - 영남대학교 「명저 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김지숙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29 N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by each major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hich are alienated from the previous college division by way of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writing course. And then, this study is to seek for an efficient teaching plan for the learner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course.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582 students of 7 colleges and 3 faculti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ho attend the writing courses in Yeungnam University.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is to suggest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and improvement plan. Most of them have a negative opinion about the writing course more or less. However, in view of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they have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teaching method of the courses, by which they think that the courses are of much benefi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pelling system,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and critical writing 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by way of writing. In addition to this, they demand the contents of practical writhing like cover letter and increasement in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by way of various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rainstrorming, mind map,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by way of various areas which are not confined to writing itself, which means that they look upon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as important. 이 연구는 기존의 계열 구분에서 소외되었던 이공계의 전공별 특성과 요구 분석을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해 이를 바탕으로 이공계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효율적인 글쓰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남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고와 표현 영역에 대한 강좌인 ‘명저 읽기와 글쓰기’를 수강하는 7개 단과대학과 3개 학부의 대학생 582명의 이공계열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해 교과목의 개선점과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그 결과 이공계 학생들 대부분은 글쓰기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었지만 글쓰기 능력 향상이라는 점에서 교과목의 수업 방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세부적으로는 이로 인한 맞춤법의 이해, 논리적‧비평적 글쓰기, 글쓰기를 통한 사고 배양 등의 유익한 점을 밝히고 있었다. 또한 읽기, 토론․발표,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시청각 자료 활용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글쓰기에 국한된 수업이 아닌 다양한 영역과의 연계를 통한 자기 표현 증대와 자기소개서, 보고서와 같은 실질적인 글쓰기 요구가 높았는데 이공계 학생들이 의사소통과 실용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교과목에 대한 긍정적 인식 고양, 다양한 독서법을 통한 글읽기의 시각화, 명저의 내용과 실생활의 관련성을 높힌 자기 표현 증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학습자 개인에 맞춘 단계별 첨삭’을 효율적인 지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의 ‘발명교육’ 영역의 연계성 분석

        김지숙,정진우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ertical connectivity of 'invention education' area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subjects of analysis,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documents, three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hre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thre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high school were select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ontents, the 'invention education' area was classified into four areas and 27 sub-contents. When the equal level of contents was shown in the level of school, it was considered as 'repetition'. In case when learning contents were omitted or upper-class learning was impossible, it was considered as 'gap'. In case of intensification/expansion, it was considered as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ke below. Regarding the connectivity of understanding of invention and actual area of invention, the 'repetition' was the most as 57.1% and 63.6% respectively while also showing the contents of 'development' as ‘28.6% and 36.4% respectively. The use of invention had no contents of 'development' while showing the most 'gap' as 62.6%. The invention and career area showed the contents of development as 100%. Regarding the overall connectivity of 'invention education' area within textbooks of practical arts for elementary school,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or middle/high school, the 'repetition' was the most(51.9%) while the contents of 'development' and 'gap' were 25.9% and 22.2% respectively. Overall, it shows the insufficient connectivity of the curriculum.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rriculum to increas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also to establish the connectivity for the level of each school through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connectivity of 'invention education' area.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 ‘발명교육’ 영역의 내용 분석을 통해 교과과정의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국가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와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연계성 분석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도출한 준거 틀에 의해 교육 과정 내 학습 내용이 학교급간 동일한 수준이면 ‘반복’, 학습 내용이 누락되었거나 상위 학습이 불가능하면 ‘격차’, 심화‧확대가 이루어졌으면 ‘발전’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명의 이해, 발명의 실제 영역의 연계 정도는 ‘반복’이 각각 57.1%, 63.6%로 가장 많았으나 ‘발전’된 내용도 28.6%, 36.4%로 나타났다. 발명의 활용은 ‘발전’된 내용은 없었으나 ‘격차’가 62.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발명과 진로 영역은 발전된 내용이 100%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기술‧가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내 ‘발명교육’ 영역의 전반적 연계정도는 ‘반복’이 51.9%로 가장 많았고, ‘발전’과 ‘격차’ 된 내용이 각각 25.9%, 22.2%로 나타나 교과과정이 전반적으로 연계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명교육’ 영역에 대한 연계성 분석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학습자들의 교과 학습 질을 높이고 학교급별 연속성을 마련하기 위한 교과과정의 방향 제시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