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pellent efficacy of essential oils and plant extracts against Tribolium castaneum and Plodia interpunctella

        Lee Hwa‐Eun,Hong Su Jung,Hasan Najmul,Baek Eun Joo,Kim Jun Tae,Kim Young‐Duk,Park Mi‐Kyung 한국곤충학회 2020 Entomological Research Vol.50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ellent efficacy of essential oils (Origanum vulgare, Pimpinella anisum, and Tanacetum cinerariifolium) and four plant extracts (Agastache rugosa, Capsicum annuum, Citrus reticulata, and Ginkgo biloba) against Tribolium castaneum (adults and larvae) and Plodia interpunctella (larva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carvacrol, anethole, and jasmolin I as the predominant constituent in O. vulgare, P. anisum, and T. cinerariifolium, respectively. Furthermore, ethyl hexopyranoside, 9,12‐octadecadienoic acid, cyclopentanol, and 2‐cresol were identified in A. rugosa, C. annuum, C. reticulata, and G. biloba, respectively. The repellent efficacy of each essential oil, plant extract, and the combination of oils was evaluated using a specially designed cylinder trap for 120 h. Among the three oils, O. vulgare and T. cinerariifolium had greatest repellent efficacy against P. interpunctella larvae. T. cinerariifolium exhibited effective repellence against the adults and larvae of T. castaneum. Therefore, O. vulgare (O) and T. cinerariifolium (T) were sele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combined effects. Two essential oils were mixed in three different ratios of OT1 (1:3), OT2 (1:1), and OT3 (3:1). The repellent efficacies of OT1 and OT2 against the adults of T. castaneum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OT3. OT1 was effective against the larvae of T. castaneum, whereas OT2 was effective against the larvae of P. interpunctella. OT1 enhanced the repellent efficacy by approximately five times against larvae of T. castaneum, compared with that of T. cinerariifolium. Overall, OT1 was selected as the best repellent substance against all the tested insects.

      •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 Bortezomib치료 후 발생한 마비성 장폐색증 1례

        김준영,이원식,손창학,박성길,진한영,박석주,조영완,정은욱,강명주,박정하,주영돈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Bortezomib is the first clinically available proteasome inhibitor that is clinical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A proteasome inhibitor acts through multiple mechanisms to arrest tumor growth, tumor spread, and angiogenesis. The main adverse effects of bortezomib are gastrointestinal symptoms, cytopenia, fatigue, and peripheral neuropathy. To date, severe paralytic ileus has not been reported as a toxic effect of bortezomib treatment in multiple myeloma. Bortezomib is a novel agent that has only been used clinically for 30 months, so a need exists to further evaluate its toxicity. We report a case of grade Ⅲ (NCI CTCAE v3.0) or grade Ⅳ(SWOG toxicity criteria) paralytic ileus in a 65-year-old man with relapsed multiple myeloma who underwent one cycle of single-agent bortezomib treatment scheduled in a 21-day cycle (1.3 mg/㎥ as a single i.v. bolus on days 1, 4, 8, and 11).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규모 디자이너 부띠끄에서 관련변수들의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대한 인과적 관계

        박은주 服飾文化學會 2002 服飾文化硏究 Vol.10 No.5

        Impulsive buying behavior is an important aspect of consumer behavior and is of significant interest to researchers and retail management alike. It is a familiar form of in-apparel store behavior because of it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impulsive and non-impulsive buying behavior,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impulsive buying behaviors in boutiques.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45 boutiques customers in Busan, Korea. Demographics showed that consumers were more educated and had higher incomes than average consumers in Korea. Data was analysed by discriminant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lothing involvement"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determined impulsive buying behavior. "Self-monitoring" proved negatively influencing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in boutiques. Consumers with low interest in apparel reacted positively to the in-store purchasing situation, and did negatively to their affective factors. As a results, they provided the useful information for consumer behavior researchers and boutiques retailers.

      • KCI등재후보

        의류제품의 소비감정에 대한 구조 분석

        박은주,소귀숙 服飾文化學會 2003 服飾文化硏究 Vol.11 No.2

        The pusrop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onsumption emotions that consumer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consuming apparel products. Data was collected form 144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Busan, and analyzed by salience, diversity, H-index, Cramer's V,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showed as following; 1. The consumption emotions related to apparel products appeared three dimensions; 'Relaxed-tense' dimension, 'Pleasant-unpleasant' dimension, and Outward-inward' dimension. Considering elements of consumption system, the dimension s of consumption emotions in relation to apparel performances were 'Pleasant-unpleasant' and 'Outward-inward'. The dimensions of consumption emotions experienced in usage situations were 'Relaxed-tense' and 'pleasant-unpleasant'. The consumption emotions related to specific products were composed of 'pleasant-unpleasant' dimension and 'Outward-inward' dimension. 2. As the multi-dimension map of this study has much space, it suggested that the scope of consumption emotions related to apparel products was more limited than those related to general situations and products. 3. The structure of consumption emotions in relation to apparel performances appeared to be bisected, while those related to usage situations showed relatively to be dispersed. 4. Although Pleasant-unpleasant dimension was consistent with results of prestudies, the dimensions of 'Relaxed-tense' and 'Outward-inward' were newly confirmed as the dimensions of consumption emotions related to apparel products. Therefore, consumer's consumption emotions of apparel products we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tended to be more limited than those of general consumption situations and products, and differentiated across apparel performances, usage situation, and specific products.

      • 해동 대구살의 저온저장중 생균수와 맛의 변화 및 Microflora의 변화

        박찬성,주은영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Frozen cod fillet block(7.0 x 4.6 x 0.6cm, 18 0.5g) was purchased from a supermarket in Taegu area. Three experimental groups of cod fillet, frozen-thawed cod fillet refrigerated at 5℃(R). frozen at -20℃(F) and repeated freezing and refrigerating(RFR) every other day, were incubated at each temperature, Changes in the aerobic plate counts(APC) and coliform bacteria of cod muscle during cold storage were investigated.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f frozen-thawed cod fillets were studied at each temperature. The APC and coliforms of frozen-thawed cod fillet immediately before cold storage were 6.5xl0⁴, l.gxlO²CFU/g of muscle, respectively. The APC of cod muscle R and RFR exceeded 10의7승 CFU/g within 8 days and 16 days. respectively, while that of cod muscle F were not exdeeded 10의7승 cells/g through the storage period. The coliforms of cod fillet R reached at 3.9xl0의6승 CFU/g of muscle after 16 days of refrigerated storage. The coliforms of cod fillet RFR reached at 3.7X10의6승 CFU/g of muscle after 24 days of storage while coliforms of F were less than 10³CFU/g of muscle through 46 days of frozen storage. The sensory shelf-life of cod fillets decreased linearly as APC increased. Cod fillets taste of R and RFR were unacceptable after 8 days and 20 days of storage, respectively, while frozen cod muscle (F)was acceptable 46 days of storage period. Among 30 islates of colifoms from cod muscle. 67% were isolated from R, 20% were from RFR and 13% were from F. Major isolates of coliforms were Klebsiella aerogenes(70%) and Citrobacter freundii(10%) while Escherichia coli was not islated. 20% of isolated conforms were unidentified.

      • KCI등재후보

        의복 구매 의사 결정에 관련된 소비 비젼에 관한 연구

        박은주 服飾文化學會 2002 服飾文化硏究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vision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They propose that consumers form mental images of future consumption situations and that these consumption visions influence their decision-making. Consumers can imagine themselves consuming apparel products and experiencing the consequences of this consumption. By imagining the likely outcomes, they are able to identify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each alternative and develop beliefs about their outcomes. Also, they can experience affective reactions to the outcomes they imagines. In this way, they form the cognitive and affective basis for their preferences and construct several consumption visions in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rking. A consumption vision is "a visual image of certain product-related behaviors and their consequences....(they consisted of) concrete and vivid mental images that enable consumers to vicariously experience the self-relevant consequences of product use"(Walker & Ilson, 1994) We conducted unstructured, depth interviews with 9 groups participating 48 students at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 visions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are characterized as self-image, reactions of others, affection and mood, visual imagine, and self-satisfaction. By constructing consumption visions based on the various perspectives, consumers are influenced in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Many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positive affect when imagining positive outcomes of product use. Other subjects mentioned using consumption visions for purely hedonic reasons. With no intention of purchasing apparel products, consumers may evoke consumption visions to escape from the daily life, to fantasize and daydream about pleasurable consumption situations, and to enhance the mood. That is, the consumption vision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helps consumers anticipate an uncertain future and make the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consumers may evoke consumption visions to escape from the daily life, to fantasize and daydream about pleasurable consumption situation, and to enhance the mood. That is, the consumption vision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helps consumers anticipate an uncertain future and make the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학업성취 실태조사

        박성우,김용욱,김은숙,이대식,우정한,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13

        오늘 날 장애 학생들의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질적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지식과 기능의 양자 모두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으나, 기능 습득에 대한 관심에 비해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직ㆍ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미온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다행히 지난 3년간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검사 조정방법이나 이와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학생들의 학습권과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합리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반해 발달 장애학생들의 경우 여전히 평가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가 모든 장애인들의 학습권과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이유로든 학생들이 자신의 학업성취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고, 학교 또한 국가의 정책에 부응하여 학생들이 공평하고도 적절한 평가기회나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할 의무가 있다. 특히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지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평가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런 이유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어서는 안 되며, 개인의 욕구와 장애 특성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이 지속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본 전제하에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련인들의 인식 수준을 우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대안적 접근을 위한 연구 설계를 구안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고, 7차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발달장애학생들의 수준별 단계에 따른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함으로써 협의로는 기존의 서술식 형태의 주관적 평가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계량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광의로는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향후 8차 교육과정 개정시 목표 달성도에 따른 과제 난이도를 조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즉, 인식조사와 학력성취 실태 조사로 구분되며, 직접적인 상관관계보다는 간접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먼저 인식 조사는 다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 평가 실태와 검사조정 형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참여, 검사조정의 필요성과 결과 기대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 단위의 초ㆍ중ㆍ고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일반교사 560명, 특수교사 753명, 일반학생 부모 543명, 장애 학생 부모 749명, 일반학생 547명 총 3,152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기본교육과정을 통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전국의 정신지체와 정서장애 특수학교 79개교가 참여하였고, 평가 문항은 7차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서 체계에 따라 제작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업성취도 평가실태 발달장애학생들의 일반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먼저 평가 경험에 있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부분적 혹은 모든 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하는 평가 방법은 관찰에 의한 것으로 매 수업시간 마다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평가시 발달장애학생들의 다양한 반응과 평가 기준의 모호함에 따른 애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교사들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재 학급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평가도구의 적합성에도 문제를 제기하였다. 평가 책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및 교과담당 교사를 포함한 협력 팀 접근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교사보다는 부모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평가에 대한 기술방법은 생활기록부에 서술적 표현이 가장 많았고, 결과는 생활통지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알림장이나 가정통신문의 활용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가정과의 협력체제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평가 결과 또한 장애 학생의 독특한 개인차에 따른 해석의 부적절성으로 인해 개인의 교육적 성취 정도를 그다지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검사조정 발달장애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검사조정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시형태에 있어서는 초등부의 경우 제시형태지시문의 구조화와 특정 단어에 대한 단서 제시가 효과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는 대독을 통한 제시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반응형태에 있어서도 초등부는 오지 선다형을 사지선다형과 같은 반응양식의 조절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구두응답(대필)을 통한 평가형태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검사시간 조정에 있어서도 초등부의 경우 평가시간을 분할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난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평가의 분할실시보다는 평가 기술에 대한 사전 교수를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검사환경에서도 초등부는 평가도우미의 배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도우미 배치보다는 독립공간에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 과정에 따른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이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할 점은 연구결과에도 제시한 바 있듯이 검사조정에 대한 반응은 복수응답의 양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몇 가지 하위 영역은 가장 우선순위와는 응답률에서 다소 차이가 나고 있으나, 그다지 확연한 차이로 보기에는 힘들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계적 유의성을 별도로 검증하지 않는 이상 어떤 검사 조정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명백하게 구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조정에 대한 현재의 결과들은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을 위한 대안적 평가를 설계하는데 있어 매우중요한 정보원이 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집단간 설문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시 필요한 교과로는 국어와 수학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등부의 경우 교과 외 필요한 영역으로 의사소통능력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사회성 영역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 과정 모두 평가 시기는 2학기말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모든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는 동의 하고 있었으나, 평가활용에 있어서는 과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초등부와 고등부의 경우 평가 활용을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수준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의 경우 성취도 평가의 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전 과정 모두 평가 접근 시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문항을 구성한 뒤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평가 후 공개 정보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과목별 흥미도나 선호도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 대부분의 교사나 부모 및 일반학생들이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를 앞서 논의한 평가의 일반적 실태와 관련지어 종합해 보면 이는 반응확인 형태 즉, 설문지의 특성에서 귀인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결과와 평가의 부적절성, 평가활용, 평가 빈도, 평가의 동등 비교 불가 등을 연관시켜 종합하여 볼 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은 응답자의 신념보다는 보편적인 윤리적 측면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맡으며,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더불어 이들 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을 위한 여러 가지 대안적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동시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4. 검사조정의 필요성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 상세히 영역별로 기술되어 있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있어 전 과정별로 유사한 반응 양식이 나타났다. 다시 말해 과정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검사조정의 공평성과 타당성, 검사조정에 대한 기회제공, IEP내 검사조정 내용의 포함, IEP 회의시 부모와 장애학생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검사조정의 결정 주체는 특수교사의 단독 결정보다는 IEP 팀에서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조정된 점수에 대한 편견 또한 그다지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정 점수를 일반학생들의 원점수와 함께 비교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 회의적이었고 특히 검사조정과 성취목표와의 일치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유용한 검사조정의 제공에 대해서는 우호적임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가 곧 발달장애 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다시 말해 대다수의 교사나 부모 및 일반학생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본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윤리적인 측면에서 피상적으로 동의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난 평가 결과에 대해 그다지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달장애학생들의 개인적 능력을 고려한 보다 실제적 인 접근이 필요함을 반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검사조정을 통한 결과 기대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기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경향과 마찬가지로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기대에 대한 반응 또한 전 과정에 걸쳐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절한 검사 방법의 조정을 통해 학생들이 평가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하고, 현재보다 평가에 대한 흥미와 용이성을 통해 좌절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나 문제이해력, 문제해결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도움 청하기의 빈도 향상으로 인해 평가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또한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시 검사조정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학업성취 실태 전국의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 특수학교 79개교를 대상으로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학업성취 실태를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학생들이라 할지라도 학년이 올라 갈수록 학업수행능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은 지능 외에도 생활연령이나 개인의 학습에 대한 직ㆍ간접적 경험과도 밀접한관계가 있음을 신빙성 있게 지지해주고 있다. 즉, 수행상황 평가의 그래프에서도 쉽게 알 수 있듯이 초등부 저학년과 초등부 고학년, 그리고 중학부와 고등부의 과정별 차이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초등부 3학년과 초등부 4학년, 초등부 6학년과 중학부 1학년, 중학부 3학년과 고등부 1학년 사이에서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가 동일한 과정내의 학년간 차에 비해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성은 발달장애학생들의 생활연령 증가에 따른 경험 기회의 확장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쉽게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경향성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 기본 교육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의 경향성은 50%정도를 선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위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은 학교 교육 외에도 개인의 외적 환경과 경험의 정도 그리고 적절한 교수의 제공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이에 발달장애학생들이 보다 손쉽게 그리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과제 제공과 더불어 검사조정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를 통해 기본교육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재점검할 경우 현재보다 유익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한 체계적인 평가도구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찰이나 자작 검사지, 체크리스트, IEP 등을 통해 발달장애학생의 학업 성취도 점검을 위한 현장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노력과 열정에 비해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실적으로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이 모순적일 수 있으나 이들이 장차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능과 학습 중 어느 하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은 평가 기회의 공평성과 더불어 이들이 장차 성인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그리고 개인의 능력에 부합된 최소한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노력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이다. 이에 전술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경우 이미 연구의 제한점에서도 밝혔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인식과 학력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은 살펴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들이 장애 개개인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발달 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의 능력과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집단 내에서의 성취 정도가 곧 장애 개개인의 성취정도나 기대의 척도가 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성취도 점검을 위한 기본 통계자료로서 고려될 때 보다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평가의 기회를 보다 공정하게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가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전환이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이미 드러나 있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많은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평가의 가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경향이 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에게 어떤 평가가 유용한지를 명확하게 구명해 주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도 평가 자체에 대해 회의적일 수도 있으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발달장애학생들의 공평한 평가권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한 노력은 특정 계층이나 부류에 의해 한정적으로 논의되거나 결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민주주의의 평등권과 인본주의적 철학에 기초하여 국가 차원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목적 재정립과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가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개인간 차를 명료화시키는데 적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개인간 차의 분류를 위한 평가는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전혀 무익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적 접근은 개인내차에 초점을 두고 학생의 능력과 욕구에 근거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검사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어떠한 검사 조정의 제공이 장애 개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역동적인 실천 또한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어떠한 평가 체제를 적용한다손 치더라도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며, 아무리 효과적 인 평가 도구로 판명이 나도 어떤 개인에게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기존의 평가 체제로서는 자신들의 학업성취 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 받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의 평가기회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평가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경우 비록 그 타당성이나 신뢰도에 있어서는 적지 않는 도전을 받을 수도 있으나, 기존의 기술식 또는 서술적 평가 접근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계량화하였다는데 그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학생들에게도 적절한 평가적 접근이 이루어질 경우 그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누가적으로 점검할 수 있음을 반증하고 있으며, 이에 교육과정 중심 평가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 접근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대안적 평가의 결과 또한 발달장애 개개인의 독특성을 전적으로 보상하리라 기대하기 힘들지만 어떠한 대안적 평가가 효과적인지를 밝힘으로써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적 접근에 대한 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대안적 평가를 중심으로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적 접근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to examine the level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urriculum achievement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survey most respon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However, due to obscurity of test standards, discord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s, school factors, absence of appropriate tests, assessing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main still superficial and perfunctory. The respondents presented negative opinion about using general test method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however,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using modified tes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Second, in the overall context, the tendency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alls at about 50% of basic curriculum. As they proceed to higher grades their academic achievement also increased.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make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when more accessible and motivating tasks, test modifications, and alternate tests are provided. Through this study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the level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urriculum achievement tests were investigated.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should lead to the consideration of accountability on school education and individual student's right to learning. Despite there is no appropriate systematic tests to evaluate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 the field has been exerting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observation, teacher made tests, checklists, IEP and so on. There can be contradictions in approaching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general perspectives, however, they need compulsory basic academic ability as well as functional skills in order to live in community as an independent adult citizen. In the same contex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tests but also on improving compulsory academic ability appropriate for individual student's ability.

      • 온쓸개관을 묶은 집토끼 위날문점막의 미세구조 연구. : Ⅰ. 날문부 표면점액세포 Ⅰ. Pyloric Surface Mucous Cell

        박경호,오승종,고정식,안의태,박대균,정은주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normal pylorus mucos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he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of the rabbit. Common bile duct ligation probably causes the dysfunction of the pyloric surface mucous cells that results in delayed mucous formation and secretion, but recovered mucous secretory activity is recovered on the late stages.

      • KCI등재

        의류소매업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여눅 : 상점 성과 만족도, 공급원 선택기준, 정보원 사용을 중심으로 Satic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Vendor Selection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朴銀珠,이설란 服飾文化學會 1998 服飾文化硏究 Vol.6 No.4

        A apparel retail buy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arket by providing apparel products for consumers and acting as an specialist who selected the vendor and decided the apparel product asso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endor seletion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used by retailers and the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pretest. Data were collected from 237 retailers for women's apparel living in Pusan. Results indicated that they didn't significantly relate among the vendor seletion criteria, information sources and the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except the harmony of buying products and existing products. Only the age and the buying experience showed significance in relation to demographics of apparel retailers among the vendor seletion criteria, information sources and the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The information source affected the vendor seletion criteria was the street fashion, the appearel fo entertainers, the other apparel buyer, and the owner of production. The findings had implications foar retailers as well as for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