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wo Separated Ileal Adenocarcinomas in Neurofibromatosis Type 1

        황보설,김지연,김현,김종옥,강창석,이혜경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7 Yonsei medical journal Vol.48 No.6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1 (NF-1) have increased susceptibility to a variety of malignancies. Here, we document a rare case of two separated ileal adenocarcinomas in NF-1. The adenocarcinomas were surrounded by a diffuse tubular adenomatous lesion of the mucosa, and ganglion cells were scattered in the NF background. We found this case meaningful for several reasons: two separated adenocarcinomas arising in an unusual ileal segment, the association with precancerous tubular adenoma, and the presence of ganglion cells, which suggests ganglioneuromatosis in NF-1.

      • KCI등재

        Therapeutic Potential of Human Adipose Stem Cells in a Rat Myocardial Infarction Model

        황보설,김종옥,허성호,조혜경,이종호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0 Yonsei medical journal Vol.51 No.1

        Purpose: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expected to have good effects in the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MI). We tested the effect of the transplant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cells (ASCs) in Sprague-Dawley (SD) rats with myocardial infarctions. Materials and Methods: ASCs were isolated from the waste of elective abdominal surgery. The MI model was set up in SD rats by permanent 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One week after MI, either 1 x 106 ASCs or an equal volume of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was injected into the infarct zone. Cardiac function was assessed by echocardiography, 1 day, 1 week, 2 weeks, and 4 weeks after treatment. Four weeks after transplantation,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Results: Left ventricular function, including fractional shortening (FS), and ejection fraction (EF)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SCs transplantation group compared to the PBS group 4 weeks after treatment (p < 0.05). The anterior wall thickness of the left ventricle was significantly thicker in the ASCs transplantation group compared to the PBS group (p < 0.01). Multiple troponin T staining, and irregular, small amounts of connexin 43 expression also was observed in the ASCs transplantation group. Infarcted myocardium showed higher capillary density in the ASCs transplantation group than in the PBS injected group (p < 0.01).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ncouraging evidence that transplantation of ASCs can improve cardiac function of infarct myocardium in rat models with a limitation of cardiac remodeling, improved wall thickness, and increased neovascularization.

      • KCI등재

        폐 방선균증: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후 영상 소견의 연구

        김수정,송선화,황보설,박현진,김현숙,김기준,김효림,박석희 대한영상의학회 200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8 No.5

        목적: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으로 폐 방선균증의 진단 소견과 치료 후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 이에서의 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폐 방선균증으로 병리 진단된 환자 중 CT를 시행한 10명의 임상기록과 CT 소견 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원 당시 CT에서 폐병변의 분포와 양상, 흉막과 흉벽의 침범 여부, 림프절염 여부를 알아보았다. 추적 CT에서 항생제 치료 후 폐병변의 변화와 새로운 병소의 유 무, 수술 후 재발 병소의 유무를 알아보았다. 결과: 10명 중 7명이 알코올중독자였고 9명이 남자였다. 진단시 모두 단일 폐병변이었고 흉벽 침범은 없었으나 20%에서 폐병변의 엽간을 통한 확장이 보였다. 폐 주변부가 70%였고 폐병변 주위의 흉막비후가 70%에서 보였다. 기강 경화(n=6)나 종괴(n=4) 형태로 보였으며 내부에 중 심성 저음영과 주변부 조영증강이 70%에서 보였다. 항생제 사용 후 추적 CT(n=7)에서 4예가 폐병변의 경미한 호전이나 악화를 보였으며, 3예가 폐병변의 소실이나 호전을 보였다. 내부의 저음영 부위의 호전은 기강 경화나 종괴의 호전 정도와 관계가 있었으며, 폐병변의 소실(n=2) 뒤 섬유화 소견을 보였다. 한편, 항생제 치료 기간과 치료 반응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폐 수술 후 추적 CT(n=4)에서 1예가 흉벽 침범을 보였으며 두꺼운 흉막비후를 동반하였다. 결론: 이러한 소견은 폐 방선균증의 진단과 항생제 치료 반응 평가, 합병증 발생 여부 및 수술 후 재발 평가에 CT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유방촬영상에서 보이는 구조 왜곡의 초음파 소견

        마정현,강봉주,차은숙,황보설,김현숙,박창숙,김성헌,최재정,정용안 대한초음파의학회 2008 ULTRASONOGRAPHY Vol.27 No.2

        PURPOSE : To review the sonographic findings of various diseases showing architectural distortion depicted under mamm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We collected and reviewed architectural distortions observed under mammography at our health institution between 1 March 2004, and 28 February 2007. We collected 23 cases of sonographically-detected mammographic architectural distortions that confirmed lesions after surgical resection. The sonographic findings of mammographic architectural distortion were analyzed by use of the BI-RADS lexicon for shape, margin, lesion boundary, echo pattern, posterior acoustic feature and orientation. RESULTS : There were variable diseases that showed architectural distortion depicted under mammography. Fibrocystic disease wa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n = 6), followed by adenosis (n = 2), stromal fibrosis (n = 2), radial scar (n = 3), usual ductal hyperplasia (n = 1), atypical ductal hyperplasia (n = 1) and mild fibrosis with microcalcification (n = 1). Malignant lesions such as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n = 2), lobular carcinoma in situ (LCIS) (n = 2), invasive ductal carcinoma (n = 2) and invasive lobular carcinoma (n = 1) were observed. As ovserved by sonography, shape was divided as irregular (n = 22) and round (n = 1). Margin was divided as circumscribed (n = 1), indistinct (n = 7), angular (n = 1), microlobulated (n = 1) and sipculated (n = 13). Lesion boundary was divided as abrupt interface (n = 11) and echogenic halo (n = 12). Echo pattern was divided as hypoechoic (n = 20), anechoic (n = 1), hyperechoic (n = 1) and isoechoic (n = 1). Posterior acoustic feature was divided as posterior acoustic feature (n = 7), posterior acoustic shadow (n = 15) and complex posterior acoustic feature (n = 1). Orientation was divided as parallel (n = 12) and not parallel (n = 11). There were no differential sonographic finding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ed various sonographic findings of mammographic architectural distortion and that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depicted under sonography. Pathological confirmation is needed for mammographic architectural distortion. 목적 : 유방촬영상에서 보이는 구조 왜곡의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 초음파에서 보이는 구조 왜곡 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건강검진에서 시행한 유방촬영상에서 구조 왜곡 의 소견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초음파 검사에서 구조 왜곡에 해당하는 부위에 확인되는 병변이 있으며, 외과적 절제를 통하여 확진 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 여 유방촬영상에서 나타나는 구조 왜곡의 초음파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 소 견은 BI-RADS 지침에 따라 모양(shape), 변연(margin), 병변 가장자리(boundary), 에코 양상(echo pattern), 후방에코소견(posterior echo feature) 및 방향성(orientation)에 따라 결과 : 유방촬영상에서 구조 왜곡을 보이고 초음파에서 확인된 경우의 진단은 다양하였다. 조직병 리소견은 섬유낭종성 변화 6예, 선증(adenosis) 2예, 기질성 섬유화(stromal fibrosis) 2예, 방사상 반흔(radial scar) 3예, 관내 증식증(usual ductal hyperplasia) 1예, 비정형 관상피 증식증(atypical ductal hyperplasia) 2예, 경한 섬유화와 동반된 미세석회화 1예 등의 양성 질환과 소엽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 2예, 관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2예, 침윤성 관상피암(invasive ductal carcinoma) 2예 및 침윤성 소엽암(invasive lobular carcinoma) 1예 등의 악성 병변이었다. 초음파 소견은 모양의 경우 불규칙한 모양의 22예 와 원형의 1예였으며, 변연은 국한성(circumscribed) 변연 1예, 불분명한(indistinct) 변연 7 예, 각진(angular) 변연 1예, 미세소엽형(microlobulated) 변연 1예 및 침상형(spiculated) 변연 13예로 나타났으며 병변 가장자리는 11예의 갑자기 끝나는 가장자리면(abrupt interface)와 12예의 에코성 테두리(echogenic halo)로 보였다. 에코 양상의 경우는 20예에서 저에코를, 각각1예의 무에코, 고에코 및 동일에코를 보였다. 후방에코소견의 경우 후방음향소견이 없는 경우가 7예, 후방음영(posterior shadowing)이 15예, 복합(combined pattern) 후방음향의 경우가 1예였고 방향성은 평행한 방향성(parallel orientation)을 보이는 경우가 12예, 평행하지 않은 방향성을 보이는 경우가 11예였다. 이 중 양성과 악성을 감별하는데있어 유의하게 의의 있는 소견은 없었다. 결론 : 유방촬영상에서 보이는 구조 왜곡의 다양한 초음파 소견을 알게 되었고, 초음파 소견으로 구조 왜곡의 양성과 악성을 구별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초음파에서 나타나는 구조 왜곡에 해당하는 병변의 소견에 관계없이 외과적 절제로 조직 병리를 확인하는 것이 추천된다.

      • KCI등재후보

        원장 미부 낭종 1예

        김신선,김지연,이혜경,황보설,김정구,이동호,유영경,안창준 대한대장항문학회 2005 Annals of Coloproctolgy Vol.21 No.2

        The tailgut is a blind extension of the hindgut into the tail fold just distal to the cloacal membrane. Remnants of this structure may form a tailgut cyst. This is prone to infection and chronic fistula formation and has a long-term risk of malignancy. Non-recognition and incomplete treatment leads to morbidity. A twenty one 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with repeated perianal pain and discharge. Preoperative abdominopelvic MRI and endorectal ultrasonography revealed a retrorectal cyst suggestive of a tailgut cyst. She underwent a complete excision of the retrorectal mass through a presacral approach. She recovered uneventfully. This report includes the case and a brief review of tailgut cysts.

      • KCI등재

        Imaging Findings of Midgut Volvulus Associated with a Large Small-Bowel Diverticulum in an Adult Patient: Case Report

        김지영,나성은,오순남,황보설,변재영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5

        Although most patients with jejunoileal diverticulum are asymptomatic, a large, small-bowel diverticulum can be associated with midgut volvulus in an adult. We present a rare case of midgut volvulus that was associated with a large, small-bowel diverticulum in a 77-year-old woman presenting with chronic recurrent abdominal pain. The CT showed the characteristic whirl sign of twisted mesentery, the small bowel loops along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d a large sac-like small-bowel diverticulum. A small bowel series also demonstrated a corkscrew appearance of proximal jejunum, a finding suggestive of midgut volvulus, and a large jejunal diverticulum. During the laparotomy, the small bowel was seen twisted counterclockwise 270°. The mesenteric root was very shortened. A 4 cm sized diverticulum was seen on the mesenteric border of jejunum, on the portion about 40 cm distal from the Treitz ligament. 대부분의 소장 게실은 증상이 없지만 성인에서 발견되는 커다란 소장 게실은 중장 염전과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만성 재발성 복통을 호소하는 77세 여자에서 발생한 커다란 소장 게실과 동반된 중장 염전의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상장간막 동맥을 따라 꼬인 장간막과 소장의 특징적인 와류증후(whirl sign)와 커다란 낭 모양의 소장 게실이 보였다. 소장조영술(small bowel series)에서도 중장 염전을 시사하는 소견인 근위부 공장의 코르크 따개 모양(corkscrew appearance)과 커다란 공장 게실이 보였다. 수술시 소장은 반시계방향으로 270°돌아있었고 장간막의 기저부는 매우 짧았다. 약 4 cm 크기의 게실이 트라이츠 인대(Treitz ligament) 40 cm 하방의 공장에서 발견되었다.

      • KCI등재

        뇌 확산텐서자기공명영상

        김현정,최충곤,이정현,양보성,강시원,이연수,김지창,황보설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3 No.4

        The development of MR imaging techniques during the past decade has enabled researchers to use MR imaging as a noninvasive tool for evaluating structural and physiologic states in biologic tissues by measuring the diffusion process of water molecules. More recently, diffusion tensor MR imaging (DTI) technique based on the dependency of molecular diffusion on the orientation of white matter fiber tracts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trajectory, shape, fiber structure, location, topology and connectivity of neuronal fiber pathways in living humans. Numerous efforts have been made by MR physicists, brain scientists, and medical doctors to advance MR techniques and computer-based algorithms which result in more accurate quantification of diffusion tensor and the generation of white matter fiber tract maps and to determine the pathophysiology of brain disease by DTI and useful clinical applications of DTI. In this article, we describe the tensor theory used to characterize molecular diffusion in white matter and a process of measuring tensor elements using diffusionsensitive MR images to fiber mapping. We then provide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and some clinical examples that have been published and are on-going. 자기공명영상 기술의 발전은 이미 해부학적 형태 묘사를 뛰어넘어 확산이라는 생리 상태를 보여주기에 이르렀고 이제 확산 현상을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뇌의 미세 구조인 신경 섬유를 그려 낼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이 가능해졌다. 더불어 신경 섬유의 발달과 퇴행 과정이 밝혀지고 있으며 구조에 따른 뇌기능의 연구에도 새로운 장이 열려 신비로운 뇌로 인류는 한발 더 접근하게 되었다. 신경섬유추적지도를 실제와 같이 구현하고자 하는 많은 자기공명 물리학자들의 기술적인 노력에서 뇌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뇌 과학자들의 연구, 그리고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하여 뇌 질환의 병태생리를 밝히고 유용한 임상적 쓰임새를 알아내려는 의사들의 연구에 이르기까지 확산텐서영상은 뇌 과학 분야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종설에서 확산텐서영상의 원리와 현시점에서의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지금까지 진행되어왔고 진행되고 있는 임상응용을 위한 여러 연구들을 살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