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방역정책의 생명정치이론적 분석

        한민지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論文集 Vol.47 No.3

        코로나19로부터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시행되는 모든 방역정책들은 국가권력이 인구의 생명을 관리하는 형태로 행사된다는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떠올리게 한다. 생명정치란 국가권력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사람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현상을 말한다. 팬데믹에서 이러한 전염병에 대한 공포와 혼란은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와 규율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신체에 국가권력을 침투시키고 그 전체 인구를 관리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 현상이 매우 강화된다. 따라서 생명정치 개념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잘 표현하는 주요한 개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이 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 글로서, 팬데믹에서 보여준 국가의 코로나19 대응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코로나를 더 잘 이해하게 하고, 전체 인구를 보호하고 도와 마침내 어떻게 살게 만들어 주는지를 푸코의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그동안 우리가 막연히 ‘팬데믹 위기상황’이라는 명목으로 국가가 우리의 일상까지 침범하여 규제·통제하는 것을 쉽게 용인한 것은 아닌지, 더 나아가 현 팬데믹으로 얻은 교훈과 반성으로 우리는 향후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등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Every Quarantine policy implemented under the title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from the COVID-19 reminds of Michel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that power is exercised in the form of state power managing the lives of the population. Biopolitics refers to the phenomenon mainly used for the state power to protect and manage the lives of the people under the needs of the times. Foucault states that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main operation method of power shifted from sovereign power to disciplinary power where power penetrates the individual’s body, and then to biopower which manages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s biopolitics refers to a form of politics that protects the wellness and lives of the population through the following two methods: disciplinary power that controls individual physical body and biopower that controls the entire population. Fear and chaos from such epidemics inject state power in the people’s body and facilitate manage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reby enhances the ‘biopolitics’ phenomenon. In other words, ‘biopolitics’ is a major concept expressing the COVID-19 pandemic era. Thus, this paper discusses how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can be appli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analyzes from Foucault’s perspective to find how the state’s responses to the COVID-19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COVID-19 better and protect the whole population. Although administration of biopower has been enhanced under the unavoidable pandemic situation, the state’s quarantine policies can not be justified. People’s horror is intensified under such national emergency, which facilitates use of public power by the state could result in the enlargement of state power.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whether we easily allowed the state to invade, regulate and control our day to day lives, and how we can handle a new virus in the future with the lessons and self-reflections learned from the current pandemic.

      • KCI등재

        Calcium peroxide-mediated bioactive hydrogels for enhanced angiogenic paracrine effect and osteoblast proliferation

        한민지,안정아,김정민,허동녕,권일근,박경민 한국공업화학회 2023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120 No.-

        Polymeric hydrogels have been extensively utilized as therapeutic vehicles for delivering cells or bioactivemolecules to enhance bone tissue regeneration. Among these factors, growing evidence demonstratesthat oxygen (O2) and calcium ions (Ca2+) play pivotal roles in bone repair and regeneration,including cell proliferation and vascularization. Herein, we report on gelatin-based bioactive matricesas dual carriers of O2 and Ca2+ for vascularized bone tissue regeneration. Bioactive hydrogels were preparedthrough a calcium peroxide (CaO2)-mediated crosslinking reaction. We demonstrated that thehydrogels have controllable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G0:300–1700 Pa).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hydrogels released Ca2+ in a sustained manner for two days (2.6–2.8 mM) and released O2 (DOmax: G7C0.5, 97.9% pO2; G7C0.25, 82.7% pO2; G7C0.125, 65.5% pO2), providingtransient hyperoxic conditions to cells in vitro. Notably, we found that our bioactive hydrogels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pre-osteoblasts (MC3T3-E1) and gen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growth factor (VEGF) from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n summary, our O2- and Ca2+-releasinghydrogels show potential as bioactive hydrogels for vascularized bone tissue regeneration.

      • 사회인지론에 근거한 낮병원 정신질환 입원환자 대상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효과평가

        한민지,이지연,이해연,한은경,최경순,김희선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21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27 No.1.2

        Mental illness such as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and depression have shown high prevalence of obesit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nutrition education has therapeutic effects on patients, however mentally ill patients rarely have opportunities of long term nutrition education. In this study,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was conducted.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received education program once a month during 18 months in a day hospital. Fifteen patients were includ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ttendance rat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attended the education more than 10 times showed weight loss, while the group less than 10 times showed weight gain. Five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gained weight during one year prior to the nutrition education, but showed weight loss during one year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attendance, the group of BMI≥30kg/m2 showed weight loss. Although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and did not obta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t confirm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for mentally ill patients.

      • KCI등재

        살생물제의 안전관리를 위한 유럽연합 법제에 관한 연구

        한민지,송동수 한국환경법학회 2017 環境法 硏究 Vol.39 No.3

        Die europäische Union konzentriert sich auf die Unteilbarkeit zwischen Menschen, Tieren und der Lebensgrundlage, wenn sie das Europarecht und ihre Politik in Bezug auf Chemie aufstellt. Dieser Inhalt ist in dem Ausdruck der Nachhaltigkeit zusammengefasst und dient als entscheidender Faktor für die Politik und das Gesetzgebungsverfahren des Chemikalien- rechtes der EU. Durch Skandale in Bezug auf Chemie, wie mit Gift belastete Eier, kann man es leicht verstehen, warum die EU diese Unteilbar- bzw. Nachhaltigkeit “im Kopf hat”. Das heißt, dass jedes Lebewesen der Erde zum Kreis des Lebens gehört und alles miteinander in einer Kette verbunden ist. Daher können Chemikalien, die wir aus Bequemlichkeit verwenden, für uns schädlich werden. Aus diesem Grund ist die Chemie ein zweischneidiges Schwert. Demzufolge ist es auf der Grundlage des Nachhaltigkeitsprinzip notwendig, Chemikalien zu verwalten und zu regulieren, um jedes Lebe- wesen, jede Erscheinungsform dieser Erde zu berücksichtigen. Europäische Chemikalienrechte, wie REACH und BPR stellen fest, dass der Zweck dieser Regelungen die Sicherstellung eines hohen Schutzniveaus für die menschliche Gesundheit und für die Umwelt ist. In der letzten Zeit ereignen sich Probleme in Zusammenhang mit den Biozidprodukten, da diese Biozidprodukte im Alltag weit verbreitet sind. Im Vergleich zu Industriechemikalien haben sie potenzielle hohe Gefahren. Die EU beschränkt folglich diese Biozidprodukte nach BPR stärker als die Industriechemikalien. In Korea wird der entsprechende Gesetzentwurf zur Regulierung von Biozidprodukten im Jahr 2017 eingereicht. In diesem Punkt ist die Durchsicht der Verordnung über Biozidprodukte der EU sinnvoll, da es vorausgesehen wird, dass das Rechtssystem der K-BPR der E-BPR ähnlich sein kann. Deswegen behandelt sich dieser Aufsatz das europäische Chemikalienrecht (insbesondere E-BPR), wodurch die Art und Weise der Erfüllung der K-BPR vorgeschlagen wird. 인간의 편의를 위해 사용해 온 살균제, 살충제 등의 살생물제가 생명의 연결망이라고 불리는 생태계를 통해 다시 우리에게 돌아오고 있다. 그야 말로 자연의 역습(逆襲)이다. 최근 살충제 계란사건을 비롯하여 화학물질과 관련해서 지속적으로 발생한 사고들은 인간, 동물 및 자연환경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유럽연합은 살생물제를 비롯한 화학물질의 관리정책 및 법제를 정립하는 데 있어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지속가능성에 기반 하여 인간, 동물, 환경을 아우르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화학물질을 관리 및 규제함으로써 유익(有益)과 유해(有害) 사이를 넘나드는 화학물질의 딜레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럽연합의 화학물질 관리 및 규제의 기본이념은 화학물질 관리 법제인 REACH와 BPR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REACH는 유럽연합의 환경규제에 발맞춰 유럽연합 이외의 국가에서도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가 신설되고 강화되는 등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ACH와 함께 유럽연합의 화학물질 관리법제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BPR은 살생물제 관리법제로 사전배려의 원칙에 입각하여 인간, 동물의 건강과 환경을 높은 수준에서 보호하고 회원국 간의 살생물제의 자유로운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제정되었다. BPR은 허가를 통해 목록에 등재된 살생물물질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등 REACH와 비교하여 그 규제강도가 더욱 강화되었는데, 그 이유는 살생물물질이 여타의 화학물질과 다르게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특성상 그 인체유해성이 REACH가 규제하고 있는 산업용 화학물질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잇따라 발생하는 화학물질관련 사고에 대비하고 특히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인체유해성 및 노출가능성이 높은 살생물제와 생활화학물질을 관리하기 위해 2017년 8월 16일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우리에게 있어 유럽연합의 REACH와 BPR을 관통하는 사전배려 및 지속가능성의 원칙은 살생물제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법률의 지향점을 어디에 두고 운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공하고 있다고 보여 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럽연합의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검토하고 BPR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관련 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물의 법적지위에 대한 민법 개정논의에 즈음하여 보는 동물보호법제 발전방향 -독일 동물보호법·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한민지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환경법과 정책 Vol.28 No.-

        On October 15, 1978, 44 years have passed since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promulgate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animal right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Animal Rights, which consists of 14 articles, “All animals are born with an equal claim on life and the same rights to existence(Art. 1)”, “All animals are entitled to respect(Art. 2. Paragraph 1)”, “Where animals are used in the food industry, they shall be reared, transported, lairaged and killed without the infliction of suffering(Art 9)”, “ Dead animals shall be treated with respect(Art. 13 Paragraph 1)” and so on. It is surprising that a declaration written almost half a century ago stipulates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animals from birth to even after death. Animals have been out of the status als object for a long time, mainl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Switzerland, and the scope of animal protection is also gradually expanding from vertebrates to decapods and cephalopods. This is because scientific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that not only vertebrates, but also lobsters and octopuses feel pain. Rather than the fact that lobsters feel pain,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how many animals are suffering in places that have not yet been scientifically discovered. In other words, the focus should be on the fact that, as peter Singer was saying put it, all animals should be able to benefit from the suspicion of the 'possibility' of suffering. However we can see that many things still depend on human choices. Animals tha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s can be 'companies' or 'animals used' depending on human choice. As a result, human attitudes toward animals are never fair or merciful, and are very anthropocentric. This is the reason why the civil law amendment bill for the de-objectification of animals, which is being discussed recently, is very welcome, but it feels like there is still a very long way to go. This is because, despite many changes in social, legal and policy aspects related to animal protection and welfare, human-centered thinking is still at the base of animal protection.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for domestic animal protection laws and policies, centering on Germany, which has become a domestic legislation, in the context of the civil law revision discussion. 1978년 10월 15일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가 세계 동물권 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animal rights)을 공포한 후 44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총14개 조문으로 이루어진 세계 동물권 선언은 “모든 동물은 태어남과 동시에 평등한 생명권과 존재할 권리를 갖는다(제1조).”, “모든 동물은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제2조 제1항).”, “동물이 식품업에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고통 받지 않도록 사육, 운송, 저장 및 도살되어야 한다(제9조).”, “동물의 사체는 존중하여 다루어야 한다(제13조 제1항).” 등을 정하고 있다. 거의 반백 년 전에 작성된 선언문에 동물의 탄생부터 심지어 죽음 이후에 이르기까지 동물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세계 동물권 선언이 공포된 이후 전 세계는 얼마나 변화했을까? 독일, 스위스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동물은 물건의 지위에서 일찍이 벗어났으며, 동물보호의 범위 또한 척추동물에서 십각류와 두족류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과학적 연구 결과가 쌓이면서 척추동물뿐만 아니라 바닷가재, 문어 등도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은 바닷가재가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보다는 ‘미처 과학적 손길이 닿지 않은 곳에서 얼마나 많은 동물들이 고통 속에 있을까?’ 에 대한 것이다. 즉, 피터싱어가 했던 말처럼 모든 동물은 고통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로 한정하여 현실을 살펴보면, 의심의 혜택은 고사하고 동물보호의 많은 부분은 여전히 인간의 선택에 좌우되고 있다.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동물은 인간의 선택에 따라 ‘반려동물’이 될 수도 있고 ‘이용동물’이 될 수도 있으며, 같은 동물이라고 할지라도 간택(揀擇)된 동물은 반려라는 틀 안에서 그렇지 못한 동물은 끔찍한 환경에서 죽을 날만 기다리고 있는 것이 다반사다. 결과적으로 동물에 대한 인간의 태도는 결코 공정하거나 자비롭지 않으며, 여전히 인간중심적이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동물의 비물건화를 위한 민법개정안이 매우 반가우면서도 아직 나아가야 할 길이 매우 멀다고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동물보호 및 복지와 관련하여 사회·법·정책적으로 많은 부분이 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중심적 사고가 동물보호 저변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동물에 법적 지위에 대한 민법 개정논의에 즈음하여 국내 입법례가 된 독일을 중심으로 국내 동물보호법·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 항흉선글로불린 (Thymoglobulin)과 Rituximab으로 치료한 C4d-음성 급성 항체매개 거부반응 1예

        한민지,박윤수,김채림,김진수,김재웅,신정호,김수현,유석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2013 中央醫大誌 Vol.38 No.3

        Antibody mediated rejection poses a continued challenge for long term graft survival in kidney transplantation. Based on the increasing evidence for the role of antibodies in allograft dysfunction and the strong correlation with C4d staining and donor specific antibody (DSA), antibody mediated rejection was defined as a triad involving the presence of DSA, positive C4d staining on the biopsy and histopathological evidence of antibody mediated injury (glomerulitis, peritubular capillaritis, and arteritis). However, several studies have discussed the presence of pathological evidence regarding antibody mediated rejection despite negative C4d staining. As a result, C4d-negative antibody mediated rejection has been added to the new diagnostic criteria at Banff 2011 meeting. Here we report a case of C4d-negative antibody mediated rejection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thymoglobulin and rituximab.

      • KCI등재

        스위스법에 따른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동향

        한민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Die Menschen selbst nannten sich "Krone aller Schöpfungen" und sahen alle Ökosysteme in diesem Rahmen. Hierbei bedeutet das Wort “Krone” einen Header mit übernatürlicher Kraft . Das Wort “Krone” impliziert, dass der Mensch und alle anderen Komponenten des Ökosystems hierarchisch angeordnet sind. Auf dieser Grundlage haben die Menschen die Beziehung zwischen Herrschaft und Unterworfensein fortgesetzt, die nie abgebaut werden könnten. Wenn man die sich Frage stellte: "Ist die herrschende Meinung, welche bisher in der menschlichen Gesellschaft aufrechterhalten wird, wirklich richtig und gerecht.?", Kann man nicht mehr antworten: "Natürlich." Menschen unterscheiden sich in der Entwicklung der Wissenschaft nicht von anderen Tieren, sie können anhand biologischer Systeme klassifiziert werden, und selbst wenn wir es zugeben, gehören sie zu „einer Familie von Orang-Utans oder Schimpansen''. Folglich ist der Mensch ein Produkt der Evolution und eine der Primatenarten. Mit weiteren Forschungen ist bereits offen geworden, dass die Ähnlichkeiten zwischen Menschen und Tieren, insbesondere solchen, die eine biologische Linie wie Menschen teilen, überraschend hoch sind. Dennoch haben nur noch Menschen das Recht körperliche und geistige Unversehrtheit zu besitzen . Der Mensch muss keine weiteren Anstrengungen unternehmen, um diese ihm eingeräumten Rechte geltend zu machen, und die Tatsache, dass die Wahrnehmung von Rechten "menschlich" ist, erfüllt die notwendigen und ausreichenden Bedingungen. Mit anderen Worten, Menschen haben Grundrechte, und Grundrechte sind Worte, die Menschen genießen können, und es wird beurteilt, dass die Sätze davor und danach im Wesentlichen dieselben sind. Wie oben erwähnt, ist es jedoch notwendig zu überdenken, ob dieser Satz in der gegenwärtigen Situation unter notwendigen und ausreichenden Bedingungen angewendet werden kann. In diesem Zusammenhang hat der Kanton Bern in der Schweiz über die Einführung der Grundrechte für Primaten in die Landesverfassung debattiert und diese Initiative wurde vom Verfassungsgericht für rechtlich gültig erklärt. Bis zur Einführung der Grundrechte für Primaten kann das noch ein langer Weg sein. Allerdings ist es schon bedeutungsvoll, ob Tiere die Rechte genießen können, die bisher nur Menschen haben, aktiv diskutiert wird. Derzeit unterscheiden sich Tiere nach koreanischen Regelungen nicht von Sachen hinsichtlich des rechtlichen Status von Tieren, ganz zu schweigen von den Grundrechten. § 23 des Tierschutzgesetzes in Korea spricht jedoch überraschenderweise "die Würde des Tierlebens". Wenn wir darüber nachdenken, wie wir die Würde des Lebens behandeln sollen und was die Ausdrücke "Leben" und "Würde" bedeuten, scheinen Tierschutzregelungen in Korea so, als ob die Kohärenz mit dem Rechtssystem nicht gewährleistet wird und es viele inhaltliche Mängel gibt. Daher wird die Verfasserin den rechtlichen Status von Tieren nach schweizerischem Recht untersuchen, Trends vorstellen, die auf den Grundrechten von Primaten beruhen, damit sie vorschlagen kann, in welche Richtung die koreanischen Tierschutzregelungen gehen zu sollten. 인간은 스스로 ‘만물의 영장’이라 칭하며, 그 프레임 안에서 모든 생태계를 바라보았다. 여기서 영장(靈長)이라는 말은 인간을 칭하는 용어로 영묘한 힘을 가진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이 우두머리라는 표현 속에는 인간과 그 밖의 생태계 모든 구성요소가 상하 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은 절대 와해될 수 없는 (또는 그럴 수 없다고 스스로 생각하며) 지배와 피지배 관계를 이어왔다. 그러나 ‘인간사회에서 지속되던 이와 같은 관행과 관념이 과연 옳은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을 때 이제는 ‘당연히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없게 되었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다를 바 없이 생물학적 체계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우리가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지 간에 인간은 오랑우탄과 원숭이와 같은 과(科)에 속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결국 인간은 진화의 산물이며, 단지 영장류의 종(種) 중 하나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더욱이 연구가 거듭될수록 인간과 동물 사이에, 특히나 같은 생물학적 계통을 공유하고 있는 인간과 동물의 사이의 유사성이 놀라우리만큼 높다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 되었다. 그런데도 여전히 인간만이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며,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소유하고 있다. 자신에게 부여된 이러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인간은 별도의 노력을 할 필요가 없으며, 권리의 향유는 ‘인간’이라는 그 사실만으로도 충분하다. 즉, 인간이면 기본권을 가지며 기본권은 인간이 향유할 수 있다. 앞뒤 명제는 역순으로 서술해도 동일한 결과에 이른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명제가 필요충분조건으로 현 상황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위스 베른 주(州)에서 논의되는 영장류의 기본권이 눈길을 끈다. 영장류의 기본권을 주 헌법에 도입하자는 논의가 해당 주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연방대법원은 국민 발의 형태로 제안된 해당 사안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법제화되기까지 아직 많은 절차가 남았지만, 동물과 사람의 이분법적 경계를 넘어 동물 또한 사람이 향유하는 권리를 누릴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이 사회적 합의를 얻고 이것을 법제화하려는 움직임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의 동물보호법제에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현재 한국의 법제에 따르면 기본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동물의 법적 지위 측면에서 동물은 여전히 물건과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우리의 「동물보호법」 제23조는 놀랍게도 ‘동물 생명의 존엄성’을 명시하고 있다. 생명의 존엄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그리고 ‘생명’과 ‘존엄성’이라는 표현이 함의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을 때, 우리의 법제는 단일법률 그 자체에서 뿐만 아니라 법제 간의 정합성 확보에 실패한 것으로 보이며,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미비한 부분이 매우 많다. 이에 따라 스위스 법이 정하는 동물의 법적 지위를 포함하여 영장류의 기본권을 바탕으로 한 동물의 지위 변화 동향은 우리나라의 동물보호 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데 매우 유의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