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Effects of Education Voucher Support for Low-income Adults
박윤수,박소현 한국경제학회 2025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41 No.2
We examine the causal effects of providing education vouchers to low-income adults in South Korea in 2021. Using a lottery-based assignment mechanism and controlling for various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we find that the KRW 350,000 voucher per participant increased course participation by 24.5 percentage points particularly in vocational, humanities, and art/physical education courses. While the voucher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labor market outcomes, it significantly enhanced nonlabor market outcomes, including social trust, health-related behaviors, subjective well-being, and job-related attitud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for low-income populations to have various nonlabor market benefits.
박윤수 한국개발연구원 2016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8 No.3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s one of the key policy concerns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whether providing schools with adequate autonomy and incentives can meet the policy goals by looking at a recent policy reform in Korea. In 2009, the Korean government granted autonomy to certain private high schools on the condition that no financial subsidies would be provided to the schools. Because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cannot receive a subsidy, they have a strong incentive to meet parental demands because schools failing to meet these demands will lose students and will have to close. Applying the value-added model to longitudinal data at the student level, I find that students entering these autonomous schools show faster growth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ir peers in traditional non-autonomous scho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schools with autonomy and incentives can be a useful policy tool for improving school education.
박윤수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4 레드리본 Vol.58 No.-
에이즈는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므로 에이즈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HIV를 우리 몸속에서 박멸하여야 한다. 1987년 AZT가 최초로 FDA의 공인을 받은 이래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약제들이 에이즈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아직까지 HIV를 박멸하여 에이즈를 완치할 수 있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고 있으나 에이즈 치료제를 3가지 이상 복용하는 강력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을 시행함으로써 손상된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고 기회감염을 줄여 좋은 효과를 보인다. 에이즈 치료제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이고 둘째는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셋째는 단백분해효소 억제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에이즈 치료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교양 교육 모델
박윤수,이유미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범용기술이 될 것이며, 인공지능 역량이 필수 역량이 될 것으로 예 측되고 있다. 이에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AI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AI 전문가를 육성하고, 누구나 AI를 이해하 고, 설명하며, 응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교육 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ž외 인공지 능 교육의 선행 연구 사례와 함께 서울 소재 31개 종합대학의 SW 교양 교육 현황을 조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SW 교양 교육과 전문적인 AI 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KOCW에 공개된 20개의 AI 관련 강좌를 AI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결과를 바탕 으로 대학생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양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은 기존의 이론적 교육 모델이나 컴퓨터과학적 교육 모델과는 달리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인공지능을 체험할 수 있는 AIž SW 융합 교육 모델이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AI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expected to become a general-purpose technology (GPT), and it is predicted that AI competency will become an essential competency. Several nations around the world are fostering experts in the field of AI to achieve technological proficiency while working to develop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software education at the liberal arts level at 31 universities in Seoul, along with precedents from domestic and foreign AI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is, we concluded that an AI literacy education model is needed to link software education at the liberal arts level with professional AI education. And we classified 20 AI-related lectures released in the KOCW according to the AI literacy competencies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lassification, we propose a model for AI literacy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proposed AI literacy education model may be considered as AIžSW convergence to experience AI along with literacy in the humanities, deviating from the existing theoretical and computer-science-based approach. We expect that our proposed AI literacy education model can contribute to the proliferation of AI.
박윤수,유왕근,한삼성,공미진 보건의료산업학회 2019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3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older adults (over 65 years)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Ⅶ),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2017. 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health conditions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levels of the older adults. In addition to health stat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geographic reg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nitiate the practice of aerobic and strength exercise in the older adults. Conclusions: To initiate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older ad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pport for costs involved, policie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xercise programs, expansion of public exercise facilities, and improved facilities
박윤수 한국제품안전협회 2002 제품안전 Vol.103 No.-
기술표준원은 중국의 강제인증제도가 국내제품(CCEE마크)과 수입 제품(CCIB마크)으로 이원화 하여 운영해 오던 것을 2001. 12. 3자로 단일 강제인증제도(CCC마크)로 통합하여 2002. 5. 1부터 시행됨에 따라 중국 제도변경에 따른 혼선 및 대중국 수출에 차질이 없도록 CCC마크 대상 품목과 관련된 조합 및 업체 등의 수출입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2002. 4. 24. 기술표준원 대강당에서 개최한 바 잇습니다. 기술표준원은 설명회효과를 높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연소잔재물의 수출입 현황 및 국내 활용 동향 조사
박윤수,엄남일,김우일,박선오,김용준,김기헌,이영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폐기물 수출입 제도는 국가 간 이동 시에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불법교역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1983년 3월 스위스 바젤에서는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을 채택하여 유해폐기물의 불법적 이동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 및 개도국의 환경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 2월 28일 이 협약에 가입하였고 이 후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의 제・개정을 통하여 수출입 폐기물을 규제폐기물과 관리폐기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재 수출입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입 신고대상 폐기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연소잔재물로써 2016년 기준 1,297,094 톤/년에 이르고 있다. 연소잔재물은 2008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비용의 문제가 가장 큰 이유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발생한 연소잔재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육상운송 등의 비용이 따르지만, 일본에서 수입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처리비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를 시멘트 대체원료, 보조연료로 대부분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및 민간단체 등에서 환경과 인체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연소잔재물의 관리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수출입 현황 및 국내 현황의 흐름을 조사하고, 국내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활용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보편적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교육의 방향성 연구 - 빅데이터 전문가의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박윤수,이수진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2
최근 데이터 관련 법안이 개정되면서 빅데이터의 활용 분야는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빅데이터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지식과 스킬이 필요하고, 이를 모두 교육하기에는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광범위한 영역 의 빅데이터를 보편적 빅데이터(Universal Big Data)로 정의하고, 대학교 수준에서 보편적 빅데이터를 교육하기 위해서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할 지식 영역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 면 전문가들은 컴퓨터과학에서 의미하는 빅데이터보다 광범위한 범위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인식하고 있었으 며, 빅데이터의 가공 과정에 반드시 빅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또는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인 식하고 있었다. 이는 빅데이터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과학(공학)적 지식과 스킬보다는 빅데이터의 분석 방 법과 응용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 빅데 이터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Big data is gradually expanding in diverse fields, with changing the data-related legislation. Moreover it would be interest in big data education. However, it requires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utilize Big Data and it takes a long time for education spends a lot of money for training. We study that in order to define Universal Big Data used to the industrial field in a wide range. As a result, we make the paradigm for Big Data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e survey to the professional the Big Data definition and the Big Data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Big Data related-professional recognize that is a wider definition than Computer Science Big Data is. Also they recognize that the Big Data Processing dose not be required Big Data Processing Frameworks or High Performance Comput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ducate Big Data,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 methods of Universal Big Data rather than computer science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the our research, we propose the Universal Big Data education on the new parad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