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기업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윤소겸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ce between factors and variables that affect the work engagement of employees in Korea's corporate organizations. The analysis data were targeted for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up to December 2020. To this end, a total of 2,859 research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with the keyword ‘work engagement’. A total of 163 articles were used for analysis by apply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the job demand and resource model, 476 variables affecting work engagement demonstrated in 163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3 major categories, 15 medium categories, and 87 small categories for analysi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476 variables affecting the work engagement of employees in Korea's corporate organizations was confirmed to be 0.398, and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ach major classification factor was 1.218 for individual resources, 1.090 for job resources, and -0.265 for job demands.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ach factor in the middle classification was: person-job fit 1.607, person-organization fit 1.522, values ​​and attitude 1.368, job crafting 1.355,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1.161, learning and development 1.159, organizational support 1.098, job characteristic 1.088, leadership 1.037, system 1.018, organizational culture 0.975, supervisor/colleague support 0.974, knowledge/skill 0.939, challenge demands 0.305, and hindrance demands -0.388 were confirmed in the order.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ach factor in the small classification was: meaning of work 1.681, person-job fit 1.607, psychological empowerment 1.600, subjective career success 1.561, person-organization fit 1.522,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1.509.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Work engagement)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변인 간의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자료는 2020년 12월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직무열의’와 ‘Work engagement’를 키워드로 총 2,859편의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포함과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총 163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163편의 연구에서 실증된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476개 변인을 직무요구 자원 모형을 기반으로 대분류 3개, 중분류 15개, 소분류 87개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국내 기업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476개 변인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398로 확인되었고 대분류 요인별 평균효과크기는 개인자원 1.218, 직무자원 1.090, 직무요구 0.2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요인별 평균효과크기는 개인 직무 적합성 1.607, 개인 조직 적합성 1.522, 가치와 태도 1.368, 잡크래프팅 1.355, 기질과 특성 1.161, 학습과 개발 1.159, 조직지원인식 1.098, 직무특성 1.088, 리더십 1.037, 시스템 1.018, 조직문화 0.975, 상사・동료 지원 0.974, 지식・스킬 0.939, 도전적인 요구 0.305, 방해적인 요구 –0.38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분류 요인별 평균효과크기는 일의 의미 1.681, 개인 직무 적합성 1.607, 심리적 임파워먼트 1.600, 주관적 경력성공 1.561, 개인 조직 적합성 1.522, 긍정심리자본 1.509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로-목표 리더십 스타일과 직무 번영감과의 관계에서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의 매개 효과 : 성취지향적, 참여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윤소겸,유상옥,이윤수 한국산업교육학회 2020 산업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경로-목표 이론(path-goal theory)을 바탕으로 경로-목표 리더십 스타일 중 성취지향적(achievement oriented) 리더십과 참여적(participative) 리더십이 직무 번영감과의 관계에서 분배 공정성(distributive justice)과 절차 공정성(procedural justice)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제조 기 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2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 식을 통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성취지향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은 활력과 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취지향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이 직무 번영감과의 관계에서 조직 공정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 다. 구체적으로 분배 공정성은 성취지향적 리더십과 활력, 참여적 리더십과 활력 간 관계를 매개했으나, 학습과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고, 절차 공정성은 참여적 리더십 과 학습의 관계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ᆞ, 실용적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goal leadership styles and thriving at work, based on the path-goal theory.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members of a large manufacturing company, and 22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achievement-oriented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vitality and learning bu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organizational justice. Specifically, distributive 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eadership and vitality, and procedural justice on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ole of leadership,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research on the different mechanisms of the predictors of thriving at work.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국내 A 대기업 사무직을 대상으로

        윤소겸 ( Yoon So-kyum ),조대연 ( Cho Dae-ye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심리적 안전감과 팀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이 변수들 사이에는 어떠한 구조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국내 A 대기업 사무직 1,0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서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 세 변수의 구조적 관계가 수집된 자료에서도 적합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χ<sup>2</sup>=274.358, df= 41, RMSEA= .085, CFI= .971, TLI= .961, SRMR= .029). 각 경로계수들 간의 유의성을 통해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효과성 간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며, 임파워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심리적 안전감과 팀 효과성 간의 상관관계도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효과성과의 관계를 매개했다.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β=.343) 보다 심리적 안전감을 통해 팀 효과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β=.493)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가 제시되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psychological safety and team effectiveness, and to identify what structural relationships exist among these variable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domestic office workers at a large corporation in Korea,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χ<sup>2</sup>=274.358, df= 41, RMSEA= .085, CFI= .971, TLI= .961, SRMR= .029).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significance of each path coeffici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and the team effective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safety, psychological safety and team effective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Last, psychological saf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The indirect effect (β = .493) on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β = .343).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 Vibrio vulnificus 박테리오 파아지의 특성

        오양효,윤소겸,공은진,김민정,김영부,박영민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5

        목 적 : 이미 보고되어 있는 파아지들의 경우, 일반적인 형태, 숙주역과 몇 가지의 성질만 연구되어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으로부터 분리한 V. vulnificus를 숙주균으로 하여 투명한 용균반을 형성하는 파아지를 분리해 낸 다음, 분리된 V. vulnificus 파아지의 특징을 연구하고자하였다. 방 법 : V. vulnificus 를 숙주균으로 하여 해산물로부터, 숙주균에 특이적인 파아지를 분리하고, 농축 정제과정을 거쳐 파이지입자를 순수분리하였다. 파아지의 형태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분리된 파아지의 숙주특이성을 조사하고, 파아지 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온도 안정성시험, pH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파아지의 흡착율, 파아지의 흡착율에 미치는 무기염 이온의 영향, 온도의 영향과 pH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파이지의 일단증식곡선을 구하였으며 토끼 면역과 교차 중화 시험, 파아지 핵산의 특성, 구조단백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자현미경관찰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한 파아지는 두부와 미부를 가지는 형태로 미부에 꼬리판과 꼬리섬유를 가지고 있었다. 파아지의 물리적성질시험 결과 파아지는 50℃이하의 온도에서 안정하였으며 중성pH영역에서 안정하고 산성과 알칼리 영역에서는 활성을 잃었으며 자외선에는 35초 조사에 50% 정도 불활성화 되었다. 파아지는 약 65%의 흡착율을 나타내었으며 흡착에 ??, ??을 요구하였다. 파아지입자가 안정한 온도와 pH영역에서는 흡착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일단증식시험 결과 108 PHU/ml의 파아지 입자를 생산하였다. 정제한 파아지를 항원으로 하여 토끼에 면역한 항혈청에 파아지가 중화되었으며 파아지 핵산은 이중나선 DNA였다. 파아지의 구조단백질은 SDS-PAGE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결과 2개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Western blotting 결과 파아지의 전기영동 결과와 동일한 위치의 밴드에서 항원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 인체병원균으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V. vulnificus는 해산물의 위생과 국민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균으로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파아지의 분리율은 숙주균의 분리율에 의존하므로 숙주균의 해수내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되며, 파아지는 숙주균에 감염되어 숙주균을 용균시키므로 숙주균의 개체수를 조절하여 생태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Background : Vibrio vulnificus causes severe wound infection and life-threatening septicemia.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 vulnificus bacteriophage and the basis of pathogenicity study of V. vulnificus related on bacteriophage. Methods : We isolated bacteriophage for V.vulnificus from marine products and examined it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ltrastructure by electron microscopy (TEM,SEM). And also, we investigated host ranges, temperature stability, pH stability, inactivation by UV irradiation, DNA isolation and analysis and structural protein analysis of the bacteriophage. Results : The adsorption rate of bacteriophage was above 80% and had a little influence at 10-45℃ and pH5-10. Isolated bacteriophage was used to produce antiserum against rabbits and its antigenicity was investigated by cross-neutralizatio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e capsid protein of bacteriophage had antigenicity. The bacteriophage had double-strand DNA. In restriction analysis, the phage DNA was digested HinfI. The structural protein of phage showed two bands of 34.7kDa and 18.4kDa on SDS-PAGE. Conclusion : The specificity of bacteriophage may be due to the specific binding site that be possessed by host strain surface. Therefore, it seems that virulent bacteriophage controls the number of host strain and then takes a role on natural marine environment.

      • KCI등재

        S-OJT에서 Kolb의 경험학습과정에 대한 경로 탐색

        배현경,조대연,윤소겸,이윤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4

        본 연구는 직장 내 신입직원들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S-OJT 활동이 Kolb가 제시한 4단계의 순서적인 경험학습과정에 기초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S-OJT 상황에서 어떤 다른 형태로 Kolb의 경험학습과정이 변형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Z그룹 S-OJT 프로그램에 참여한 신입직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0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내 S-OJT 활동은 Kolb가 제시한 경험학습 모형 외 3개의 변형된 형태로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그 모형들은 구체적 경험→능동적 실험→반성적 관찰→추상적 개념화, 구체적 경험→추상적 개념화→반성적 관찰→능동적 실험, 구체적 경험→능동적 실험→추상적 개념화 →반성적 관찰로 모든 경로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체적 경험과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와 능동적 실험은 상대적으로 상호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 경험과 추상적 개념화, 구체적 경험과 능동적 실험은 상대적으로 다른 과정에 비해 상호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S-OJT 상항에서 경험학습은 Kolb가 제시한 하나의 고정된 순차적 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S-OJT 활동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Kolb's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is applied to S-OJT programs for new employees. It also investigates how Kolb's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can be modified under the S-OJT setting. To do these,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50 new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S-OJT programs provided by Z group. 302 questionnaires were us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3 transformed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es that were valid for use in S-OJT beyond Kolb’s original process. The three transformed experiential processes include the following ways: concrete experience → active experiment → reflective observation → abstract conceptualization; concrete experience → abstract conceptualization → reflective observation → active experiment; and concrete experience → active experiment → abstract conceptualization → reflective observation. This study found that concrete experience was highly related with reflective observation and abstract conceptualization was highly related with active experiment in all models. This study also found that concrete experience was weakly related with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concrete experience weakly related with active experiment as well. As such, Kolb's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works with other ways beyond Kolb’s original process in S-OJT settings. Finally, the study discuss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JT based on experiential learning.

      • KCI등재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n Task Goal Orienta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유민희,임두헌,윤소겸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goal orienta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37 members working in various workplaces in Korea.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s were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ask go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ask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agility, and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rganizational learning was also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goal orientation and adaptation outcomes. Learning agility, however, did not appear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goal orientation and adap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a discussion of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fields of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were presented.

      • KCI등재

        Protein A의 면역학적 연구

        오양효,김영부,김미경,김민정,윤소겸 한국생명과학회 1994 생명과학회지 Vol.4 No.2

        Protein A는 Jensen법에 의하여 Staphylococcus aureus Cowan type 1 (SCI)주의 가열균 체에서 추출한 단백으로서 최근에는 lysostaphin-chromatography 방법으로 순수분리할 수 있는 natural protein이다. Protein A를 다량 함유한 SCI은 혈청중의 IgG를 흡착하므로 혈청 중에 IgG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protein A가 면양적혈구로 면역한 가토혈청의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