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목판인쇄 재현실험을 통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에 관한 연구

        유우식,김정곤,안은주,Yoo, Woo Sik,Kim, Jung Gon,Ahn, Eun-Ju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5

        우리나라의 인쇄기술사의 연구는 현존하는 고문헌, 전적류의 조사와 축적되어온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문화재 연구의 특성상 비파괴 검사가 요구되어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관찰과 연구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목판인쇄, 목활자인쇄, 금속활자인쇄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문헌과 전적류의 경우, 연구자마다 다양한 견해와 결론을 도출하게 되어 혼란이 가중되기도 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모호하여 우리나라의 인쇄기술 발달사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정체뿐만 아니라 연구자들 간의 갈등이 분출되기도 하고 문화재 분야의 전문기관이 아닌 국가의 수사기관까지 가세하여 상황이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복각된 훈민정음(訓民正音) 목판을 사용하여 여러 장의 한지에 직접 인출하는 재현성 실험과 인출된 결과물의 이미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인출특성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목판인쇄본과 금속활자본의 구별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기준의 타당성과 의문점을 살펴보았다. 목판인쇄의 재현실험을 통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의 조사와 이미지분석법을 활용한 다양한 특징의 정량화를 시도하고 정량분석에 의한 객관성 있는 새로운 판단 기준확보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The history of printing technology in Korea is studied by investigating existing ancient documents and records and comparing accumulated data and knowledge. Cultural property research requires non-destructive testing and observation with the naked eye or aided by a microscope. Researchers' experience and knowledge are required even though they cannot guarantee the outcome. For ancient documents and records that are presumed to consist of woodblock printing, wood type printing, metal type printing, or their combinations, each researcher draws various opinions and conclusions. This often causes confusion and divides the opinions of ordinary citizens and field specialists. Among them, the criteria for judging ancient documents or books printed using woodblock and metal movable material are ambiguous. Academ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printing technology in ancient Korea has been stagnant, and conflicts among researchers have also erupted. Involvement of national investigative agencies not specialized in cultural properties has exacerbated the situ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inting characteristics that are likely to serve as more objective judgment criteria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experiments of retrieving several sheets of Korean paper (Hanji) using a replicated Hunminjeongeum (訓民正音) woodblock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images of the printed papers. In addition, the validity and questions for the typical phenomena presented a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woodblock and metal print are reviewed.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objective judgement criteria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image analysis and investigating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paper through a reproduction experiment of woodblock printing.

      • KCI등재

        이미지 분석을 통한 매우 유사한 증도가(證道歌) 이본(異本)에 대한 비교연구 - 보물 제758-1호와 보물 제758-2호의 근본적인 차이점 -

        유우식,김정곤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6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삼성본(三省本: 보 물 제 758-1호)과 공인본(空印本: 보물 제758-2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두 판본 간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공인본의 보물지정 당시인 2012년의 보고서에 따르면 두 개의 판본은 모두 같은 판에서 인출된 것이며 공인본이 삼성본보다 후쇄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두 개의 판본은 구성, 광곽의 형태, 글자체에 이르기까지 매우 유사하여 육안에 의한 확인만으로는 그 차이를 구별하기 쉽지 않아 전문가들의 주관적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론을 도출한 것으로 추정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판본상에 나타난 인쇄특징을 바탕으로 인출 시기의 전후관계 및 동일한 판에서 인쇄된 것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판에서 인쇄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면밀한 이미지 비교와 분석의 결과, 삼성본과 공인본은 서로 다른 판에서 인출된 것이며 인출시기도 공인본이 삼성본에 비해서 후쇄본이라 는 보고서의 내용도 수긍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삼성본에서 볼 수 있는 목판 인쇄의 특징과는 사뭇 다른 특징들이 관찰되어 공인본의 인출에 사용된 인쇄기술 및 인출시기 에 관한 추가조사 및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hotographic images of the Samseong-version (三省本: Korea’s Treasure No. 758-1) and the Gongin-version (空印本: Korea’s Treasure No. 758-2) of Nammyeongcheon Hwasangsong Jeungdoga (南明泉和尙頌證道歌: Nanmingquan Song Zhengdao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According to a report in 2012 at the time of the designation of the Gongin-version as Korea’s treasure, both versions were printed from the same woodblocks. The Gongin-version is presumed to be a later print than the Samseong-version. The two versions are very similar in format and shape of border lines and character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with the naked eye, even for exper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each version through image analysis, useful evidence to determine whether it was printed using the same or different woodblocks and the order of printing was collected. As a result of careful image comparison and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e Samseong- and the Gongin-version were printed from different woodblocks, or possibly different typesetting. It wa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content of the report that the Gongin-version was a later print than the Samseong-version.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Gongin-version print has characteristics quite different from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woodblock printing seen in the Samseong-version. Additional investiga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printing technology used for Gongin-version print and the timing of printing are recommended.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Lung Allocation and Outcomes of Lung Transplant according to the Korean Urgency Status

        유우식,김송이,김영태,이현주,박샘이나,최선미,김도형,조우현,여혜주,박승일,최세훈,홍상범,심태선,조경욱,전경만,정병호,백효채,이진구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9 Yonsei medical journal Vol.60 No.10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ung allocation and outcomes of lung transplant (LTx) according to the Korean urgencystatus. Materials and Methods: LTx registration in the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Registry (KOTRY) began in 2015. From 2015 toJune 2017, 86 patients who received LTx were enrolled in KOTRY. After excluding one patient who received a heart-lung transplant,85 were included.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Korean urgency status. Results: Except for Status 0, urgency status was classified based on partial pressure of oxygen in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ndfunctional status in 52 patients (93%). The wait time for lung allograft was well-stratified by urgency (Status 0, 46.5±59.2 days; Status1, 104.4±98.2 days; Status 2 or 3, 132.2±118.4 days, p=0.009). Status 0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perative times and higherintraoperative blood transfusion. Status 0 was associated with prolong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use, postoperativebleeding, and longer mechanical ventilation after operation. Survival of Status 0 patients seemed worse than that of non-Status0 patients, although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Korean urgency classification for LTx is determined by using very limited parameters and may not be a true reflectionof urgency. Status 0 patients seem to have poor outcomes compared to the other urgency status patients, despite havingthe highest priority for donor lungs. Further multi-center and nationwide studies are needed to revise the lung allocation systemto reflect true urgency and provide the best benefit of lung transplantation.

      • KCI우수등재

        납기 위반 및 셋업 최소화를 위한 강화학습 기반의 설비 일정계획 모델

        유우식,서주혁,김다희,김관호 한국전자거래학회 201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4 No.3

        Recently, manufacturers have been struggling to efficiently use production equipment as their production method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x. Typical factors hindering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 setup cost due to job change.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using expensive production equipment such as semiconductor / LCD process, efficient use of equipment is very important. Balancing the tradeoff between meeting the deadline and minimizing setup cost incurred by changes of work type is crucial planning task.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cheduling model to achieve the goal of minimizing the duedate and setup costs by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in parallel machines with duedate and work preparation costs. The proposed model is a Deep Q-Network (DQN) scheduling model and is a reinforcement learning-based model.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model, we compared it against the heuristic model and DNN(deep neural network) based model. It was confirmed that our proposed DQN method causes less due date violation and setup costs than the benchmark methods. 최근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생산방식이 고도화 되고, 복잡해지면서 생산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요인들로는 작업물 종류 변경(job change)으로 인한 작업 준비 비용(Setup Cost) 등이 있다. 특히 반도체/LCD 공정과 같이 고가의 생산 장비를 사용하는 공정의 경우 장비의 효율적인 사용이 매우 중요한데, 상호 충돌하는 의사결정인 납기 준수를 최대화 하는 것과 작업물 종류 변경으로 인한 작업 준비 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납기와 작업 준비 비용이 있는 병렬기계에서 강화학습을 활용하여 납기 및 셋업 비용의 최소화 목표를 달성하는 일정계획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모델은 DQN(Deep Q-Network) 일정계획 모델로 강화학습기반의 모델이다. 제안모델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DQN 모델과 기존에 개발하였던 심층 신경망 기반의 일정계획 생성기법과 휴리스틱 원칙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DQN 일정계획 생성기법이 심층신경망 방식과 휴리스틱 원칙에 비하여 납기 및 셋업 비용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이본(異本)의 비교 연구 ― 1239년에 인쇄된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의 확인 ―

        유우식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고려 고종(高麗 高宗) 26년인 1239년에 무신정권의 실력자이던 진양공(晉陽公) 최이(崔怡)가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를간행하면서 적은 발문(跋文)이 적혀 있으며 판식(版式)이 같은 판본이 여섯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삼성본(三省本)과 공인본(空印本)의두 가지 판본은 1984년과 2012년에 각각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로 지정된 판본과 매우 유사한 대구본(大邱本)과 반야사본(般若寺本) 의 두 가지 판본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신청하여 심사가 진행되었다. 대구본은 문화재 지정신청이 부결되었으며 반야사본은 심사가 진행 중이다. 보물로 지정된 판본과 유사도가 덜한 두 가지 판본중의 하나인 종로도서관본(鐘路圖書館本)은 2021년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나머지 한 가지 판본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에 일산문고본(一山文庫本)으로 소장되어 있다. 최이의발문에는 금속활자본임을 나타내는 기술이 있으나 많은 판본이 목판본의 특징을 보여 모든 판본이 금속활자본을 목판으로 번각하여인쇄한 목판인쇄본이라는 주장과 한가지 판본은 금속활자본이라는주장이 1970년대부터 이어지고 있다. 여섯 가지 판본의 인쇄 방법과 시기에 관해서 제기되고 있는 여러 가지 논란을 모두가 수긍할수 있는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여섯 가지 판본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인쇄 방법 및 인쇄 시기의 전후 관계를 추정하고 확인하였다. 여섯 가지 판본의 인쇄 순서는 공인본(1239년)-반야사본-대구본(1472년)-삼성본-종로도서관본(1526년) -일산문고본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2012년에 보물로 지정된 공인본은 1239년에 금속활자로 인쇄된 판본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이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