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영섭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5 한국불교사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분황 원효(617~686)와 보조 지눌(1158~1210), 퇴계 이황(1501~1570)과 율곡 이이(1536~1584) 철학에 대한 해외 한국학 연구를검토하여 한류의 최후이자 정점으로 판단되는 철학 한류와 한국 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성찰하기 위한 글이다. 한류(Korean Wave)는 처음에 K-드라마/시네마가 선편을 잡았지만 이후 한류는 전 세계를무대로 하여 K-팝으로 이어지면서 큰 물살을 타기 시작하였다. 이에 힘입어 한류는 K-컬처로서 한식, 한복, 한옥, 뷰티, 등산, 방산등이 널리 알려지면서 중류나 일류와 차별화되었다. 2025년 현재한 세대의 역사를 지나는 한류는 1단계와 2단계를 넘어 3단계를 거쳐 마지막 4단계의 K-클래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논자는 현재의 단계에서 인문 한류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철학 한류’의 현황과 과제를 한국의 철학자이자 사상가인 불교의 원효와 지눌, 유교의 이황과 이이에 대한 해외 한국학 연구를 통해 구명해보았다. 이들 철학자들은 모두 상구보리와 하화중생, 자기 수양과외적 구원을 향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의 길을 걸어갔던 수행자(경학자)이자 경세가였다. 그렇다면 이들의 이름으로 대표되는 철학 한류가 현재의 한류 흐름을 조금 더 확장하고 보다 더 활성화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철학 한류의 물결을 좀더 타기 위해서는 제도권 철학자들이 인간이해와 세계 인식을 통해 자아를 세계화하고 세계를 자아화하는 철학의 본령을 되찾아야 한다. 그리하여 만학의 제왕이었던 철학이미학 윤리학 종교학 언어학 등으로 분봉해 주었던 탈영토화된 철학의 영토를 재영토화하면서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에 기초한 담론으로철학하는 삶의 철학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한국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노력이 요청된다. 첫째, 해외 한국학 연구들의 한국 철학에 대한 왜곡 여부와 새로운해석이 있는지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해외 한국학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학 연구를 위한 해외 사립대학 및 주립대학의 한국학연구소 개소와 연구를 위한 기금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해외 한국학의 확산을 위해 주요 철학자들의 저술에 대한 번역과연구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이러한 물적 토대와 인적 토대의 기반 위에서 이들 철학자들의 사상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This paper reflects on the past and present of the “Korean Philosophy Wave” and Korean culture, which I regard as the final and culminating phase of the broader Korean Wave. To this end, I examine overseas Korean studies on the philosophies of Bunhwang Wonhyo (617–686) and Bojo Jinul (1158–1210) in Buddhism, as well as Toegye Yi Hwang (1501 1570) and Yulgok Yi I (1536–1584) in Confucianism. The Korean Wave first emerged through K-dramas and cinema. As of 2025, it has gained global momentum, particularly through K-pop. Building on this popularity, the Korean Wave has expanded into K-culture, encompassing Korean cuisine (hansik), traditional attire (hanbok), architecture (hanok), beauty, hiking culture, and even the military industry —marking a clear distinction from the Chinese and Japanese Waves. Having passed through its first, second, and third phases, the Korean Wave is now entering its fourth and final stage: the rise of K-Classic. Nevertheless, I argue that the fourth stage of the Korean Wave—represented by the Korean Literature Wave and Korean History Wave— points toward its ultimate culmination in the Korean Philosophy Wave. By focusing on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of overseas research on Korean philosophy, particularly regarding the representative thinkers Wonhyo, Jinul, Yi Hwang, and Yi I,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undations of the Korean Humanities Wave. These philosophers, who pursued both personal enlightenment and the salvation of all beings, can be described as contemplative scholars and theorists who sought universal truth through rigorous self-discipline. In this context, I explore how the Korean Philosophy Wave, associated with these figures, might be expanded and activated as a concrete and practical extension of the broader Korean Wave. For philosophy to ride the tide of the Korean Wave, institutional philosophers must reclaim the original domain of philosophy—once considered the sovereign discipline of all studies—by deepening human understanding and insights into the world. Philosophy should be reconstituted as a discourse grounded in the spirit of the age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encompassing ethics, aesthetics, religion, and language. Moreover, as a worldview that comprehensively embraces all domains of knowledge, philosophy must aim to grasp the entirety of the world through self-understanding. To further invigorate Korean studi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following efforts are essential: A critical examination of potential distortions and novel interpretations in overseas research on Korean philosophy;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stitutes at private and public universities abroad, along with securing research funding;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translation and study of major works by Korean philosophers to facilitate the spread of Korean studies globally; In-depth analysis of the thought of major Korean philosophers based on solid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김한상 ( Han-sang Kim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문학/사학/철학 Vol.45 No.-
The present paper chronologically surveys and analyzes the contribution of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to Korean Buddhist Studies.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from the outset of Korean Buddhist Studies. Korean Buddhist Studies was in a position to leads Buddhist Studies in East Asia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s was shown by activities of Uisang (義湘) and Wonhyo (元曉), but it declined until the beginning of nineteen century because of the popularization of Son chong (禪宗) and the suppression of Buddhism under the Choson dynasty. However, Buddhist Studies has restarted by the time of establishing Myeongjin School (明進學校) in 1906 and Jungang Buddhist School (中央佛敎學林) in 1916. Japanese Methodology of Buddhist Studies was generally introduced to Korean Buddhist Studies since the School raised to Jungang Buddhist College (中央佛敎專門學校) in 1930. After Korea``sindependent from Japan, Buddhist Studies was mainly conducted by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Korean Buddhist Studies was officially initiated when Journal of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佛敎學報) was firstly published by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佛敎文化硏究院) in 1964. Buddhist Scholarship has been popular in othe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韓國佛敎學會) in 1973. Its area has been extended from philosophic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in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Applied science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ABTC) was established in 2002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by encouraging comprehensive research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This shows that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still leads Korean Buddhist Studies. Such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iversific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could not be possible without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In this way,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has been played an prominent rol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is golden age of Korean Buddhist Studies is a new challenge for taking-off and self-renovation for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윤소희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5 한국불교사연구 Vol.27 No.-
본고에서는 한국의 불교 악가무가 한류의 뿌리가 되었음을 음악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불교와 함께 서역음악이 중국에 전래되면서중국 문화 전반에 유연성을 더했다면 한국은 범어와 같은 소리글자로 인해 음악과 춤이 지닌 역동성의 기폭제가 되었다. 인도,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다층의 문화를 흡수하며 신라에 이른 악가무가 향토화되었음을 崔致遠의 鄕樂雜詠五首를 통해 확인하였고, 원효의 무애가에 나무아미타불을 노래하며 따랐던 민중은 21세기 ‘코리안 떼창’ 이 되어 한류의 아이콘이 되었다. 여기에는 ‘우리’라는 어우러짐의심성을 지닌 한국인이 메기고 받으며 노래해온 한국 민요의 바탕이있었다. 고려조의 팔관회와 연등회에서는 궁중악사들과 민간인이 함께하는산대 백희잡기가 성행했다. 이 무렵 한국 고유의 무속도 불교를 모방했으므로 오늘날 무가와 불교음악이 상통하는 점이 많다. 조선조의 세종임금이 창제한 정간보는 소리글자인 우리말의 역동성과 주체성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악학궤범 에서 백성의 소리에 32妙應하는한글 唱詞는 부처님의 32상호와 일치하고, 이를 半切한 세조의 16정간은 16梵字 다라니와 世間大人의 治世念願과 더불어 리듬절주의 기능적 표기였다. 이후 한국음악의 역동성은 繁音促節을 거듭하여 전통가곡, 시조, 巫歌와 회심곡을 관통하는 8박 절주가 되었다. 조선 중기 이후 궁중에서 불교음악을 연주할 수 없게 되자 제반의불교음악이 민요 혹은 민간 예술음악으로 전환되었다. 장엄염불 가사였던 ‘江江水月來’가 ‘강강술래’ 민요가 되었는가하면 사찰 불교악가무는 유랑예인들의 연희가 되어 한류와 K팝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제 음악 이론을 몰라도 AI를 통해 작곡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21세기를 리더하는 K불교 악가무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불교음악의 역사·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 한국적 고유성이살아있는 불교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기반한심미적 감각과 창의성이 미래 K부디즘의 성공의 열쇠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produce that Korean Buddhist music and dance became the root of the Korean Wave and K-pop through the historical flow of music that runs through India, China, and Korea. While Indian and middle Asia music was introduced to China along with Buddhism, flexibility was added to the overall Chinese culture, and Korea became a catalyst for the dynamism of music and dance due to its phonetic script, such as Sanskrit. Silla unified the three kingdoms and absorbed the multi-layered cultures of the Three Kingdoms, India, and Central Asia, and made Buddhist culture flourish. At that time, the people who sang Namu Amitabha Buddha and followed Wonhyo’s Muaega(無碍歌). It became the 21st century “Ttechang(Sing along)” and became the icons of the Korean Wave. There was the DNA of Koreans who had a culture of harmony called “us”. In the Goryeo Dynasty’s Palgwanhoe(八關會) and Yeondeunghoe(燃燈 會), the Sandae Baekhee(山臺百戲)with various performances was popular. The Palgwahoe, which was originally a ritual performed to local gods, was transformed into a Buddhist ritual and Korean shamanism imitated Buddhism. As the result today’s Korean shaman songs and Buddhist music have many similarit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King Sejong created Jeongganbo with 32 spaces, a musical notation that could indicate the length of notes, also connected to the 32 holy and wise aspects of the Buddha. The 32-jeongganbo was changed to 16-jeonggan by King Sejo, making it a more functional musical notation, and is still being passed down today as traditional Korean music with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8 beats like Sijo, traditional lyric songs, shamanic songs etc. Since the mid-Joseon Dynasty, when Buddhist music was not allowed to be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various Buddhist ritual music and dancing of the Goryeo Dynasty, permeated the public and transformed into folk songs or general performing arts. Buddhist ritual music and dance at temples became the performances of traveling entertainers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of Hallyu and K-pop. However, since music and dance that has lost its Buddhist identity cannot be called Buddhism, we need to be wary of the negative effects that hinder religious dharma. In order to become a K-Buddhism that leads the 21st century, dharma and sincerity that transcend the secular world are vital.
고영섭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0 문학/사학/철학 Vol.60 No.-
이 논문은 조선 중기 격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안으로는 자강(自强) 정책을, 밖으로는 기미(羈靡) 정책을 통해 조선사회의 전후 복구를 위한 최상의 방책을 세웠던 광해군대의 불교 정책과 불교 문화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2013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우리 역사에서 ‘가장 존경하는 왕’으로 세종을 제치고 광해군 (1575~1644)이 1위를 차지하였다.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쫓겨난 지 400여년 만에 영화 「광해」를 통해 그의 재평가가 시작된 것이다. 광해군의 오명을 벗기 위해 역사학자들이 수십 년간 애를 써도 이루지 못한 일을 영화한 편이 단방에 해낸 것이다. 광해군은 수기치인을 신봉하는 유자들이 전쟁에 대비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대책도 제대로 세우지 못하는 것과 달리, 중도 연기를 신행하는 불자들이 전란을 맞아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해 가게 하는 모습에 깊은 호기심을 일으켰다. 그가 임란 중에 보았던 승려들과 승군들의 모습은 일사분란하고 애국심이 넘쳤다. 그들은 근왕(勤王) 즉 나라(임금)를 위하여 충성을 다하기 위해 사계(捨戒) 혹은 월계(越戒)를 범하면서도 애국과 애민과 애족을 위하여 온몸을 던졌다. 이것을 경험한 광해군의 불교 인식은 우호적이었고 이러한 친연성 아래서 불교 정책은 유연할 수 있었다. 광해군은 봉인사의 원찰 지정과 청계사의 재회 시설을 통해 불교와의 소통을 닫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광해군의 여유와 자신감 위에서 사원 복원과 불서 간행의 직간접적 지원이 가능할 수 있었다. 이처럼 광해군의 불교정책 추진과 불교 문화 지원은 통치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불교에 대한 우호적 인식과 유연한 통치책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광해군은 고려 이래 조선의 대왕대비에서 궁중 나인에 이르기까지 궁궐 안 여인들의 신앙의 본산이자 왕실 여인들의 영향력이 크게 미치던 정업원을 존속시켰다. 이것은 불교에 대한 그의 우호적 인식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여타의 왕처럼 정업원을 폐지하지 않고 존속시킴으로써 불교와의 소통을 닫아버리지 않았던 왕이었다. 따라서 광해군은 조선 중기에 불교계와 긴밀하게 소통함으로써 통치이념인 유교와 민족문화인 불교 사이에서 균형감각을 지닌 통치자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
박영동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문학/사학/철학 Vol.45 No.-
한국교육사상사에서 근대적 교육기관이 설립되기 전까지 불교는 비록 형식교육이 되지 못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형식을 초월한 전인교육을 통해 우리 민족에게 독창력과 창조력을 계발시켜준 교육적인 힘으로 작용해 왔다. 그러나 개항 이후 서구의 문물과 교육제도 등이 이 땅에 유입되면서 서양의 선교기관에 의해 기독교 계통의 종교 사학이 설립되자 불교계에서도 근대적 교육기관의 필요성을 느끼고 1906년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명진학교가 설립되었다. 이것이 불교종립학교의 시초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와 해방을 전후하여 교육을 통해 국가를 구하려는 민족주의적 이념과 불교진흥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전국의 각 본산(本山)에서 중·고등학교를 세우고 운영하는가 하면, 60년대 이후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등이 기존의 사립학교를 인수·합병하여 불교종립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종립학교는 단순히 불교 종단이나 단체에서 법인을 설립 운영하는 차원을 넘어 건학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불교 정신에 바탕을 둔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한 많은 교법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활약하고 있다. 현재 불교종립학교 종교교육은 조계종과 동국대학교를 중심으로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불교종립학교의 대표들로 구성된 ‘불교교육연합회’와 산하 학교의 교법사들이 중심이 된 ‘전국교법사단’이 주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호미 든 관음상’을 통해 본 불교문화운동의 현황과 전망
이재수 ( Lee Jae-soo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5 No.-
This year marks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ith Homi’ at Bonghwa Mountain in Gimhae. This statue is the centerpiece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centered on rural areas and a symbol of creative Buddhist service. The meaning of cultivation in the homi is the same context as the etymology. It contains an official saying, We will open a new world by plowing the fields of our minds through the Homi. It was a projec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and a new horizon of the Buddhist culture movement. In this discussion, we looked at the Buddhist cultural implications contained in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ith Homi’. It has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pain of life and sharing pleasure and bringing peace to all.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culture are discussed only in the field of mission, faith and experience. We will try to gauge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Buddhist movement through examples such as the tinkling of a Wind-bell that has delivered Buddhist messages that go beyond Buddhism and the Buddhist culture movement, the pilgrimage of 108 Sansa, which has become a religious movement in which the ordination and practice have become one, and the Temple Stay, which stands as a representative brand of traditional Korean cultural experience. Finally, I made a suggestion for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e movement. First, rediscovery of new Buddhist culture space is necessary. Second, the temple should be reborn as a life and culture center that serves as a cultural space. Third, various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open and share Buddhist cultural assets. Through this discussion, we hope that the value and great energy contained in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ith Homi’ will be used to inform more people and become a Avalokitesvara sacred place of our times.
불교가 한국인의 수행문화에 미친 영향 - 불교 절수행의 전개를 중심으로 -
심준보 ( Sim Junbo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10 No.-
This paper considers the effect of buddhism to the practice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bow practice. We think that the practice are divided to the road of the enlightenment(jnana marga) and the road of the practice(yoga marga), and the wide concept of the practice includes two roads, but the narrow concept of the practice means only the road of the practice. And, this paper defines the practice culture as everything which man have made related with the practice. We do not know when is the beginning of the present bow practice forms as like 108 bows, 1000 bows, and 3000 bows. But we could suppose that the bow practice has been done from the date of early propagation of buddhism to Silla Dynasty as a adjunctive practice of the repentance practice(Chambeop), i.e the practice mode of confession of one`s sins, and through the faith to many buddhas as like the faith to the seven ancient buddhas and to 53 buddhas. The repentance practice had been done using the method of the repentance practice in Jeomchalseonakeopbogyeong from the period of Silla till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ut since then Jabidoryangchambeop had been used as the method of the repentance practice. It is told that Ryo Se, the famous monk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owed to 53 buddhas 12 times everyda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ddhism was held down by the government power, so buddhism became a faith for good fortune. But from this reason, we could suppose that the bow practice became more popular, because a buddhist should bow to a buddha for good fortune. The modern bow practice have escaped from the buddhism as a faith for good fortune by virtue of works of Seongcheol and Cheongdam, two famous monks of modern Korea, by whom the forms of 108 bows, 3000 bows have been spread in modern Korea. Also the modern bow practice has affected korean society not only as a method of practice but also as a way of the demonstration these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