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존을 위한 석조문화재의 특징과 암석의 풍화현상에 대한 연구(II)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장흥군 일부지역

        이상헌,신철균,최기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1997 보존과학회지 Vol.6 No.1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그리고 장흥군 일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석조문화재에 대하여 앞으로의 보존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문화재의 특징, 암석의 풍화상태 및 보존상태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에는 석탑과 부도 12기, 석불 4구, 비석 3기, 석등 2기, 석장승 4구 및 석당간 1기 등 모두 26점이며, 이들은 국보 4점, 보물 13점, 도유형문화재 2점, 도문화재자료 3점, 그리고 중요민속자료 4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석조문화재에 사용되어진 암석들은 주로 역을 함유하는 응회암질암과 화강암류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대체로 주위에 발달하고 있는 암석들은 문화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들 문화재들은 오랜 시간에 걸친 풍화작용과 이끼들의 영향에 의해 검게 변색되어 있거나 얼룩이 진 것 같은 양상들을 보이고 있다. 많은 부분들이 파손되어 전체적으로 또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것들도 있다. 최근에 보수한 것들 중에는 상이한 종류의 암석을 사용하였거나 암석의 표면을 다른 색으로 칠하여 전체적으로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것도 있어 앞으로의 보존에 있어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석조 문화재의 앞으로의 보존계획 수립과 작업에 있어 암석의 종류, 풍화상태 및 틈의 발달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야 과학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전북지역 보존유적의 현황조사를 통한 활용성 및 개선방안 연구

        위광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매장문화재의 보존조치 결정은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결정하지만, 이전복원 후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접근성 및 활용적 측면에서는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보존조치된 29건의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조사와 실사를 통해 보존 및 활용방안,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이전복원 방법의 기술적 문제점과 접근성 및 활용성의 문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전복원에 사용되는 재료와 보호각의 공학적 연구 등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하고,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보존유적을 도심지 유적 전시관 또는 박물관 등으로 다시 이전해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 중심의 보존 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하며, 지정 및 등록 문화재에 준하는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스템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보존유적의 가치와 역사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The decision on conservation measures for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mad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academic and historical value, but there are areas that need to be reexamined in terms of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and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 survey and inspec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29 preserved ruins in the Jeollabuk-do reg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echnical problems with the previous restoration method, problems with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nd the absence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is, new engineering studies on materials and protective angles used in restoration must be conducted, an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must be increased by relocating the variously distributed preserved remains to urban heritage exhibition halls or museums. There is. In addition, a country-centere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a scientific and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must be based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equivalent to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i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preserved ruins and historical awareness.

      • KCI등재

        충청남도 발굴유구 보존현황 및 보존방안 연구

        위광철,오승준,정제원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7 보존과학회지 Vol.33 No.6

        발굴된 모든 매장문화재는 보존조치의 필요성에 따라 문화재청장은 보존조치를 결정한다. 하지만 보존조치 결과에 따라 이전·복원된 유적의 관리에 대한 법적인 규정이 없는 상태로 인해 관리에 대하여 소홀한 실정이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최근까지 보존조치되어 이전복원된 매장문화재의 보존현황 및 보존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충청남도에서 매장문화재 발굴 후 보존조치된 유적은 23개 유적 46개 유구가 확인되었다. 보존유형 은 해체이전 27개 유구, 유구전사 14개 유구, 해체이전+유구전사 병행 2개 유구, 모형제작 3개 유구로 이루어졌다. 복원 설치된 유적의 지역별로는 부여군 9개 유적, 공주시 3개 유적으로 부여군과 공주시에 12개 유적 18개 유구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시대별로는 백제시대 유적이 16개 유적으로 약 70%를 차지하고 있었다. 보호유형은 노천형이 33개 유구로 약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전복원된 유적 관리 상태조사 결과 관리 주체가 명확한 박물관 등 공공기관은 관리를 위한 자체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보존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관리 주체가 모호한 경우에 는 관리 소홀로 인한 유구 손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명확한 관리 주체의 명시, 주기적인 관리 및 점검, 이전·복원 방법에 대한 보존처리 방법 연구 등이 필요하다. 발굴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목적뿐만 아니라 홍보자료 및 전시자료로도 활용하고 있어 보다 철저한 관리를 통한 매장문화재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ll excavated “buried cultural properties” are supervis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at decides whether to conserve them or not, depending on the necessity for conservation. Currently, there is no legal regulation concerning the administration of relics (including artifacts) and remains (including archaeological sites) that are relocated and restored based on such conservation decisions. Thus, administration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is inadequat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recommends the current state of conservation and conservation methods for buried cultural properties excavated at Chungcheongnam-do thus far. Conserv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excavated at Chungcheongnam-do primarily employ the “relocating and restoration” method; 23 relics and 46 remains employed relocation after dismantling and soil layer transcription method. Moreover, 27 remains were relocated after dismantling and 14 remains employed the transcription method. In terms of area, Buyeo-gun and Gongju-si had 12 relics accounting for about 50%, while according to the period, Baekjae period had 16 relics, accounting for about 70%. In terms of conservation facility, open-air facility had 33 relics, accounting for about 72%.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state of relics’ management indicated that public institutions like a museum with a recognizable management system had their own work force and consequently ensured excellent conservation, whereas if there were no apparent responsible bodies, remains were subjected to considerable damage due to mismanagement. Therefore, this problem can be resolved by identifying a recognizable management body as well as ensuring periodic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The excavated buried cultural properties are utilized not only for academic purposes, but also for PR or as exhibition material. Hence, this study confirms that meticulous management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currently required.

      • KCI등재

        매장문화재에 대한 보존과학의 역할

        이상수,강대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1997 보존과학회지 Vol.6 No.2

        출토된 매장문화재의 소장관리책임은 문화재보호법 제3644호에 따라 국립박물관에 있다. 이러한 문화재는 연간 10,000여점 씩이나 폭증하고 있고 이 숫자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국립박물관의 보관시설은 이미 포화상태를 넘은 상황이며, 따라서 출토문화재는 열악한 시설과 인력이 태부족한 대학박물관 등에 위탁 관리되는 형편이라서 부실보관 등 원초적인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더 큰 문제점은 이들 문화재가 과학적인 보존처리 및 관리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보존과학자가 국립박물관에 5명이며 독립부서조차 없는 실정이고, 전국적으로는 20여명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출토문화재의 보존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도 및 기구(가칭: 매장문화재 통합보존소)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며,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는 과학적인 수장시설의 설치와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보존과학자)으로 구성된 기구의 설립이 절실하므로 이를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문화재 보존철학과 보존윤리의 필요성과 과제

        이수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3

        보존가가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한 철학적 담론을 이해하고 보존에 대한 윤리적 태도를 갖추고 보존원칙을 실천하는 것은 문화재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부족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철학의 부재나 원칙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보존철학과 보존윤리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학술적으로 먼저 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보존철학과 보존윤리의 개념을 서술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문화재 보존의 주체인 정부-학계-전문가가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ethical approach have been crucial aspects in the rational decision-making of heritage conservation. This study analyses why and how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onservation practice. It highlights the key concepts of conservation philosophy and ethic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establish a constructive platform through which researchers may understand the role and importance ofconservation philosophy and ethic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set of recommendation for the government, academic experts, and conservators which will allow them to become actively involve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hilosophical and ethical knowledge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 KCI등재

        목판 문화재 보존처리를 위한 강화처리제 연구

        조상윤,박정혜,김수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목판 문화재의 보존처리를 위해 열화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 Beeswax, Paraloid B-72, 아교, H.P.C 처리제 적용에 따른 시험편의 중량변화 와 수축률, 색 변화, 침투확산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래의 색을 유지하며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처리제로 Dammar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목판 문화재와 손상 상태가 유사하며 목판 문화재의 주요수종과 유사한 열화된 산공재 수종을 이용 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의 적용농도 및 처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Dammar 농도별(2%, 5%) 도포와 Dammar 농도별(10%, 15%) 함침을 진행하였으며 중량변화, 침투확산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연의 색을 유지하면서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Dammar 2% 도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충해 및 열화가 심한 목판 문화재의 강화처리 에는 Dammar 2% 도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 test piece was produced using deteriorated pine tree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and weight change, color change and penetrat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ie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ammar, Wax, Paraloid B-72, Animal glue and H.P.C treatment ag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ammar is the most suitable treatment agent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material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 of the wood. A test piece was produced using deteriorated porous natural wood, which the damage condition is similar to tha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and the main tree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based on above result, and the application of each Dammar concentration (2%, 5%) and wetting of each Dammar concentration (10%, 15%)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application concentration and treatment method of Dammar, and weight change, penetrat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etc. were observ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ammar 2% application was the best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material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 of the woo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Dammar 2% application is most suitable for the strengthening treatmen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with severe insect damage and degradation.

      • KCI등재

        비무장지대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수습 철제 총기류의 보존처리와 탈염처리 방법 고찰

        조하늬,남도현,김미현,이재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6

        비무장지대에서 수습한 총기류 유품은 매장된 상태로 있다가 출토되는 순간 급격한 환경변화 로 인해 부식에 취약하다. 특히 철제 총기류에 있어서 활성부식을 일으키는 염소이온(Cl⁻)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지만 근현대에 제작되었다는 재질 특성과 매장기간을 고려하였을 때 고고유물과 동일 한 탈염조건을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무장지대 내 6⋅25 한국전 쟁 전사자 유해발굴 현장에서 수습한 총기류를 대상으로 보존처리와 탈염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탈 염 실험은 탈이온수와 소디움 세스퀴카보네이크 용액에 온도별로 침적시키는 방법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안정적인 보존방안을 모색하였다. 탈염 실험을 통해 탈염처리 방법에 따른 염소이온의 추출 정도를 비교 실험한 결과, 100℃ 소디움 세스퀴카보네이트에서 가장 많은 용출량을 보였으며 탈염 기간이 1∼2주로 매우 짧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나머지 유품 중 총신과 방아틀 뭉치는 100℃로 가열하여 8시간, 상온에서 16시간씩 매주 1회 약품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총 6회 탈염처리를 실시하 였다. 그러나 탄약이 장전된 총신의 경우 탈염처리 시 고온 및 진공함침으로 인한 압력으로 폭발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탈염처리와 진공함침 강화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The weapons excavated from the de-militarized zones (DMZ) of Korea are vulnerable to corrosion due to the immediate and drastic environmental change. Especially, the chloride ions (Cl⁻) in iron weapons cause active corrosion and require removal. In this study, conservation treatment and de-salination was performed for the discovered weapons from excavation sites of soldiers killed in action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prepare the most stable plan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soaking weapons in distilled water without chemicals and in a solution of sodium (SSC)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the preliminarily experiments, the comparison of the eluted Cl⁻ ions according to different conditions of de-salination show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ions were detected from the de-salination with SSC at a temperature of 100℃, and its duration was much smaller, i.e., 1∼2 weeks. Accordingly, for the parts from the guns and rifles amongst other objects, a six-time de-salination was conducted in the SSC solution for 8 hours at 100℃ and subsequently, for 16 hours at room temperature during which the distilled water and SSC were exchanged every week. However, in the case of a loaded rifle, the de-salination was not conducted, considering the risk that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by impregnation in vacuum could cause an explosion

      • KCI등재

        열화 처리에 의한 목재 보존제의 목조문화재 적용성 평가 연구

        이정민,김영희,원서영,김명남,박지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3

        Wooden cultural heritage ar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s they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nservation due to their location and size. Among them, biological damage caused by termites or mold consumes a lot of money and time. Select and use wood preservatives to prevent biological damage: Wood preservatives were selected and the worst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60±3 ℃, humidity 55±5%, and light intensity of 0.35 W/m2, were subjected to aging treatment to analyze chemical changes. Through the deterioration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color difference decreased in the wood preservative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deterioration process of the wood preservative,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of Gori22 and Bondex Preserve Ⅲ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Wood Keeper A. Through experiments, the shelf life and treatment period can be predicted by measuring the extent to which wood preservatives affect the change of wood specimens during the deterioration process and the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In conclusion, various wood preservatives were prepared, and the possibility of selectively selecting wood preservativ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opography and period was presented as a major evaluation factor. 목조문화재의 대부분은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위치와 크기에 의해 보존에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중 흰개미나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생물학적 피해는 큰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게 한다. 생물학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목재 보존제를 처리하는 방 식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목재 보존제를 선별하여 최악의 환경조건인 온도는 60±3℃, 습도는 55±5 %, 광량은 0.35 W/m2로 열화 처리를 하여 화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열화 과정을 통해 색차변화에서는 Control 군에 비하여 목재 보존제 처리에서 그 변화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 였다. 목재 보존제의 열화 과정에서 함유된 유효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비교 대상인 Wood Keeper A에 비해 Gori22와 Bondex Preserve Ⅲ가 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목재 보존제가 열화 과정에서 목재 시편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와 유효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유효 기간 및 처리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추후 다양한 목재 보존제를 갖추어 선택적으로 환경이나 지형 및 기간에 맞추어 목재 보존제를 선정하는 데 주요 평가 요인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충북지역 매장문화재 보존조치 유적의 현황 및 보존방안에 관한 연구

        위광철,오승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9 보존과학회지 Vol.35 No.6

        Conservation measures for excavated and surveyed buried cultural heritages are decid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and historic values. However, management, preservation, and use after relocation and restoration remain unsystematic. An issue regarding preservation plan and use has arisen due to the damage of preserved heritages and protective facil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for preservation and use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reserved heritages in the Chungbuk area.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43 preserved heritages in Chungbuk, most of which remain unmanaged systematically irrespective of the managing body. Remainder and protective facilities have been damaged due to wrong preservation treatments and selection of materials, and a problem also rises in terms of utilization, such as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ed heritages. To improve such problems, a medium and long-term plan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instruments, securing of budget, increase in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of standardization and inspection manuals, continuous monitoring, preventive preservation, research on relocation methods and materials, listing, and the creation of specialized museum and complex theme park. If a preservation plan suited to the investigated heritages can be developed, heritages can be preserved and managed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like education, exhibition, public relations, etc. 발굴 조사 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역사적 가치에 따라 문화재청장이 보존조치를 결정하 지만, 이전⋅복원 후 관리, 보존, 활용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보존유적 및 보호시설의 손상으로 보존방안과 활용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충북 지역 보존유적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보존방안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충북에는 총 43개의 보존유적이 있었으며, 관리주체의 명확성 여부를 떠나 대부분 체계적인 관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잘못된 보존처리와 재료의 선정 등으로 인해 유구 및 보호시설이 훼손되어지고 있는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보존유적의 훼손으로 전시, 교육, 체험 등 활용성에서도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는 법적⋅제도적 장치의 개선, 예산⋅전문 인력 확보. 표준화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지속적 모니터링, 예방보존, 이전 지료 및 방법 연구, 목록화 작업, 전문 박물관 및 복합 테마 파크 조성 등 중⋅장기적인 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된 보존유적에 맞는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존⋅관리가 이루어지면 보다 체계적⋅과학적으로 보존⋅관리되고 교육, 전시,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3D 프린팅을 이용한 토기 · 자기 문화재 복원 연구

        이해순,위광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2

        문화재 보존처리는 손상된 문화재의 수명을 연장하고 그 가치를 재조명하는 실질적 수단으로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보존처리 과정은 대부분 보존처리자의 경험과 기술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이에 따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문화재의 재질 특성과 형상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손쉽게 보존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지금까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보존처리과정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컴퓨터 상에서 구현된 입체 형상 데이터를 실물로 출력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먼저 문화재의 결손 부분을 컴퓨터상의 데이터로 구축한 다음 3D 프린터로 출력하여 결손 부분을 손쉽게 성형 및 가공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3D 프린터 적용 결과 반복적인 출력 및 디지털데이터의 형태 및 수치 조정이 가능하였으며,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여러 가지 복원재료로 부터 시험출력을 통하여 문화재 복원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자기 결손부분 복원을 위한 3D 프린터 적용 시험을 위하여 현대 재현품인 청자칠보무늬향로와 차륜식토기 2점을 인위적으로 파손시켰다. 복원결과 수작업에 비해 작업시간 단축 및 정확한 형태의 재현 등에서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정밀한 접합 및 표면 질감을 생생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2차적인 수작업이 필요하였다. Cultural assets restoration is being considered highly as a practical way to extend the lifespan of damaged cultural assets and re-highlight their value. However, restoration process has been mostly dependent on the manual work involving the experience and skill of a person performing restoration, thereby requiring much time and effort. In recent, it became possible to apply a method allowing restoration to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hape of cultural assets. Namely, it is to use a method of printing out the 3D shape data computed in computer as real object by using 3D printer for the restoration that has been performed manually. The missing part of a cultural asset is computed into computer data first and is printed out by using 3D printer to undergo a simple shaping process. The result of 3D printer application showed that repetitive output and shape and figure revision of digital data were possible, and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completedness of restoration through test output using various types of restoration materials using various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3D printer to restore missing part of earthenware, two pieces of modern reproductions, namely, the Seven Treasure Incense Burner and Earthenware with Wagon Wheel Decoration, were artificially damaged. The restoration result showed that compared to manual work, it showed better effectiveness in curtailing work time and reproducing accurate shape. On the other hand, secondary manual work was slightly needed for detailed binding and to vividly express surface tex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