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젊은 성인에서 발생한 공장의 선천성 게실로 인한 출혈 1예
한승우,장재영,김정욱,장영운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1
서론: 상세불명의 현성 장출혈 중 약 75%는 소장질환에서 기인하는데 이 중 게실에 의한 출혈은 매우 드물다. 발생할 경우, 주로 60대 이후에서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젊은 성인에서 공장의 진성게실에 의한 출혈은 매우 드물어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자들은 상세불명의 위장관 출혈이 발생한 24세 환자에서 캡슐내시경 및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소장의 상피하종양으로 의심되었으나 수술로 공장에서 발생한 선천성 진성게실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증례: 특이병력 없는 24세 남자가 약 1주일 전부터 발생한 흑색변 및 2일전부터 발생한 혈변으로 내원하였다. 타 병원에서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시행하였으나 원인 병소를 찾을 수 없었다. 내원 당시 혈압 124/80 mmHg, 맥박 84 회/분, 호흡 20 회/분, 체온 36.6 ℃ 이었고, 직장수지검사에서 흑색변이 관찰되었다. 만져지는 복부 종괴는 없었고 압통 및 반발통도 없었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우측 복부의 원위부 공장 고리 추정 위치에 원주 모양으로 장내벽이 두꺼워져 있어 상피하종양이 의심되었다. 출혈의 병소를 확인하기 위해 캡슐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캡슐내시경에서 공장 원위부에 상피하종양이 관찰되었고, 표면에 궤양이나 미란이 분명하지 않았지만 출혈의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복강경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중 육안으로 메켈게실처럼 보이는 5 cm가량의 주머니 형태의 병변이 공장에서 관찰되어 이 부분을 부분절제하고 단단 연결술(end-to-end anastomosis)을 시행하였다. 병리결과는 이소위점막을 포함한 진성 게실이었으며, 환자는 수술 4일째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이 퇴원 후 1년간 증상 재발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한승우,고용호,김성도,신도형 대한토목학회 201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1 No.1
Data analysi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in various fields of engineering. HSI (Home Sales Index)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crucial factors for predicting the economic trend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le a precise prediction of a HSI is very significant, it is limited due to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valuable information and analyzing that information properly. The several conducted studies related to a similar subject have mostly approached to the time series analysis with assumption that the HSI has been influenced with the past patterns such as seasons and historic issues.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the objective of presenting the performance of a new HSI prediction model using a big data analysis method focusing on social factors in high correlations in HSI without any those assumptions. In accordance with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paper suggests a definite methodology for analyzing data and developing a related prediction model using cluster and principal component statistical approached focusing on comprehensive search queries on the Web. The significant results derived from the model applied to HSI prediction can be used as the initial phase of a big data analysis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both academia and industry.
현대일본어 조사에 관한 연구 - 「この/そのNがP」를 중심으로 -
한승우 일본어문학회 2010 일본어문학 Vol.49 No.-
「AはBだ」という構文のAとBの関係については、伝統的に「包摂関係(もしくは要素と集合)と捉えるか、同一(指示)関係と捉えるかで曖昧されてきた」という。コピュラ文「AはBだ」における名詞句ひとつとっても、その「A、B」が指示的名詞句であるか、それとも非指示的名詞句であるかについてはいまだ問題になっており、決着はついていない。また、名詞句A、Bが指示的であるか非指示である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は、主に「AはBだ」というコピュラ文を取り上げてなされており、「AがBだ」というコピュラ文についてはあまり取り上げられていない。以上より、現在も問題となっている名詞句の意味機能について考えながら、「この/そのAは/がBだ」を中心に、「は」と「が」の選択要因につい て考えていきたい。名詞句についての研究がさかんになってきたのは最近のことであり、「は」と「が」の研究について、これまで名詞句の意味機能から「は」と「が」の選択要因にアプローチした研究はあまりない。さらに、名詞句の性質から「は」「が」について考えることにより、これまで の「は」と「が」の研究における行き詰まりを突破できる部分があると考える。
정신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승우,김은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적 안녕감과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K 지역과 G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재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정신적 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24년 4월부터 4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적 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 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정신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신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하여 정신적 안녕감 향상을 돕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같은 효과적인 대처방법들을 인식하고 적용하게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마음건강의 이해 및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대학생활적응 향상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with stress on mental well-being and adjusting to college life among students. For this study, 205 college students located in regions K and G were surveyed using mental well-being, college adjustment, and stress-coping scale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4 weeks, starting April 2024.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ntal well-being, college adjustment, and stress cop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nt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partially mediates their college adjustment through stress coping. In other words, mental well-being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adjusting to college but also influenced it through coping with stress. Therefore, to help the students to adjust in college, it is necessary to help improve their mental well-being and to recognize and apply effective coping methods, such as active stress cop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o help them to adjust to colleg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