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산화물질 고함유 적갈색 유색미 조생종 찰벼 ‘적진주찰’

        양창인,이상복,정종민,김명기,이규성,이점호,황흥구,최용환,김연규,신영섭,정오영,홍하철,천아름,오세관,정지웅,강경호,김철영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지 Vol.44 No.4

        ‘적진주찰’은 2002년 하계에 종피가 적색 메벼인 ‘적진주벼’와 SR27753(상남밭벼/적진주벼)를 교배하여 국립식량과학원 벼품종육종연구팀이 계통육종법에 의해 선발하면서 주요 병해충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에 대해 2007~2008년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조생종이고 종피가 적색이면서 찰벼인 SR28796-10-3-1-1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2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8~2010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적진주찰’이라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중부지역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출수기가 8월 2일로 조생종이다. 간장은 85 cm 정도이고, 수당입수는 136개로 약간 많은 편이다. 현미 천립중은 19.9 g이다. 현미의 종피 색은 붉은색이며 찰벼이다.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은 310 mg /100 g로 ‘적진주벼’ 177 mg/100 g에 비하여 높고, DPPH인 항산화 활성 정도가 456 mg/100 g으로 ‘적진주벼’의 272 mg /100 g에 비하여 높다. 도열병,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 약한 편이다. 현미수량은 중부지역 보통기 보비재배의 3년 평균 4.68 MT/ha의 수준인 품종으로 중부평야지가 재배적응 지역이다. ‘Jeogjinjuchal’, a new reddish brown colored glutinous rice cultivar, was developed by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10.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a a cross between ‘Jeogjinjubyeo’ and ‘SR27753’ (Sangnambatbyeo/Jeogjinjubyeo) in 2002 summer season, and selected as a promising line, SR27753-10-3-1-1, which subsequently select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Suweon524’ in 2008. The local adaptability test of ‘Suweon524’ was carried out at four locations from 2008 to 2010 and it was named as ‘Jeogjinjuchal’. ‘Jeogjinjuchal’ is an early maturity glutinous rice cultivar with 85 cm in culm length. It has higher antioxidants content compared to ‘Jeogjinjubyeo’. ‘Jeogjinjuchal’ is susceptible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virus and insect. The yield potential of brown rice of ‘Jeogjinjuchal’ was about 4.68 MT/ha at ordinary fertilizer level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2008~2010). This cultivar would be adaptable to the plain paddy field in middle Korea under ordinary.

      • KCI등재후보

        내도복성 및 내수발아성 고품질 가공밥 적성 벼 ‘중모1017’

        양창인,조영찬,최임수,김명기,김연규,홍하철,김정주,이점호,서정필,정종민,원용재,안억근,장재기,최인배,이상복,윤미라,정지웅,이정희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지 Vol.46 No.4

        ‘중모1017’은 중부지역 적응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2년 하계에 중생이고 내도열병 및 흰잎마름병 저항성인 수원462호와 쌀의 외관 품위가 좋고 도정특성이 좋은 영덕34호를 교배하여 SR27934-GH1-29-1계통을 선발하고, 수원52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9~2011년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1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중모1017’로 선정되었다. ‘중모1017’은 중부평야지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6일로 ‘화성’보다 6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간장은 65 cm로 ‘화성’의 83 cm보다 18 cm작은 단간 내도복성이고, 이삭길이, 주당 이삭수 그리고 이삭당 입수는 20 cm, 14개 그리고 93개로 ‘화성’과 같았다. 등숙비율은 81.0%로 ‘화성’보다 약간 낮고, 현미 천립중이 22.0 g으로 ‘화성’과 비슷한 중립종이다.‘중모1017’의 도열병저항성은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및 내구저항성 검정 결과 ‘화성’보다 강한 저항성을 보였지만,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및 멸구류에 대한 저항성이 없었다. ‘중모1017’은 도복과 수발아에 강한 반응을 보였지만 내랭성은 ‘화성’보다 약한 반응을 보였다, 입형은 현미 장폭비가 1.71로 단원립이고, 백미외관은 심복백이 거의 없어 맑고 투명하였다. 단백질함량은 6.4%, 아밀로스함량은 18.0%로 ‘화성’의 7.1% 및 20.8%보다 낮아 식미관능검정 결과 0.53으로 ‘화성’보다 밥맛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또한 밥알의 경도가 부드럽고 치반점도와 균형도가 낮고 식은밥과 무균포장밥의 식미가 우수하여 무균포장밥 또는 가공밥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현율과 도정률은 ‘화성’보다 약간 낮고 현백률은 비슷하였지만 도정된 쌀의 완전미율이98.8%로 화성(94.7%)보다 높아 완전미 도정수율은 75%로 ‘화성’보다 우수하였다. ‘중모1017’의 쌀수량은 ‘09∼’11년 3개년 간 7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5.01 MT/ha로 대비품종 ‘화성’과 비슷한 수량성을 보였다. ‘중모1017’의 재배적지는 중부 평야지 이다. The ‘Jungmo1017’ is a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uweon462 which has a good plant architecture, cold tolerance, moderately tolerant to leaf blast and bacterial blight and medium maturing habit, and Yeongdeog34 which has translucent milled rice and good milling properties, by the rice breeding team at NICS, RDA in 2011. The heading date of ‘Jungmo1017’ is August 16 and it is six days later than ‘Hwaseong’. ‘Jungmo1017’ has 65 cm of culm length which is 18 cm shorter than those of ‘Hwaseong’ and 93 spikelet per panicle. The pre-harvest sprouting rate of ‘Jungmo1017’ is 8.6% that is lower than 27.7% of ‘Hwaseong’ on local adaptability test (LAT). It showed resistance to blast diseases and moderately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K1 race)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other races (K2, K3 and K3a) of bacterial blight, viruses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s translucent,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shape. It has better palatability index of cooked rice (0.53) than that of ‘Hwaseong’. ‘Jungmo1017’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6.4%) and amylose content (18.0%). ‘Jungmo1017’ could use aseptic-packaged cooked rice or processing cooked rice because its hardness of cooked rice is soft, setback and balance is low and palatability of cold and aseptic rice showed high score. The characters related to milling is better than those of ‘Hwaseong’. ‘Jungmo1017’ showed 5.01 MT/ha of milled rice productivity at 7 sites of middle plain, southern mid-mountainous and south-east coastal area in ordinary cultivation. ‘Jungmo1017’ could be adaptable to the middle plain area in Korea.

      • KCI등재후보

        다수성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목양’

        양창인,이상복,원용재,안억근,김명기,김연규,현웅조,정종민,황흥구,신영섭,홍하철,이점호,이규성,최용환,최임수,정오영,김준환,장재기,박향미,성낙식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4

        ‘목양’은 국립식량과학원 벼 육종연구진이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1년 하계에 SR24592-HB2319 를 모본으로 하고 신초형 IR73165-B-6-1-1을 부본으로 교배 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으로 2010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 됨과 동시에 ‘목양’으로 명명하였다. ‘목양’의 출수기는 보통 기 재배에서 8월 23일로 ‘녹양’보다 8일 정도 늦은 만생종이 다. ‘목양’은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에는 ‘녹양’보다 강하지만, 흰잎마름병, 벼멸구에는 약한 편이다. ‘목양’은 ‘녹 양’보다 탈립에 강하고, 후기녹체성이 우수하였다. ‘목양’은 가소화양분총량(TDN) 함량이 높고 중성세제불용섬유소(NDF) 와 산성세제불용섬유소(ADF)가 낮았다. ‘목양’의 총체수량은 지역적응시험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17.7 MT/ha 로 ‘녹양’보다 25% 증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목양’은 가소화 양분총량(TDN)은 59.5%였으며 ADF와 NDF가 낮아 상대적 사료가치가 ‘녹양’에 비해 높은 품종이다. ‘목양’의 정조 수량은 보통기 재배에서 5.59 MT/ha로 ‘녹 양’보다 16% 증수되었다. 재배적지는 중부 및 남부평야지 1 모작 지대이다. ‘Mogyang’, a new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i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was to 2010 and released in 2011.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R24592-HB2319/IR73165-B-6-1-1. This cultivar has about 118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and has long and erect leaves (culm length 93 cm). It has tough thick culm with strong lodging tolerance. This cultivar has a few less tillers per hill and markedly more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Mogyang’ has wide and stay green leaf compared other whole crop silage varieties. This new variety has grain shattering resistance and disease resistance for blast and dwarf virus. This variety has good qualities for whole crop silage with high TDN (Total Digestive Nutrient) yield and low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low ADF (Acid Detergent Fiber) compared to common high grain yield varieties. The biomass and TDN yield performance of ‘Mogyang’ was 59.5% (chemical properties), 17.7 MT/ha (biomass yield), individually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Mogyang’ is adaptable to central plain area,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 KCI등재

        벼 초다수 총체 사료용 신품종 "녹양"

        양창인,김홍열,이점호,최용환,이규성,이상복,최임수,정오영,황흥구,신영섭,김명기,김연규,전용희,백진수,양세준,오명규,이영태 한국육종학회 2011 한국육종학회지 Vol.43 No.6

        녹양'은 초다수 총체사료용 벼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6년 하계에 국제미작연구소에서 다수성인 용문벼를 모본으로하고 신초형 IR67396-16-3-3-1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06년 12월에 직무육성신픔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녹양'으로 명명하였으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녹양'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8월16일로 '다산벼' 보다 5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이다. "Nokyang', a new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Oriza sativa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6 to 2006 and released in 2007.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Yongmoonbyeo/IR67396-16-3-3-1. This cultivar has about 130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and is tolerance to lodging with erect pubescent leaves, semidwarf (culm length 78 cm) and thick culm. This cultivar has less tillers per hill and more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than Dasanbyeo. 'Nokyang' has wide and stay green leaf compared other Tongil-type varieties. This new variety is resistant to grain shattering and to some disease including bacterial leaf blight and stripe virus. This variety has good qualities for whole crop silage with high TDN (Total Digestive Nutrient) yield and low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low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high RFV (Relative Feed Value) compared to common high grain yield varieties. The biomass and TDN yield performance of 'Nokyang' is 1,652 MT/ha, 9.9 MT/ha, individually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Nokyang' is adaptable to central plain area, south-eastern plain area of Korea.

      • KCI등재

        벼 가공용 흑자색 연질미 신품종 "흑설"

        양창인,최용환,이상복,이규성,이정호,홍하철,김홍열,신영섭,황흥구,양세준,정오영,전용희,오명규,김명기,이정희,조영찬,이정일,황기호,김연규,이영태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지 Vol.44 No.1

        흑설'은 중생이며 흑색이며 연질 그리고 메벼인 가공용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9년 메벼 연질인 '설갱'를 모본으로 하고 흑색 유색미인 '흑진주'를 부본으로 교배하고 SR25946-B-B-17-2을 선발하여 수원505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흑설'로 명명하였다. '흑설'의 출수기는 보 Heugseol', a new black pericarp and processing sof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6 to 2007 and released in 2008.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eolgaengbyeo' and 'Heugjinjubyeo'. This cultivar has about 13 tillers per hill and more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than that of 'Heugjinjubyeo'. This new variety has grain shattering resistance and is susceptible for bacterial leaf blight and stripe virus. This variety has opaque endosperm, soft texture of cooked brown rice and low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provides better brewing ability and panel score test of brewing alcohol than 'Heugjinjubyeo'. The brown rice yield of 'Heugseol' is 419 kg/10a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Heugseol' is adaptable to central plain area of Korea.

      • KCI등재

        벼 중생 적갈색미 신품종 "홍진주"

        양창인,이규성,최용환,정국현,정오영,황흥구,이점호,김홍열,홍하철,이상복,이영태,양세준,강경호,조영찬,김선림 한국육종학회 2011 한국육종학회지 Vol.43 No.6

        홍진주'는 1990/91년 동계에 수원383호와 '자광벼'가 교배 된 F2 계통에 수원383호를 여교배하여 얻은 후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세대를 촉진시키고 각종 특성검정을 실시하면서 생산력검정을 통하여 중생 적갈색 유색미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0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를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6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홍진주'로 명명되어 중부 및 남부평야지에 적응하 ongjinju' the reddish brown coloured rice variety,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06 and released in 2007. The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uwon 383, and SR18164F2, a reddish brown pigmented line. 'ongjinju'is medium maturity with 133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and is japonica-type with about 82 cm in culm length. 'ongjinju'has slightly less number of tillers per hill and more spikelets of panicles than those of 'eugjinjubyeo' It is susceptible to leaf blast, other disease and insect pests. It shows intermediate germination ratio at low temperature and similar tolerance to leaf discolor at seeding stage and heading-delay but it is resistant to spikelets-sterility type of cold damage at maturing stage compared with 'eugjinjubyeo' Th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n brown rice is about 5.07 MT/ha and is adaptable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lain areas of Korea.

      • KCI등재

        벼 재배 품종과 환경의 상호작용

        양창인,양세준,정영평,최해춘,신영범 韓國作物學會 2001 한국작물학회지 Vol.46 No.6

        강원도 지역에 적응성이 있는 품종을 선정하기 위해서 5개 시험지에서 11개 품종으로 1997년부터 2000년 동안에 수행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품종이 가지고 있는 유전적 특성은 환경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거쳐 발현되므로 장려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다지역검정에서 이 유전자-환경간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은 품종의 환경안정성과 지역적응성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활용되어 온 회귀분석모델로서 안정성을 분석하였고 AMMI model로서 지역별 수량성 반응의 변화양상을 토대로 유전자-환경간간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면서 각 시험지별 적응성 품종과 지역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1. 각 시험지에 대한 수량안정성 평가를 위한 회귀분석 결과 오봉벼, 진미벼, 신운봉벼, 운봉벼 등이 안정성이 있는 품종이었다. 2. AMMI 분석에 의한 수량성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 변이중 품종변이가 66%, 품종-환경간 상호작용변이가 21%, 지역간 변이가 13%였다. 21%의 품종-환경간 상호작용 변이는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제1주성분치(IPCAl)와 제2주성분치 (IPCA2)에 의해서 거의(92%) 해석되었다. 3. 품종들의 지역간 수량성 변화패턴은 육성모지나 시험지 등에 영향을 받았고, 5개 시험지의 수량변화 양상은 철원과 정선, 춘천과 고성이 비슷하였고 강릉은 다르게 구분되었다. 품종-환경간 상호작용 양상이 축약된 주성분분석치와 시험지별 재배기간동안의 순별 평균 기상자료와의 상관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품종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주요 기상요인은 초상최저온도, 최소상대습도, 일조시수 강수량 등이었다. 4. 비교적 환경안정성이 있는 품종으로는 오대벼, 오봉벼, 진부벼 등이었다. 철원에 적응성이 있는 품종은 진부벼, 신운봉벼, 오대벼, 오봉벼 등에었고, 춘천에는 진미벼 상주벼, 오대벼, 오봉벼가 정선, 강릉, 고성에는 진부찰벼, 삼천벼, 둔내벼 , 운봉벼, 진부올벼가 적응성이 있었다. 0.57, Fe 0.414, p 94.68, fat 3.74, protein 3.08, lactose 4.68,4. In case of processed market cow′s milk ; Ca 134.72, K 142.74, Mg 10.33, Na 45.07, Zn 0.50, Fe 0.650, p 92.48, fat 3.72, protein 3.07, lactose 4.74. According to the group of market milk(milk, fortified market row′s milk, processed market cow′s milk), the mean concentration of Ca and F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ortified and processed milk than milk(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cronutrient(fat, protein, lactose) and mineral contents between pasteurized milk and UHT(ultra high temperature) treated milk(α =0.05). The labeled "Nutritional Facts" of market milk were satisfied with "Labeling Standards for Livestock Products of Korea".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of Ca, Fe, Zn were generally higher than lower limit of labeled value(above 80% of labeled value). The mean concentration of sodium was lower than upper limit of labeled value(below 120%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Korea now operates a system called Rice Variety Selection Tests (RVST), which are now being implemented in eigh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located in eight province RVST's objective is to provide accurate yield estimates and to select well-adapted varieties to each province. Systematic evaluation of entries included in RVST is a highly important task to select the best-adapted varieties to specific location and to observe the performance of entries across a wide range of test sites within a region. The rice yield data in RVST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Kangwon province during 1997-2000 were analyzed.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ree replications of a random complete block design with eleven entries across five locations. Additive Main effects and Multiplicative Interaction (AMMI)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genotype and environment (G~times E) in the biplot form. It was found that genotype variability was as high as 66%, followed by G~times E interaction variability, 21%, and variability by environment, 13%. G~times E interaction was partitioned into two significant (P<0.05) principal components. Pattern analysis was used for interpretation on G~times E interaction and adaptibility. Major determinants among the meteorological factors on G~times E matrix were canopy minimum temperature, minimum relative humidity, sunshine hours, precipitation and mean cloud amount. Odaebyeo, Obongbyeo and Jinbubyeo were relatively stable varieties in all the regions. Furthermore, the most adapted varieties in each region, in terms of productivity, were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