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fampin으로 폐결핵 치료 중 발생한 혈소판 감소증 1례

        박석원,조희숙,김황민,임백근,김종수,Park, Seok Won,Cho, Hee Suk,Kim, Hwang Min,Lim, Baek Keun,Kim, Jong Soo 대한소아감염학회 200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7 No.2

        저자들은 흉막삼출액을 동반한 폐결핵으로 입원한 13세 여아가 isoniazid 및 rifampin으로 치료 중 혈소판 감소증을 보였으며, 혈소판이 정상으로 회복된 후 리팜핀의 재투여로 발생한 혈소판 감소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ifampin is a bactericidal antibiotic used primarily in the treatment of tuberculosis. The adverse effects of rifampin, though few, include dermatologic, gastrointestinal, and hepatic manifestations. Occasionally it produces a flu-like syndrome, interstitial nephritis, hemolytic anemia, and thrombocytopenia. These manifestations usually appear in patients who take the drug intermittently. We experienced a 13 year-old girl who developed thrombocytopenia during rifampin administration of daily dosage, therefore we report a brief review with the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

        픽사 애니메이션의 시나리오 구조와 특징

        박석원(Park, Suk-Wo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3 영상기술연구 Vol.- No.18

        Pixar follows the Hollywood’s 3 act structure. When we analyze Pixar animation with 3 Act structure’s perspective, we can see that I follows the basic rule of Act1, Act2, and Act3 well. In the inciting incident, something bad happens to the hero but the hero false reacts to the incident which aggravates the problem. This happening leaves the hero no choice but to start the adventure. The First Act Break is the part when the adventure begins. In the end of Act2, which is the Second Act Break, the hero achieves the goal that he made in the First Act Break. However, that happiness doesn’t last long because of a reverse situation and the hero struggles more. The crisis becomes worse that the hero has no choice but to make a definite determination. In the Climax of Act3, the definite action of the hero helps to overcome the problem and finally attains victory. We will look at how Pixar Animation followed the basic 3 Act structure.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 놀이치료의 의사소통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석원(Park Suk Wo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유아 발달에서 언어발달은 중요한 부분으로 차지하고 그 중 의사소통 행동, 즉 의사소통행위의 증가를 통해 유아는 의사소통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보아 유아의 언어기능 발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모와의 언어 및 의사소통행동을 위한 부모-자녀 놀이치료로 시도하려 한다. 그로인해 유아 및 모의 의사소통 행위의 질적 변화에 대해 검증하고,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제시하기 위해 의사소통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발달에 어려움으로 지체를 보이는 유아 5명과 그들의 부모인 모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대상 유아는 유의미한 발화보다는 발성을 통한 의사소통이 주로 나타났으며 첫 낱말 출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일상적인 구어나 낱말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언어적 발달 연령은 언어발달검사(SELSI)결과 20개월 이하이며 생활연령이 32개월에서 40개월 사이에 유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들이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놀이적 방법을 치료실에서 치료자가 직접 교육을 하고 훈련을 하여 부모가 직접 적용 해 보도록 하고 매회기는 녹화를 통해 유아와 모의 행위를 관찰하고 모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회기는 주 2회씩 12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기간은 약 2개월간 소요 되었다. 사전평가는 부모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기 전 장난감 교구를 이용하여 20분간 녹화하였다. 사후평가는 프로그램 12회기를 모두 마치고 치료사의 개입 없이 유아와 모의 놀이상황을 20분간 녹화를 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유아 및 모의 의사소통행위의 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나 자녀들의 치료로 인해 빈도가 낮은 행위에 대해 의사소통행위의 주요 13개 요소가 모두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중재 전후 유아와 모는 의사소통을 위한 행위의 질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첫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5명의 유아 모두 의사소통 행위의 빈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의사소통 유형에서도 분석내용으로 선정한 의사소통 유형들이 증가하고 질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모든 모가 유아와의 부족했던 의사소통행위가 상호작용 상황이 증가하고 행위의 질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유아의 의사소통행위에 질적인 변화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부모나 자녀들의 의사소통행위의 주요요소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아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시키고 모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해 의사소통행위의 질적 변화로 언어적 기능의 발달에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views linguistic development as a significant part of infantile development and also believes that infants are able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by increasing communication behavior, or the acts of the acts of communication, hoping to attempt parent-child play therapy to promote linguistic and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 mother - an act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inf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behavior to verify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and to propose play therapy of the parents-children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ve infants who are showing developmental delay and the five mothers. The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communication through voices rather than significant speech, started speaking their first words, and have difficulty in everyday colloquial language and words. Also, the age of linguistic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20 months or less according to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living age between 32 months and 40 month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ethod of the therapist educating and training the mothers on the playful methods that may be applied by the parents to the children in the treatment room, with each session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observing the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through video recording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 mother.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two weekly sessions, with the study period extending over approximately 2 months. Preliminary exhibition was conducted by recording for about 20 minutes by using toy teaching aid before carrying out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arent; post-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video-recording the playing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therapist afte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tudy verified that play therapy of the parents and the child could bring qualitative changes to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The key 13 factors of communication behavior all increased for the low-frequency behavior due to the treatment of the parents or the children, and qualitative changes for communication behavior were observed after mediation. As a conclusion, firstly,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increased in all five infants as the result of parent-child play therapy, and the frequency of the types of communication selected as the content of analysis increased and showed qualitative change. Secondly, parent-child play therapy increased interaction in the lack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all mothers and infants and furthermore led to qualitative changes of behavior. In summary of the results, play therapy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is able to lead to qualitativ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and also led to increase of the key factor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arent-child play therapy capable of promot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would lead to qualitative changes to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 parent-mother play therapy serving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the qualitative changes of communication behavior.

      • KCI등재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과 미국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공정의 차이

        박석원(Suk Won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2

        한국은 2D 애니메이션의 튼튼한 기반아래에 좋은 인적 자원들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시장이 활발하지 못하여, 좋은 인력들이 해외 또는 다른 분야로 빠져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용 애니메이션시장에 집중되어 있는 특수적인 국내 환경을 생각했을 때, 우수한 장편 애니메이션의 제작은 한국 애니메이션의 균형적인 발전과 글로벌 시장의 진출로 인한 시장 확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어떤 발전이 필요한가라는 고민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2014년에 한국에서 디즈니의 <겨울왕국>이 천만관객을 넘어서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는 한국에서도 극장용 애니메이션 관객층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직 한국에서 제작되어 온 장편 애니메이션의 질적인 수준이 글로벌 시장인 할리우드에 진출할 만큼 충분하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이다. 한국에서 제작하는 장편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시장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서는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어떤 제작 시스템을 갖고 있는지, 우리와 무엇이 다른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에서 장편을 제작하는 회사의 시스템을 보면 프리프로덕션 과정에서 스토리 부서가 프로덕션 과정에서는 레이아웃 부서가 부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야기를 개발하는 과정과 연출을 발전시키는 단계가 거의 형식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높은 퀄리티의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 부서와 레이아웃 부서를 중심으로 할리우드 메이저 제작사에서는 어떻게 스토리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레이아웃 부서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연출을 발전시키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제작 과정이 좀 더 선진화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높은 수준의 장편 애니메이션이 제작이 한국애니메이션 시장의 발전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how to develop Korean animation industry. As we know,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has concentrated its attention on infant TV animation. Although, TV animation series creates enormous benefits, the manufacture of feature animation should be increased to open new global market. However, it is true that the quality level of Korean feature animation is not as high as that of global market. Korean animation should carry out radical reforms to upgrade quality level of Korean feature animation and study w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pipeline and hollywood.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the story station and layout station of major animation studios in America and analyze their pipeline. This study maybe very useful to establish more efficient operatin procedure in Korean animation industry.

      • SCOPUSKCI등재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 영역 하연의 개별화

        박석원(Suk Won Park),안용찬(Yong Chan Ahn),허승재(Seung Jae Huh),전호경(Ho Kyung Chun),강원기(Won Ki Kang),김대용(Dae Yong Kim),임도훈(Do Hoon Lim),노영주(Young Ju Noh),이정은(Jung Eun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 적:직장암의 림프액 배액의 주된 경로는 종양의 위치가 항문환에 근접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근위부를 향하므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조사영역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에 따를 경우 하부 골반강과 회음부에 불필요한 방사선조사를 하게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 수술 문합부로부터 2 cm 내지 3 cm 하방으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치료 실패의 양상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4년 9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근치적 하전방 절제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Modified Astler-Coller (MAC) 병기 B2에서 C3까지인 88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환자 수는 각각 44명씩이었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7세(32-81세)였다. 2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저용량의 5-fluorouracil을 포함한 항암 화학요법을 병용하였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6, 10, 15 MV X-ray를 이용하여 후전-좌우 대향의 3문 조사법으로 전골반부에 45 Gy와 종양 병소부위에 6 Gy를 5.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다. 연구 기간 초기의 16명의 환자에서는 전통적인 방사선조사영역 결정법을 적용하여 폐색공 하단, 또는 수술 문합부의 2 cm 내지 3 cm 하방 중에서 보다 낮은 쪽을 방사선조사영역의 하연으로 정하였으며, 나머지 7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문합부에서 2 cm 내지 3 cm 하방에서 조사영역 하연을 개별적으로 결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개별화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으로 55명(76%)의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 두 군에 대해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생존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고 예후 인자의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추적 관찰 기간은 7개월부터 58개월이었으며, 중앙 추적기간은 27개월이었다. MAC 병기로 구분시 B2가 32명(36%), B3가 2명(2%), C1이 2명(2%), C2가 50명(57%), C3가 2명(2%) 이었다. 전체 환자의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94%와 68%였으며, 2년과 4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6%과 58%였다. 첫 치료 실패로서 국소 재발이 4명, 원격전이가 14명, 그리고 국소 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는 경우가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 결정을 전통적인 방법을 적용한 군과 수술 문합부의 위치에 따라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한 군을 비교하여 볼 때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2, p=0.68). 종양 색전자의 존재는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 생존율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관찰되었다. 결 론: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 환자들의 병소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전통적인 하연 결정방법에 비하여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생존율에 있어서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부피를 줄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방사선치료 부작용과 후유증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When determining the lower margin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iel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recommended by Gunderson), the organs located in the low pelvic cavity and the perineum are vulnerable to unnecessary radi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on the failure patterns. Materials and Methods:Authors included 88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ller (MAC) stages from B2 through C3,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nd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rom Sept. 1994 to May 1998 at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The number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44 and 44, and the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32-81 years). Three field technique (posterior-anterior and bilateral portals) by 6, 10, 15 MV X-rays was used to deliver 4,500 c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600 cGy's small field boost to the tumor bed over 5.5 weeks. Sixteen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by traditional field margin determination, and the lower margin was set either at the low margin of the obturator foramen or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whichever is lower. In 72 patients, the lower margin was set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irrespectively of the obturator foramen, by which the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was possible in 55 patients (76%). Authors evaluated and compared survival,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se two groups. Results: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7 months (range:7-58 months). MAC stages were B2 in 32 (36%), B3 in 2 (2%), C1 in 2 (2%), C2 in 50 (57%), and C3 in 2 (2%) patients, respectively. The entire patients' overall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94% and 68%, respectively,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86% and 58%, respectively. The first failure sites were local only in 4, distant only in 14, and combined local and distant in 1 patient,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p=0.42, p=0.68) between two groups of different lower margin determination policies. Conclusion:The new concept in the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depending on the anastomotic site has led to the equivalent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radiation-related morbidity by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lower margin determination.

      • KCI등재후보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서의 광자선 깊이선량률 측정을 위한 검출기의 특성 비교

        강세권,박석원,오도훈,박희철,김수산,배훈식,조병철,Kang Sei-Kwon,Park Suk Won,Oh Do Hoon,Park Hee Chul,Kim Su Ssan,Bae Hoonsik,Cho Byung Chu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2

        표면 선량을 포함한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 대한 깊이선량률(percentage depth dose)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적절한 측정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6 MV 광자선에 대해 Atiix와 Markus 평행평판형 이온함, 원통형이온함, 그리고 다이오드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었다. Attix 이온함에 의한 측정을 기준으로 할 때, Markus 이온함의 측정은 민조사면(open field)에서 $2\%$ 내로 일치하였으나, 오염전자가 포함된 광자선의 경우에는 최대 $3.9\%$의 차이를 보였다. 원통형 이온함과 다이오드 선량계의 경우에는 이들 검출기가 물 팬텀에 완전히 잠긴 이후부터는 오염전자가 포함된 광자선에 대해서도 각각 $1.5\%$ 혹은 $1.0\%$ 내의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민조사면에서 표면선량을 포함한 깊이선량률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평행평판형 이온함이 추천되나, 표면에서의 정확한 선량에 특별한 관심을 두는 경우가 아니면, 원통형 이온함이나 다이오드 선량계를 이용하여 선량보강영역의 깊이선량률을 측정하는 것은 양호한 결과를 준다고 할 수 있다.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ut of various available methods to measure build-up doses, the measurements and comparisons of depth doses of build-up region including the surface dose were executed using the Attix parallel-plate ionization chamber, the Markus chamber, a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and a diode detector. Based on the measurements using the Attix chamber, discrepancies of the Markus chamber were within $2\%$ for the open field and increased up to $3.9\%$ in the case of photon beam containing the contaminant electrons. The measurements of an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and a diode detector accord with those of the Attix chamber within $1.5\%\;and\;1.0\%$ and after those detectors were completely immersed in the water phanto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allel-plate chamber is the best choice to measure depth doses in the build-up region containing the surface, however, using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or diode detector would be a reasonable choice if no special care is necessary for the exact surface dose.

      • SCOPUSKCI등재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 장기 추적관찰의 결과

        우홍균,박석원,박찬일,Wu Hong-Gyun,Park Suk-Won,Park Charn-I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적 : 식도암의 빈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근치적 수술이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술의 대상이 되는 환자는 많지 않으며 방사선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만으로 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에서 1992년 12월까지 289명의 식도암 환자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 중에서 84명은 다음의 이유로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쇄골상림프절 외의 원격전이 22명, 4500cGy 미만의 불완전 방사선치료 52명, 추적관찰 불가능 10명. 따라서 205명이 이 분석의 대상이며, 생존한 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은 77개월에서 180개월이었다. AJCC 분류법에 의한 병기 분포는 I기 2명, IIA기 104명, IIB기 26명, III기 48명, IV기 2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방사선치료만 시행 받았다. 방사선치료 선량의 범위는 4500 cGy에서 6980cGy까지로 중앙값은 5940cGy 였다. 결과 : 모든 환자의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과 5년 및 10년 생존률은 각각 22.4$\%$와 10.2$\%$ 및 5.3$\%$ 였다. 대부분의 치료 실패는 국소재발이었다. 재발한 169명의 환자 중에서 111명은 국소재발이 유일한 재발이었고 134명은 국소재발을 포함하고 있었다. 생존율에 대한 예후인자에 대한 단변량분석에서 병기, T-병기, N-병기, 운동수행능력, 병소의 크기 및 치료의 목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인자였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N-병기와 병소의 크기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 식도암 환자를 방사선치료 후 장기 추적관찰한 결과 10.2$\%$의 5년 생존율 및 5.3$\%$의 10면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N-병기 및 병소의 크기가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Purpose : The incidence of esophageal carcinoma is increasing. Radical surgery is the treatment of choice, but large proportion of the esophageal cancer patients are with unresectable disease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so radiation therapy has been the major treatment modality. We carried out retrospective analysis to see the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of radiation therapy alone for esophageal carcinoma. Methods and Materials : From June of 1979 through December 1992, 289 patients with esopha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these patients, 84 patients were excluded as they were ineligible for the current analyses. Twenty-two patients had distant metastasis other than supraclavicular lymph node metastasis, 52 patients received less than 45 Gy, and 10 patient were lost from follow-up. Therefore 205 patients constituted the base popula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AJCC s1aging system, there were 2 patients with stage 1, 104 with stage IIA, 26 with stage IIB, 48 with stage III, and 25 with stage IV Radiation dose ranged from 4500 cGy to 6980 cGy with median dose of 5940 cGy. Follow-up period of the alive patients ranged from 77 to 180 months. Results : The Median survival period of all the patients was II months and the 2-, 5-, and 10-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22.4$\%$, 10.2$\%$ and 5.3$\%$, respectively. Most of the failures were local recurrences. Of 169 failures, 134 had local failure as a component and 111 had local recurrence only. The Lymph node was most common distant metastatic site and the next was the lung. The stage, T-stage, N-stage, functional status, tumor size, and aim of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by univariate analyses. But only tumor size and N-stage were significant by multivariate analyses. Conclusion : We could get 10.2$\%$ of 5 year survival rate and 5.3$\%$ of 10 year survival rate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The size of tumor and N-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on multivariate analyses.

      • SCOPUSKCI등재

        전립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루 전립선특이항원 농도 변화 양상

        김보경,박석원,하성환,Kim Bo-Kyoung,Park Suk Won,Ha Sung Wha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전립선특이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은 전립선암의 진단,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후 결과 판정 및 추적관찰 등에 널리 사용된다.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전립선암 환자에 있어 혈중 PSA 농도가 감소되는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환자의 방사선치료 후 결과 판정 및 추적관찰 시 PSA 를 이용한 경과 판정에 필요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4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방사선치료를 받은 전립선암 환자로, 호르몬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지 않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골반에 45 내지 50Gy 조사 후 축소조사야로 14 내지 20Gv를 추가하여, 전립선에 총 63 내지 70Gy를 조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 내지 66개월로 중앙값은 26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혈중 PSA 농도의 정상화 기준은 3.0ng/ml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 혈중 PSA의 농도는 방사선치료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감기는 0.6 내지 4.0개월로 평균 2.1(${\pm}$0.9)개월, 중앙치는 1.9개월이었다. 20명의 환자 중 19명(95%)에서 PSA 농도가 정상 범위에 도달하였고, 정상범위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기간은 방사선치료 종료 직후 내지 12개월로 평균 5.3(${\pm}$2.7)개월, 중앙치는 5.0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전의 PSA 농도가 10ng/ml 미만이었던 8명 중 2명에서 방사선치료 종료 시 PSA 농도가 정상화되었고, 10ng/m1 이상이었던 12명에서는 치료 종료 시까지 정상화되지 않았다. PSA 농도가 정상화된 19명의 환자에서 근치적방사선치료 후 혈중 최저 PSA 농도(nadir PSA)는 0.2 내지 1.8ng/ml로 평균 0.8(${\pm}$0.5)ng/ml, 중앙치는 0.6ng/ml 였다. 최저 PSA 농도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6 내지 23개월로 평균 13.5(${\pm}$4.3)개월, 중앙치 14.0개월이었다. 치료 후 추적관찰 중 2명에서 PSA 농도가 임상적 재발 진단 6개월 및 20개월 전에 증가되었다. 결론 : 혈중 PSA 농도가 방사선치료 후 12개월 이내에 정상화되지 않는 경우 전립선내의 잔류암이나 원격전이를 의심할 수 있으며, 치료 후 추적 관찰 시 재발의 조기진단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is a useful tumor marker, which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index and predictor of both treatment and follow-up result in prostate cancer. A p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period of PSA normalization and the half life of PSA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iod of PSA normalization. The PSA level was checked before and serially after radical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 : Twen쇼 patients with clinically localized prostate cancer who underwent radic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ccrual period was from April 1993 to May 1998. Medi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Radiotherapy was given to whole pelvis followed by a boost to prostate. Dose range for the whole pelvis was from 45 Gy to 50 Gy and boost dose to prostate, from 14 Gy to 20 Gy. The post-irradiation PSA normal value was under 3.0 ng/ml.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serum PSA level evaluation were performed at 3 month interval in the first one year, and then at every 4 to 6 months. Results : PSA value was normalized in nineteen patients (95%) within 12 months. The mean period of PSA normalization was 5.3 (${\pm}$2.7) months. The half life of PSA Of the nonfailing patients was 2.1 (${\pm}$0.9) month. The nadir PSA level Of the nonfailing Patients waS 0.8 (${\pm}$0.5) ng/ml. The period of PSA normalization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treatment PSA level (R$^{2}$=0.468). The nadir PSA level had no definit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treatment PSA level (R$^{2}$=0.075). The half life of serum PSA level also had no definite correlation with pretreatment PSA level (R$^{2}$=0.029). Conclusion :The PSA level was mostly normalized within 8 months (85%). If it has not normalized within 12 months, we should consider the residual disease in prostate or distant metastasis. In 2 patients, the PSA level increased 6 months or 20 months before clinical disease was detected. So the serum PSA level can be used as early diagnostic indicator of treatment failure.

      • KCI등재후보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고선량 정위 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홍세미,지의규,박석원,김일한,하성환,박찬일,Hong Semie,Chie Eui Kyu,Park Suk Won,Kim Il Han,Ha Sung Hwan,Park Charn I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 중 하나인 해면상혈관종의 치료에 있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2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해면상혈관종으로 11명이 방사선수술을 받았다. 진단은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내려진 것이 8예였으며 3예에서는 조직학적으로 진단이 되었다. 병변의 위치는 대뇌부 3예, 시상부 1예, 뇌간 5예, 소뇌 2예였으며 진단 당시의 임상증상은 뇌내출혈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을 보인 환자가 9예였으며 2예에서는 경련을 나타내었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선량의 중앙값은 회전중심점 선량의 80$\%$를 기준으로 16 Gy (범위: 14$\~$24 Gy)였다. 11명의 환자 중 10예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다. 결과: 49개월의 중앙추적관찰기간 동안(범위: 8$\~$73개월) 2예의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시행 8개월 후에 재출혈이 일어났으며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64개월 이후에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정위방사선수술 후에 1예는 출혈의 증거 없이 신경학적으로 악화되었고 2예는 임상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채 T2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가 나타났다. 결론: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정위방사선수술은 재출혈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부작용 또한 크지 않았으나 재출혈에 대해서는 충분한 기간 추적관찰을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stablish the role of stereo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vernous angl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95 and May 1997, 11 patients with cavernous angioma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Diagnoses were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8 patients, and the histological in 3. The vascular lesions were located on the brainstem (5 cases), cerebellum (2 cases) thalamus (1 case) and cerebrum (3 c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 at onset included previous intracerebral hemorrhages (9 cases) and seizures (2 case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a linac-based radiosurgery. The median dose of radiation delivered was 16 Gy ranging from 14 to 24 Gy, which was typically proscrib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50 $\~$ 8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esion with a single isocenter. Ten patients were followed-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49 months ranging from 8 to 73 months, during which time two patients developed an intracerebral hemorrhage, 1 at 8 months, with the other at 64 months post radiosurgery. One patient developed neurological deficit after radiosurgery, and two developed an edema on the T2 weighted images of the MRI surrounding the radiosurgical target. Conclusion: The us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a cavernous angioma may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rebleedlng, and can be safely delivered. However, a longer follow-up period will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