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경록(Min Kyung Rok),장길상(Jang Gil Sa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기업 및 기관 등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안전의식, 그리고 안전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안전의식의 매개역할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안전의식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기업 및 기관들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32부가 회수 되었고, 그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18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의 자기목표 설정,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자기상상 요인은 안전의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은 안전문화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셀프리더십의 자기보상, 자기반성, 자기관찰 요인은 안전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 간에 안전의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자기반성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이 완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자기보상 및 자기관찰과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안전의식은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셀프리더십이 안전의식을 매개로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된 연구모형을 처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안전의식과 조직의 안전문화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전교육과 함께 셀프리더십 교육을 병행 실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이를 통해서 조직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culture for organizational members includ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particular, empirical analysis focused on the role of safety awarenes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elation to self-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verified. Looking a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elf-leadership affects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awareness is used as a parameter in this process.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ing at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n Ulsan.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32 copies were collected. Of those, 218 were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unsatisfactory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elf-fulfillment, self-compensation, self-reflection, self-observation and self-imagination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nsciousness. Safety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culture. Self-reward, self-reflection, and self-observation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ultur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onsciousness between self-leadership and safety culture, it was found that safety consciousnes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safety cultur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ward and self-observation and safety culture, safety consciousness was shown to perform partial media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first presented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awareness. In addi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suggested that self-leadership education is conducted concurrently with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members safe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 안전관리 프로그램 분석에 의한 안전문화 Framework 개선방안 연구

        조문택(Jo, Moon Tae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7 안전문화연구 Vol.- No.1

        세월호 침몰사고(2014년), 경주대지진(2016년) 이후 안전관리 향상을 위한 국민적 의식변화와 안전문화 수준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하여 안전문화에 대한 개선된 Framework를 제안하고자 한다. 안전문화 Framework 분석은 선진외국의 안전문화에서는 발전 및 영향요소와 안전 확보 및 평가요소의 프레임이 확인 되었다. 안전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조직과 구성원에 인식과 역할과 책임, 작업허가에 대한 절차와 약속에 대한 시스템적 프레임이 확인 되었다. 안전문화 Framework 구성제안의 결론은 사전계획 단계에서는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방침과 목표설정, 자원구성, 안전수준조사 프레임이 제안되었다. 운영단계에서는 최고책임자의 리더십과 책무,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작업환경과 평가, 안전문화 평가, 안전경영검토에 대한 프레임이 제안되었다. Since Sewol-Ho disaster (2014) and Kyung-Ju earthquake (2016),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safety culture level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Thus, we propose an improved framework for safety culture. The analysis of the safety culture framework confirmed the frame of development and impact factors, safety assurance and evaluation factors in advanced foreign safety culture. In the safety culture program, a systematic framework for recognition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procedures and commitments to work permits has been identified for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Baled on the study obtained, Safety culture framework is that the policy, target setting, resource composition, and safety level survey frame for safety culture construction were proposed in the preplanning stage. During the operational phase, a framework for leadership and accountability of top manage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embers, work environment and evaluation, safety culture evaluation, and safety management review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의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Park Jeong Mee),강경숙(Kang Kyung Soo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양질의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조사 연구로서 연구목적은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를 대상으로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와 각 변수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과 J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0 통계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윤리의식은 5점 만점에 4.27점,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95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4.3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 검증 결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위요인인 조직시스템, 직무태도, 관리활동, 일반적 특성 중 현 시설에서의 근무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68.4%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대상자가 지각한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을 돌보는 대상자의 안전관리 서비스의 질 평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대상자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 활동 및 환자안전문화 인식 고양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awarenes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66 nursing assistants and care givers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mong those who were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subjects scored an average of 4.27 points on awareness of ethics, an average of 3.95 points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an average of 4.31 point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verage daily work hours. The subjects awareness of ethic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actors having the most effect on the subjec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organization system, job attitude and management activities, all of which we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employment years at the current facility,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8.4 %. In summary, this study found that care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major effec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Consequently, education program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relation to employment years, organizational systems, job attitude and management activitie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Kim Ji Won),이은주(Lee Eun Joo)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1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간호사의 안전한 간호활동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는 U광역시 종합병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4.0 Program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사후분석, Duncan 사후분석,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의 총점은 5점 만점에 평균 3.39점이며, 조직의사소통만족은 3.23점, 안전간호활동은 4.1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 및 안전간호활동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조직적 특성은 안전위원회, 안전캠페인 경험, 안전교육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의사소통만족, 안전간호활동 간에는 Pearson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양의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26.3%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하였다. 그리고 조직의사소통만족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더 노력해야할 항목이며,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을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안전위원회 구성, 안전위원회에서 활동해야 할 영역으로 가장 기본적인 안전캠페인과 안전교육, 그리고 안전간호활동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의료기관의 제도적 도입으로 자체적인 안전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is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safe care activities, thereby providing baseline data for the prevention of work accidents and promotion and management of nurses’ safe care activities. In this regard, it examined 159 subjects, who comprehe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it, from among regular nurses who had been providing direct care to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for six months or longer.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 Duncan post-hoc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WIN Ver. 24.0 Program.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hospital nurse scored 3.39 for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3.23 fo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4.13 for safe care activities. Secondly, gener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commonly affect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 car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e presence of a safety committee, experience of a safety promotion campaign, and safety education. Thirdly, Pearson s correlation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 care activities. Fourthly, the multiple regression found tha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could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 care activitie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26.3%. Moreover, a safety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committee must provide a safety promotion campaign and educatio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governmental policy efforts as well as institutional measures at the level of medial organizations for safe care activities in order for them to develop an effective safety educational program on their own.

      • KCI등재후보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이종식(Lee Jong Si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2020년 상반기 기준 국내 건설현장에서 2,28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부상자는 2,206명, 사망자는 162명으로 집계되었다. 건설현장은 공사 진행 일정 및 위험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빈도가 높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의 90% 정도는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건설업에서 바람직한 안전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2000)의 안전문화모델과 Fleming(2000)의 안전문화 성숙모형, 러프버러대학교(1999)의 안전문화평가도구, 홍인기 등(2016)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행동관찰방법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 방법을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각각의 영역(환경, 사람, 행동)에 대한 평가는 가능하였다. 하지만 환경영역 평가 결과와 사람영역 평가 결과, 행동영역 평가결과가 각각 다른 형태로 표현되어 평가 대상 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영역, 사람영역, 행동영역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동일한 형태로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first half of 2020, 2,281 safety accidents occurred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number of injuries caused by this was counted as 2,206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counted as 162. At construction sites,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risks va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90% of death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can be prevented through active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xpect a desirable safety outcom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safety culture at the construction site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Cooper (2000) s Safety Culture Model, Fleming (2000) s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Loughborough University s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kit and Hong. I. G. et al. (2016) present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of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behavior observation method used in this preceding study, and applied it to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o review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by applying the safety cultur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suggested in this study to the construction site, it was possible to evaluate each area (environment, people, behavior). Howeve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nvironmental area, the result of the people area and the result of the behavior area were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so there was a limit to comprehensively judg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at the site to be evalu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how to express and integrate safety culture maturity in the environmental, people and behavioral areas in the same form.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과 사고 공개에 대한 태도 및 보고 의도와의 관계

        조수미(Cho Su Mi)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를 관찰한 경험 여부에 따라 환자안전사고 공개에 대한 태도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또한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 횟수와 환자안전사고공개에 대한 태도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 교육과정에 환자안전 관련 과목이 정식으로 개설되어 있지 않은 3개 간호대학을 편의표집하여 총 215명의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5.1%에 해당하는 97명의 학생들이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 유무에 따른 사고 공개 태도와 사고 보고 의도를 비교한 결과 환자안전사고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0.438, p=.662), 사고 보고 의도에 대해서는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2.547, p=.012). 환자안전사고 관찰 경험횟수는 환자안전사고 공개 태도 및 보고의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자안전사고 공개 태도와 보고 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144, p<.05).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이 환자안전사고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태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실습 도중 환자안전사고를 관찰한 경험이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환자안전사고 보고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사고 보고 후 긍정적 피드백에 대한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임상실습 지도 교육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이 환자안전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학습의 기회로 인식하고 바람직한 환자안전문화를 형성하도록 하여 추후 간호사가 되어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cidents disclosur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incidents depending on whether nursing students had experienced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um. Moreov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experience of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cidents disclosur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investigated.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with convenience sampling. Fourth-year nursing students (n=215) from three nursing school completed th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experiences of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cidents disclosur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incidents. Nearly half(45.1%) of the nursing students 97 students have experienced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during clinical practicum.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cidents disclosure, whil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ed lower intention to report patients safety incidents comparing to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number of experience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not signifiant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cidents disclosur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incide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cidents disclosur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observing patient safety incidents during clinical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incidents, despite the nursing students agree with that patient safety incidents should be disclosed. Therefore, educational strategies are needed for nursing students, which ar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ing and to be given positive feedback after incidents occurring. Through the starategy, nursing students can perceive patient safety accidents as a learning opportunity to correct the system problem and imrove their patient safety culture,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patient safety as nurs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IPA 분석을 통한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효성 제고 방안

        김세훈(Kim Se Hoon),이준원(Lee Joon Won),염주(Yeom Ju)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재해 발생률이 높은 전문건설업 현장에 안전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내 대형 종합건설회사 위주로 시행되고 있던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건설현장의 실질적인 시공 주체인 전문건설 업체로 보급되고 있으며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인력 의존과 공종 간의 간섭, 한시적, 고용 불안정 등 불완전한 작업환경 및 조건으로 전문건설 업체의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실효성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로의 구축 및 운영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건설 업체의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구축하고 운영 경험이 있는 전문건설 업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 · 분석을 통하여 주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효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을 T-Test 검정을 통한 IPA 기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성요소 중 저 순위 20개 구성요소에 대하여 점진적 개선이 요구되며, 집중 1개 구성요소는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주요 영향 요인으로 ‘시스템 운영주체인 팀·반장 근로자에 대한 교육 및 훈련’, ‘시스템 운영 활동 시 필수요소인 위험요소와 아차사고 DB화 및 공유’, ‘전문건설 업체의 규모 및 매출액, 경영 환경, 업종의 종류, 지역 등이 반영된 계층화 및 세분화로 전문건설 업체 특성에 따르는 운용기준과 심사기준의 적용’,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통일된 모니터링 기법으로의 전환’이 도출되었으며, 개선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활용하여 장 · 단기적으로 전문건설 업체의 재해 감소, 재해보상액 감소, 사고처리 직 · 간접비용의 감소, 생산성 및 안전수준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business used to be implemented mainly by large-scale domestic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mpanies to maintain sustainable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with high accident rates. This system has been recently operated by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in charge of actual on-site constru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operability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leads to a virtuous cycle for improved operability due to conditions that cause instability in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dependence on human resources, interference in different construction tasks, and job insecurity in temporary work. In this study, key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were identified to improve operability by conducting a survey and research, and then the results were examined by perform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supplemented with a t-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20 low-ranking system components required gradual improvement, while one of the key components needed urgent improvement, In addition, key factors for enhancing operability of the system were identified as 1) provid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team leaders and supervisors in charge of system operation, 2) establishing and sharing database on risk factors and near-miss accidents as required elements for system operation. 3) applying company-specific standards for operation and review reflecting the size and sales, management environment, business type, and location of each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y, and 4) shifting to a unified monitoring 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improvement methods to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ill help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by reducing compensation and the number of accidents, saving direct and indirect costs for handling acciden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safety level in the short and long terms by resolving issues, and provid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후보

        국가 중요행사 간 안전 활동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2019 광주 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백종순 (Baek Jong Soon),홍성운 (Hong Sung Woo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1

        2019년 7월 12일부터 7월 28일까지 약 17일간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광주에서 열렸다. 대회의 성과는 저 비용 고 효율의 대회였으며, 관계기관과 시민이 참여하는 안전한 대회였다. 국제 테러단체나 이를 추종하는 세력의 위해요소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게 종료되었다. 이는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선수단과 시민을 지키기 위한 안전활동을 위해 지방정부가 중심이 되어 가용한 모든 역량을 상호 협력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된 안전활동 거버넌스 사례를 분석하여 그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 결과 안전활동 거버넌스의 강화 방안은 자원의 효과적인 결합, 파트너의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상호작용, 파트너 간의 신뢰 관계 형성, 단단한 파트너십 형성,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 등을 들 수 있다. The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were held in Gwangju for about 17 days from July 12 to July 28, 2019. The competition was a low-cost, high-efficiency competition, a safe competition involv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citizens, and a safe competition despite the high risk factors of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and followers. This is the result of mutual cooperation of all the capabilities available to local governments for safety activities to protect athletes and citizens from various threa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s of safety activity governance successfully operated at the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 a result, the ways to strengthen safety activity governance include effective combination of resources, continuous intera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ners, formation of trust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 formation of solid partnerships, and flexible coping with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노인의 안전복지를 위한 안전주거지침 개발 연구

        서수미(Seo Su Mi)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고령화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노인들의 Aging in place(살던 곳에 계속살기)를 추구하는 노인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우리나라 전체가구에서 독거노인가구의 비중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는 노인의 주거 내 안전사고 발생이 해마다 증가한다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고 있다. 노인의 각종 질환으로 인한 취약한 상황에 주거 내 안전사고 발생이 부가됨으로써 노인 가구에 심각한 위험이 야기되고 있으므로 노인들이 주택에서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노인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현황을 살펴보고, 주거 내에서 노인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복지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주거공간별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노인 대상의 생활안전 및 안전사고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를 통해 주거 내 안전사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둘째, 노인안전복지서비스 지원을 위한 주거지침을 설정하기 위하여 안전사고 현황의 사고유발 항목들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내, 실외로 구분한 공간별 안전주거지침의 세부범주를 분석 및 정리하였다. 그 결과 주거 내 구조와 시설이 노인 안전사고에 얼마나 취약한지에 대한 각 공간별 안전취약요소를 파악하였고 노인 안전복지서비스에 주거개선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안전문제와 주거문제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현재 노인들이 살고 있는 주거에 대하여 안전복지서비스 지원에 필수적인 주거지침을 도출하였다. 노인의 신체적 노화 특성에 따른 계획요소를 개선하여 개별공간과 공용공간으로 구분하여 주거지침을 제시하였다. 개별공간은 침실, 거실, 부엌 등 각 실에 대한 내용으로 구조지침(실의 크기와 위치, 난방 환기 등)과 설비지침(손잡이, 비상벨, 경보장치 등)으로 구분하였고, 공용공간에서는 복도 및 계단의 폭과 같은 비상 대피 및 안전에 필요한 장치 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안전취약계층인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노인안전복지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생활안전사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며, 이에 노인의 행태 및 요구를 반영한 안전주거를 기본으로 구조 및 설비 측면에서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복지서비스 지원 연계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안전복지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 향후, 지속되어야 할 연구의 방향으로는 노인들에게 기본적으로 안전한 주거를 제공하고 주거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안전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Aging in Place를 지향하는 고령친화적 안전복지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aging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the number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pursuing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elderly households living alone in all households in Korea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single-family households leads to a problem tha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the elderly s housing increases every year. Since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housing is causing serious risks to elderly households in vulnerable situations due to various diseases of the elderly, realistic safety measures for the elderly should be prepared to help the elderly lead a safer and healthier life in their homes. We will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in houses where the elderly live, and seek ways to use them as guidelines for each residential spac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support safety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he housing.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 using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ccidents in housing was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keywords related to life safety and safety accidents for the elderly. Second, in order to establish housing guidelines for supporting safety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detailed categories of safety housing guidelines for each space classified indoors and outdoor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based on th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vulnerabilities of each space were identified how vulnerable the structure and facilities in the house are to elderly safety accidents, and housing improvement was essential for elderly safety and welfare services.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and housing problems of the elderly are inseparable, housing guidelines essential for supporting safety welfare services for the housing where the elderly currently live were derived. By improving the plann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physical ag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sidential guidelines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and public spaces. Individual spaces were divided into structural guidelines (size and location of rooms, heating ventilation, etc.) and facility guidelines (handles, emergency bells, alarms, etc.) and guidelines for emergency evacuation and safety such as corridor and stair width were presented in public spaces. In order to support customized safety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form a social consensus on safety accidents for the elderly, and safety welfare systems can be established by securing safety in terms of structures and facilities based on safety housing. In the future, the direction of research to be continued should basically provide safe housing to the elderly and strengthen publicity and educa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housing.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policy standards for creating an elderly-friendly safety and welfare environment aimed at Aging in Place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safety and welfare services.

      • 산업안전지도사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김상호(Kim Sang Ho)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9 안전문화연구 Vol.- No.5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지도사 제도가 부활하여 배출되는 지도사들의 활동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운영실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정책적인 제도로 자리잡고 있지 못하는 부분에 대하여 건설안전분야 산업안전지도사 기관들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국내 특성에 적합한 산업안전지도사 제도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건설안전·기계안전·전기안전·화공안전 산업안전지도사 4개 분야 중 노동부에 산업안전지도사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을 지정받은 건설안전분야 7개 기관을 대상으로 업무수행 형태를 법상 직무영역과 직무영역 외 분야로 구분하여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운영 및 업무수행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안전지도사 기관들의 업무수행 형태가 기존 유관기관들의 업무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매출 발생형태가 산업안전지도사 기관의 법상 직무영역보다 직무영역 외 분야가 높은 비율로 운영되고 있으며, 법상 직무영역의 업무수행 부분이 전체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이고, 산업안전지도사 기관별로 주가 되는 업무수행 형태와 운영방식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산업안전지도사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 건설산업 구조의 특성에 적합한 산업안전지도사 법상 직무영역의 제도적인 보완을 통한 고유 업무영역의 확보가 필요하며, 산업안전지도사의 업무능력이 상향 표준화 될 수 있도록 산업안전지도사 업무의 매뉴얼화 및 신규·보수 교육의 체계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system that is suitable for domestic characteristics by understand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institutions in the construction safety field, while the activities of the Consultants led by the revitaliza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sultant system are gradually increasing but they stay as policy systems due to lack of research on the operational status. This study included 7 construction safety departme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Labor as professional guidance institutions for disaster prevention for industrial safety Consultants in one of the 4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safety, machine safety, electrical safety, and chemical safety. The types of job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within the business area and outside of business area, and the operational status was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perational status of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institutions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operational status of existing related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sales pattern is operated at a higher rate in the field outside of the business area under the law than within the business area. Job performance within the business area under the law has been decreasing as a whole, and the job performance type and operational status largely depend on the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institution. To conclude, in order to establish an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system, it is necessary to secure a unique business area through the supplement of industrial safety Consultant system within the business area under the law. In order to highly standardize the work capacity of industrial safety Consultants, it is required to manualize the work of industrial safety Consultants and systematize the training for new and old Consul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