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호지킨 림프종에 대한 CHOP 및 CHOP / IMVP - 16 복합화학요법의 치료 효과

        강원기(Won Ki Kang),윤성수(Sung Soo Yoon),신동복(Dong Bok Shin),강윤구(Yoon Koo Kang),박근칠(Keun Chil Park),방영주(Yung Jue Bang),김병국(Byoung Kook Kim),김노경(Noe Kyeong Kim) 대한내과학회 1989 대한내과학회지 Vol.36 No.3

        N/A The authors compared retrospectively two regimens, CHOP and CHOP/IMVP-16 for the patients with intermediate and high grade non-Hodgkin's lymphoma. Between September 1982 and May 1984, 48 patients were treated with cyclophosphamide, adriamy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CHOP), and between June 1984 and November 1986, 70 patients were treated with alternating chemotherapy with CHOP and ifosfamide, methotrexate, and VP-16 (CHOP/IMVP-16). Median age was 42 (range 20-64) in CHOP group and 50 (range 16-74) in CHOP/IMVP-16 group and M:F ratio was 42:6 and 50:20 in each group respectively. No patients had received any previous cytotoxic chemotherapy.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s were diffuse histiocytic (DH) and diffuse poorly differentiated lymphocytic (DPDL) with DH 36/48 (75%) and DPDL 6/48 (12.4%) in CHOP group, and DH 50/70 (71.4%) and DPDL 15/70 (21.4%) in CHOP/IMVP-16 group. CHOP consisted of cyclophosphamide 1 g/㎡ 4, day 1; adriamycin 40 ㎎/㎡ 4, day 1; vincristine 2 ㎎/m 4, day 1&8; and predrisone 60 ㎎ PO, day 1-10. And IMVP-16 consisted of ifosfamide 1 g/㎡ 4, day 1-5; methotrexate 30 ㎎/㎡ 4, day 3&10; and VP-16 100 ㎎/㎡ 4, day 1-3. Courses were repeated every 3 weeks. In CHOP/IMVP-16 group, CHOP and IMVP-16 were given alternatingly. Treatment was continued until the disease progression or complete remission (CR), for a total of minimum of 6 cycles. Responses were CR 25/48 (52%) and PR 17/48 (35%) in CHOP group and CR 38/70 (54%) and PR 22/70 (31%) in CHOP/IMVP-16 group. Median duration of response in complete responders was 17.7 months (range 3.0-77+) in CHOP, and 18.4 months (range 2.2+~48.3+) in CHOP/IMVP-16 group. And, in complete responders, 3-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is 32.5% and 39.2% in CHOP group and CHOP/IMVP-16 group respectively. Median survival time was 17.5 months (range 3.4~80.4+) in CHOP group and 22.7 months (range 1~51+) in CHOP/IMVP-16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P and CHOP/IMVP-16 groups.

      • SCOPUSKCI등재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 영역 하연의 개별화

        박석원(Suk Won Park),안용찬(Yong Chan Ahn),허승재(Seung Jae Huh),전호경(Ho Kyung Chun),강원기(Won Ki Kang),김대용(Dae Yong Kim),임도훈(Do Hoon Lim),노영주(Young Ju Noh),이정은(Jung Eun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 적:직장암의 림프액 배액의 주된 경로는 종양의 위치가 항문환에 근접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근위부를 향하므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조사영역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에 따를 경우 하부 골반강과 회음부에 불필요한 방사선조사를 하게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 수술 문합부로부터 2 cm 내지 3 cm 하방으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치료 실패의 양상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4년 9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근치적 하전방 절제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Modified Astler-Coller (MAC) 병기 B2에서 C3까지인 88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환자 수는 각각 44명씩이었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7세(32-81세)였다. 2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저용량의 5-fluorouracil을 포함한 항암 화학요법을 병용하였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6, 10, 15 MV X-ray를 이용하여 후전-좌우 대향의 3문 조사법으로 전골반부에 45 Gy와 종양 병소부위에 6 Gy를 5.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다. 연구 기간 초기의 16명의 환자에서는 전통적인 방사선조사영역 결정법을 적용하여 폐색공 하단, 또는 수술 문합부의 2 cm 내지 3 cm 하방 중에서 보다 낮은 쪽을 방사선조사영역의 하연으로 정하였으며, 나머지 7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문합부에서 2 cm 내지 3 cm 하방에서 조사영역 하연을 개별적으로 결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개별화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으로 55명(76%)의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 두 군에 대해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생존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고 예후 인자의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추적 관찰 기간은 7개월부터 58개월이었으며, 중앙 추적기간은 27개월이었다. MAC 병기로 구분시 B2가 32명(36%), B3가 2명(2%), C1이 2명(2%), C2가 50명(57%), C3가 2명(2%) 이었다. 전체 환자의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94%와 68%였으며, 2년과 4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6%과 58%였다. 첫 치료 실패로서 국소 재발이 4명, 원격전이가 14명, 그리고 국소 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는 경우가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 결정을 전통적인 방법을 적용한 군과 수술 문합부의 위치에 따라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한 군을 비교하여 볼 때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2, p=0.68). 종양 색전자의 존재는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 생존율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관찰되었다. 결 론: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 환자들의 병소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전통적인 하연 결정방법에 비하여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생존율에 있어서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부피를 줄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방사선치료 부작용과 후유증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When determining the lower margin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iel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recommended by Gunderson), the organs located in the low pelvic cavity and the perineum are vulnerable to unnecessary radi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on the failure patterns. Materials and Methods:Authors included 88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ller (MAC) stages from B2 through C3,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nd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rom Sept. 1994 to May 1998 at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The number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44 and 44, and the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32-81 years). Three field technique (posterior-anterior and bilateral portals) by 6, 10, 15 MV X-rays was used to deliver 4,500 c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600 cGy's small field boost to the tumor bed over 5.5 weeks. Sixteen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by traditional field margin determination, and the lower margin was set either at the low margin of the obturator foramen or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whichever is lower. In 72 patients, the lower margin was set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irrespectively of the obturator foramen, by which the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was possible in 55 patients (76%). Authors evaluated and compared survival,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se two groups. Results: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7 months (range:7-58 months). MAC stages were B2 in 32 (36%), B3 in 2 (2%), C1 in 2 (2%), C2 in 50 (57%), and C3 in 2 (2%) patients, respectively. The entire patients' overall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94% and 68%, respectively,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86% and 58%, respectively. The first failure sites were local only in 4, distant only in 14, and combined local and distant in 1 patient,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p=0.42, p=0.68) between two groups of different lower margin determination policies. Conclusion:The new concept in the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depending on the anastomotic site has led to the equivalent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radiation-related morbidity by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lower margin determination.

      • KCI등재후보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초기 치료결과 보고

        신성수,안용찬,전호경,이우용,강원기,박영석,박준오,송상용,임도훈,박원,이정은,강민규,박영제,Shin, Seong-Soo,Ahn, Yong-Chan,Chun, Ho-Kyung,Lee, Woo-Yong,Kang, Won-Ki,Park, Young-Suk,Park, Joon-Oh,Song, Sang-Yong,Lim-Do-Hoon,Park, Won,Lee, J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 요법의 초기 치료성적과 급성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4월까지 T3또는 T4 병기의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완전절제가 어렵거나, 종양이 하부직장에 위치하여 수술 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불가능하리라고 예견된 40명의 환자에게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37명의 환자가 수술 전 치료방침을 완료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 골반부에 일일 1.8 Gy씩 5주간에 45 Gy를 엎드린 자세로 조사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경구 UFT와 Leucovorin (LV)(12명), 정주 5-fluorouracil (FU)와 LV (10명), 정주 5-FU 단독요법(일시 정주 10명, 지속 정주 5명)을 각각 시행하였다. 수술은 수술 전 치료 종료 후 4$\~$6주경에 예정하였으며 35명에 대해서 수술을 시도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수술 전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높았. (92.5$\%$, 37/40). 수술 전에 간과 폐에 새로운 원격전이가 확인된 2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에서 절제수술을 시도하였고, 22명(62.9$\%$)에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가능하였으나, 2명(5.7$\%$)은 개복 후 절제수술을 포기하였다. 절제수술을 시행한 33명 중 30명은 육안적 완전절제를, 1명은 육안적 불완전절제를 시행하였으며 2명은 병리소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수술 및 병리소견에 근거한 병기하강률은 45.5$\%$ (15/33), 절제연 음성 완전절제율은 78.8$\%$ (26/33)였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 도중 급성 부작용으로 Grade 3$\~$4 호중구 감소가 4명(10.8$\%$)에서 발생하였다. 절제수술 후 국소 재발이 12.1$\%$ (4/33), 수술 전 치료방침 완료 후 원격 전이는 21.6$\%$ (8/37)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3년 생존율은 87$\%$였다. 결론: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은 낮은 부작용으로 높은 수술절제율, 병기하강률, 완전절제율, 항문 괄약근 보존율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장기간에 걸친 추적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early results of preopeartive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RCT) for treating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April 2002, 40 rectal cancer patients who either had lesions with a questionable resectability or were candidates for sphincter-sacrificing surgery received preoperative CRCT. Thirty-seven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RCT course. 45 Gy by 1.8 Gy daily fraction over 5 weeks was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in the prone position. The chemotherapy regimens were oral UFT plus oral leucovorin (LV) in 12 patients, intravenous bolus 5-FU plus LV in 10 patients, and intravenous 5-FU alone in 15 patients (bolus infusion in 10, continuous infusion in 5). Surgery was planned in 4$\~$6 weeks of the completion of the preoperative CRCT course, and surgery was attempted in 35 patients. Results: The compliance to the current preoperative CRCT protocol was excellent, where 92.5$\%$ (37/40)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Among 35 patients, in whom surgery was attempted after excluding two patients with new metastatic lesions in the liver and the lung, sphincter-preservation was achieved in 22 patients (62.9$\%$), while resection was abandoned during laparotomy in two patients (5.7$\%$). Gross complete resection was peformed in 30 patients, gross incomplete resection was peformed in one patient, and n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surgery was available in two patients. Based on the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the down-staging rate was 45.5$\%$ (15/33),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78.8$\%$ (26/33). During the CRCT course, grade 3 $\~$4 neutropenia developed in four patients (10.8$\%$). Local recurrence after surgical resection developed in 12.1$\%$ (4/33), and distant metastases after the preoperative CRCT start developed in 21.6$\%$ (8/37). The overall 3-years survival rate was 87$\%$. Conclusion: Preoperative CRCT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is well tolerated and can lead to high resection rate, down-staging rate, sphincter preservation rate, however, longer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se results.

      • SCOPUSKCI등재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신성수(Seong Soo Shin),안용찬(Yong Chan Ahn),전호경(Ho Kyung Chun,이우용(WooYong Lee),강원기(Won Ki Kang),박영석(Young Suk Park),박준오(Joon Oh Park),송상용(Sang Yong Song),임도훈(Do Hoon Lim, 박원(Won Park),이정은(Jung Eun Lee),강민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 요법의 초기 치료성적과 급성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4월까지 T3 또는 T4 병기의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완전절제가 어렵거나, 종양이 하부직장에 위치하여 수술 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불가능하리라고 예견된 40명의 환자에게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37명의 환자가 수술전 치료방침을 완료하였다.방사선치료는 전 골반부에 일일 1.8 Gy씩 5주간에45 Gy를 엎드린 자세로 조사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경구 UFT와 Leucovorin(LV)(12명),정주 5-fluorouracil(FU)와 LV (10명), 정주 5-FU 단독요법(일시 정주 10명, 지속 정주5명)을 각각 시행하였다. 수술은 수술 전 치료 종료후 4˜6주경에 예정하였으며 35명에 대해서 수술을 시도하였다. 결 과: 본 연구의 수술 전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높았다(92.5%, 37/40). 수술 전에 간과폐에 새로운 원격전이가 확인된 2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에서 절제수술을 시도하였고, 22명(62.9%)에서 항문괄약근의 보존이 가능하였으나, 2명(5.7%)은 개복 후 절제수술을 포기하였다. 절제수술을 시행한 33명 중 30명은 육안적 완전절제를, 1명은 육안적 불완전절제를 시행하였으며 2명은 병리소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수술 및 병리소견에 근거한 병기하강률은 45.5% (15/33), 절제연 음성 완전절제율은 78.8% (26/33)였다.수술전 방사선치료 도중 급성부작용으로 Grade 3˜4 호중구 감소가 4명(10.8%)에서 발생하였다.절제수술 후 국소재발이 12.1%(4/33), 수술 전 치료방침 완료 후 원격전이는 21.6% (8/37)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3년 생존율은 87%였다. 결 론: 직장암에 대한 수술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은 낮은 부작용으로 높은 수술절제율,병기하강률,완전절제율, 항문 괄약근 보존율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장기간에 걸친 추적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early results of preopeartive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RCT) for treating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April 2002, 40 rectal cancer patients who either had lesions with a questionable resectability or were candidates for sphincter-sacrificing surgery receivedpreoperative CRCT. Thirty-seven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RCT course. 45 Gy by 1.8 Gy daily fraction over 5 weeks was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in the prone position. The chemotherapy regimens were oral UFT plus oral leucovorin (LV) in 12 patients, intravenous bolus 5-FU plus LV in 10 patients, and intravenous 5-FU alone in 15 patients (bolus infusion in 10, continuous infusion in 5). Surgery was planned in 4˜6 weeks of the completion of the preoperative CRCT course, and surgery was attempted in 35 patients. Results: The compliance to the current preoperative CRCT protocol was excellent, where 92.5% (37/40)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Among 35 patients, in whom surgery was attempted after excluding two patients with new metastatic lesions in the liver and the lung, sphincter-preservation was achieved in 22 patients (62.9%), while resection was abandoned during laparotomy in twopatients (5.7%). Gross 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gross in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and n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surgery was available in two patients. Based on the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the down-staging rate was 45.5% (15/33),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78.8% (26/33). During the CRCT course, grade 3˜4 neutropenia developed in four patients (10.8%). Local recurrence after surgical resection developed in 12.1% (4/33), and distant metastases after the preoperative CRCT start developed in 21.6% (8/37). The overall 3-years survival rate was 87%. Conclusion: Preoperative CRCT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is well tolerated and can lead to high resection rate, down-staging rate, sphincter preservation rate, however, longer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 KCI등재후보

        방광의 MALT 림프종 1예

        이지연,김원석,송서영,이순일,박준오,김기현,고영혜,정철원,임영혁,강원기,이홍기,이희정,박찬형,박근칠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1

        Primary lymph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a rare non-epithelial bladder tumor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all bladder tumors. Approximately 17 cases of MALT lymphomas of bladder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Most reported MALT lymphomas of bladder have a female sexual preponderance with a mean age of 58 years with common presenting symptoms of hematuria, dysuria and urinary frequency. The reported prognosis of MALT lymph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excellent. We report a case of MALT lymphoma of urinary bladder in a 57-year-old woman patient who presented with a two-year history of persistent dysuria and urinary frequency. An intravenous pyelogram and cystoscopy revealed a 1 cm focal elevated lesion at the base of urinary bladder. The tissue obtained by transurethral resection (TUR) showed plasma cell infiltration consistent with low grade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The immunohistochemical studies showed an immunoglobulin restriction to lambda light chain while the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the tissue showed a monoclonal Ig heavy-chain gene rearrangement. The clinical staging protocol revealed that the tumor was primarily arising from the urinary bladder with no evidence of other site involvements. The patient received radiation therapy of 3060 cGy in 17 fractions.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 : Assessment of Risk Factors

        안중경,이홍기,황정혜,박세훈,이효락,송서영,이순일,박준오,김기현,김원석,정철원,임영혁,강원기,박근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집중 치료 시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로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를 밝힌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기계 환기를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 중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과 기계 환기를 시행하지 않은 1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의 여부에 관해서는 chi-square 또는 Fisher's exact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기계 환기에 대한 각 위험 인자의 영향에 관해서는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의 환자 중 30일째 생존자는 1명이었고 6개월째 생존율은 0%였다. 생존자와 사망자 모두에서 다기관 기능부전이 관찰되었으며, APACHE II 점수와 SAPS II 점수에 의한 예측 사망률은 각각 56%, 59%였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는 선행 질환이 혈액질환, 부분불일치 동종이식, 간정맥폐색성질환, 이식 전 질병 상태가 재발하였거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단지 부분불일치 동종이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현재까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집중 치료의 역할에 대해서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으며,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이다. 따라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와 불량한 예후 인자를 고려하여 기계 환기 여부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Background: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a frequent, critical complic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Patients who require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generally have a very poor prognosis. Mechanical ventilation in HSCT recipients is a strong predictive factor of mor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all patients >15 yrs old who received HSCT at Samsung Medical Center and subsequently required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between 1996 and 2001. Results: Thirty-day mortality rate in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was 95.6%. The mean predictive mortality rates of APAHCE II score and SAPS II score were 56% and 59%, respectively. Reasons for mechanical ventila-tion were sepsis (47.8%) followed by fungal infection (13%) and diffuse alveolar hemorrhage (8.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relapsed or refractory diseases at HSCT, hematologic disease,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and allogeneic or HLA-mismatched transplant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allogeneic mismatched transplant remained significant. Conclusion: Overall outcome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very poor. Therefore, the risk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making further treatment decision for HSCT recipient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