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13 : Diagnostic Accuracy and Turnaround Time of the Xpert MTB/RIF Assay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곽낙원,최선미,이진우,박영식,이창훈,이상민,유철규,김영환,한성구,임재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

        The Xpert MTB/RIF assay (Xpert) was introduced for timely and accurate detection of tuberculosis (TB).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turnaround time (TAT) of Xpert in clinical practice in South Korea.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in whom Xpert using sputum were request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for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PTB) and detection of rifampicin resistance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AT of Xpert w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tests. Total 681 patients in whom Xpert was requested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Xpert for diagnosis of PTB were 79.5% (124/156), 100.0% (505/505), 100.0% (124/124) and 94.0% (505/537), respectively. Those for the detection of rifampicin resistance were 57.1% (8/14), 100.0% (113/113), 100.0% (8/8) and 94.9% (113/119), respectively. The median TAT of Xpert to the report of results and results confirmed by physicians in outpatient settings were 0 (0-1) and 6 (3-7) days, respectively. Median time to treatment after initial evaluation was 7 (4-9) days in patients with Xpert, but was 21 (7-33.5) days in patients without Xpert. Xpert showed acceptable sensitivity and excellent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PTB and detection of rifampicin resistance in areas with intermediate TB burden. Additionally, the assay decreased time to the initiation of anti-TB drugs through shorter TAT.The Xpert MTB/RIF assay (Xpert) was introduced for timely and accurate detection of tuberculosis (TB).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turnaround time (TAT) of Xpert in clinical practice in South Korea.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in whom Xpert using sputum were request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for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PTB) and detection of rifampicin resistance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AT of Xpert w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tests. Total 681 patients in whom Xpert was requested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Xpert for diagnosis of PTB were 79.5% (124/156), 100.0% (505/505), 100.0% (124/124) and 94.0% (505/537), respectively. Those for the detection of rifampicin resistance were 57.1% (8/14), 100.0% (113/113), 100.0% (8/8) and 94.9% (113/119), respectively. The median TAT of Xpert to the report of results and results confirmed by physicians in outpatient settings were 0 (0-1) and 6 (3-7) days, respectively. Median time to treatment after initial evaluation was 7 (4-9) days in patients with Xpert, but was 21 (7-33.5) days in patients without Xpert. Xpert showed acceptable sensitivity and excellent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PTB and detection of rifampicin resistance in areas with intermediate TB burden. Additionally, the assay decreased time to the initiation of anti-TB drugs through shorter TAT.

      • 기관지확장증 진단 이후 비결핵항산균이 동정된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경과

        곽낙원,조재영,최선미,이진우,박영식,이창훈,이상민,유철규,김영환,한성구,임재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배경: 이 연구의 목적은 기관지확장증 진단 이후, 호흡기 검체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동정된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경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해 기관지확장증으로 진단받았으며, 초기진단 시 최소 1달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객담 항산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지만 비결핵항산균이 동정되지 않은 환자를 선별하였다. 이들 중 추적관찰 중 호흡기 검체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동정된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경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6명의 환자가 기관지확장증으로 진단받은 이후, 추적 관찰 중 호흡기 검체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되었다. 연령의 중간값은 61세[IQR 52-65] 였으며, 여성이 21명 (58.3%)였다. 기관지확장증 진단 당시 기관지확장증 중증도 지수는 중간값 4점 [IQR 2-7]이었으며 비결핵항산균 동정 시점의 중증도 지수는 4점 [IQR 2-6]으로 차이는 없었다. 첫 진단부터 비결핵항산균이 동정될 때까지 42개월 [IQR 12.3-78.0]이 걸렸으며, 이들 중 31명은 객담에서 2회 이상 혹은 기관지내시경 검체에서 1회 동정되어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으로 진단되었다. 총 36명의 환자 중, Mycobacterium avium이 20명, M. intracellulare가 8명에서 동정되었으며, 2명의 환자에서는 M. abscessus가 동정되었다. 18명의 환자에서는 기관지확장증 진단 시점부터 비결핵항산균이 동정될 때까지 영상 소견의 악화가 관찰되었는데,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변화는 결절성 병변의 증가였고(11명, 30.6%), 기관지확장증의 범위와 정도가 증가한 경우는 2명(5.5%)이었다. 최종적으로 12명의 환자가 비결핵항산균에 대한 치료를 받았다. 결론: 진단 당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되지 않은 기관지확장증 환자들 중 일부가 이후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으며, 절반 정도의 환자는 영상 소견의 악화를 동반한다.

      • CPFE, 특발폐섬유증, 폐기종의 폐암 발생 위험률 비교

        곽낙원,이진우,박영식,이상민,임재준,유철규,김영환,한성구,이창훈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CPFE (Combined pulmonary fibrosis and emphysema)는 상엽의 폐기종 및 하엽의 섬유화를 특징으로 하며, 특발폐섬유증/폐기종과는 다른 질환으로 알려져있다. 연구의 목적은 특발폐섬유증, 폐기종과 비교해 CPFE의 폐암 발생위험률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흉부단층영상이 보관되어 있고, 최소 2회 이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CPFE, 특발폐섬유증, 폐기종으로 분류했다. 연구시작시점에 폐암을 비롯한 악성질환이 있는 경우, 결체조직질환을 진단받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처음 흉부단층영상을 시행한 시점부터 폐암이 발견된 시점까지의 기간을 구하였고 병리검사로 확진된 경우만 포함하였다. 연령, 성별, 흡연력을 보정하여 콕스회귀분석으로 각 군의 폐암 발생위험률을 분석하였다.성적: 총 237명의 환자 중 CPFE군은 43명, 특발폐섬유증군은 47명, 폐기종군은 147명이었다. CPFE군은 평균 연령 75.1세로 특발폐섬유증군(71.0세) 및 폐기종군(72.5세)보다 높았다.CPFE군의 평균 흡연력은 41.3갑년이었으며 특발폐섬유증군은 20.1갑년, 폐기종군은 42.6갑년이었다. 평균 추적기간의 경우 CPFE는 8.6년(95% CI: 7.1-10.1), 특발폐섬유증군은 10.1년(95% CI: 8.9-11.2), 폐기종군은 11.4년(95% CI: 11.0-11.9)이었다. 폐암 확진 환자는 CPFE군 11명, 특발폐섬유증군 5명, 폐기종군 5명이었다. 연령, 성별, 흡연력을 보정하여 Hazard ratio를 구하였을 때 CPFE군은 폐기종군보다 7.4배 폐암발생 위험이 높았고(HR, p=0.000, 95% CI 2.5-21.6), 특발폐섬유증군은 폐기종군보다 4.8배 폐암발생 위험이 높았다(HR, p=0.021, 95% CI 1.23-18.0). CPFE군의 폐암 발생위험률이 특발폐섬유증군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HR=1.8, p=0.326, 95% CI 0.6-5.9). 결론: CPFE의 폐암 발생위험률이 특발특발폐섬유증, 폐기종보다 높았으며, 폐기종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연간 폐기능 변화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창훈,고성준,곽낙원,김주혜,배원,이하연,김수정,박주희,이애라,이정규,김경희,김은선,박태연,정근범,강효재,이승준,정윤정,최선미,김서윤,이연주,이진우,박영식,이상민,임재준,김영환,한성구,유철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은 폐기능의 빠른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흡연 외에 변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나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외에 forced vital capacity (FVC)의 감소속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Global Initiative Obstructive Lung disease 병기와 체질량지수 등이 FEV1과 FVC의 연간 변화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2월 사이에 40세 이상 서울대병원 COPD 환자로서 최소한 2회 이상 기관지확장제 투여후 검사를 포함한 폐활량측정을 시행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COPD는 기관지확장제 투여후 FEV1/FVC<0.7이면서 폐기능저하를 설명하는 다른 폐질환이 없는 이로 정의하였다. 성적: 모두 458명의 환자가 57.2±27.7개월 동안 평균 3.7회 폐활량측정을 시행하였다. 평균 나이 65.8±7.9세, 남자 97.0%, FEV1 1.77±0.65L (예측값의 68.4±22.4%)이었으며 병기 1, 2, 3, 4에 해당하는 환자는 각각 31.0%, 44.2%, 21.9%, 3.0%이었다. 연간 FEV1 감소속도는 이전 다른 연구에 비해 급하지 않았고(병기 1: -20 mL/yr, 2: -12 mL/yr, 3: -8 mL/yr, 4: -2 mL/yr, p=0.171) FVC는 관찰 기간 동안 병기 1을 제외하고는 증가하였으며 병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병기 1: -5 mL/yr, 2: +13 mL/yr, 3: +31 mL/yr, 4: +25 mL/yr, p=0.005). 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 군은 미만 군에 비하여 연간 FEV1, FVC 변화 속도가 모두 유의하게 양호하였다(FEV1, -9 vs -17 mL/yr, p=0.045; FVC, +23 vs +4 mL/yr, p=0.008). 결론: 서울대병원 COPD 환자군에서 연간 FEV1 감소속도는 다른 연구에 비해 급격하지 않았으며 FVC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호전되었다. 체질량지수가 높은 경우 연간 FEV1, FVC 모두 보다 좋은 변화를 보였다.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점수와 modified Medical Round Council (mMRC) 점수의 비교

        이창훈,고성준,곽낙원,김주혜,배원,이하연,김수정,박주희,이애라,이정규,김경희,김은선,박태연,정근범,강효재,이승준,정윤정,최선미,김서윤,이연주,이진우,박영식,이상민,임재준,김영환,한성구,유철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최근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환자는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점수와 modified Medical Round Council (mMRC) 점수를 이용하여 증상을 평가하도록 하여 CAT 10점 이상 또는 mMRC 2 이상인 경우 ``증상이 심한 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CAT 10점과 mMRC 2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2012년 6월 20일부터 2012년 8월 23일 사이에 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외래를 방문한 40세 이상 COPD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OPD는 기관지확장제 투여 후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forced vital capacity (FVC)<0.7이면서 폐기능 저하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폐질환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다. 1년 이내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CAT과 mMRC을 시행하였다. 성적: 모두 303명의 환자가 모집되었다(나이 69.5±7.9세, 남자 88.1%, FEV1은 1.71±0.57L (예측값의 70.8±21.7%), CAT 14.8±7.3점, mMRC 1.5±0.8점). Global Initiative Obstructive Lung disease subgroup A, B, C, D는 각각 18.9%, 45.7%, 3.3%, 32.1%이었다. 나이, 성별, FEV1, 체질량지수, 만성기관지염 여부, 흡연력을 보정하였을 때 mMRC 2인 환자의 평균 CAT 점수는 17.6 (95% CI, 16.4-18.8) 이었다.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분석 결과 mMRC 2 이상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은 CAT 점수 18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mMRC 2 이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CAT 10점 이상인 경우 10점 미만인 경우에 비해 6배 상대위험비가 높았고 CAT 18 점 이상인 경우는 18점 미만에 비해 7.9배 상대위험비가 높았다. 결론: COPD 환자군에서 mMRC 2 이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GOLD가 제시한 CAT 10점보다 높은CAT 18점 등이 컷오프값으로 더적절할 것이다.

      • KCI등재

        증례 : 호흡기 ; 그룹 A 연쇄구균 폐렴에 동반된 독성쇼크증후군 1예

        고성준 ( Sung Jun Ko ),곽낙원 ( Na Kwon Kwak ),김주혜 ( Joo Hae Kim ),배원 ( Won Bae ),이하연 ( Hayoun Lee ),김연욱 ( Yeon Wook Kim ),윤호일 ( Ho Il Yoon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5

        연쇄구균에 의한 독성쇼크증후군은 GAS, 즉 Streptococcus pyogenes의 침습적 감염에 동반되어 쇼크와 다발성 장기부전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저자들은 국내 최초로 GAS에 의한 폐렴에서 동반된 TSS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내원 시부터 저혈압 및 장기부전을 보이는 폐렴환자에서 GAS에 의한 폐렴 및 연쇄구균 TSS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바이다.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TSS) is characterized clinically by shock and multiple organ failure, combined with invasive group A streptococcus (GAS) infection. Invasive GAS infection declined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antibiotics, but has recently arisen again globally with severe presentations like TSS. Cases of streptococcal TS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since the 1990s and its prevalence may increas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GAS pneumonia initially presenting as streptococcal TSS, as a warning that this potentially fatal illness requires an early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when patients with pneumonia develop shock and multiple organ failure. (Korean J Med 2015;88:576-58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