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학생지원 프로그램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직업기초능력 조사

        서금택,조용개,성명국,조영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university student support programs based on common job basic competency required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to research the student support programs in each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how the impact any job basic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We set up as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Frist, How does the university student support programs help job basic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job basic competency in accordance with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job basic competency depending on in accordance with affil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enrolled in a total of 925 students to 448 students a regional hub A National University and J University 477 students. Data processing was us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ross-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through the student support programs which a lot of help with job basic competency appeared as a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evelopment competency,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form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in the university. Second, the higher the grade showed a relatively large fostering a more effective job basic competency in the student support program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요구되는 공통의 직업기초능력을 바탕으로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대학의 각 부서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어떤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얼마나 도움을 주는가? 둘째,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학년별에 따라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계열별에 따라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지역 거점 국립대학인 A대학교 448명, J대학교 477명으로 총 9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도움을 많이 주는 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대인관계능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학년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요구분석 기반 산업체 기초직무역량 비교 분석 : 대학의 계열별 진출 산업체를 중심으로

        김대중(Kim, Daejoo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비록 기초직무역량이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주어진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어 공통으로 요구되는 역량이지만, 모든 기초직무역량이 산업체별 또는 업종별로 동일 가중치로 적용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초직무역량이 대학의 계열별 연관 산업체에서 그 우선순위가 실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수행을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14개의 기초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의 계열별 연관 대표 산업체 총 174개를 대상으로 14개의 기초직무역량의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3가지 요구도 우선순위 기법인 중요도 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기법, 그리고 IPA 기반 요구도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계열별 연관 산업체에서 상대적 중요성이 있는 기초직무역량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계열을 떠나 모든 산업체에서 인성과 책임감이 기초직무역량으로서 우선하여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셋째 당장 집중투자가 돼야 할 기초직무역량은 계열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공학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의 경우 문제해결능력과 전공실무능력(전문성), 사회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책임감, 협동능력 그리고 창의력, 인문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책임감, 문제해결능력, 협동능력 그리고 창의력, 예체능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도전정신과 문제해결능력이 집중투자 요구 기초직무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계열별 연관 산업체의 기초직무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요구분석 결과는 먼저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축, 점검 또는 개선을 모색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산업체 관점에서는 산업체 종사자의 기초직무역량 결핍 정도 진단, 인재채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등과 같은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meaning of basic job competencies refers to the competencies that are commonly required to successfully perform jobs in most occupations regardless of job type or position, it will not be applied with the same weight for each industry.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exploratory conducted on how the priority of basic job competencies actually appeared in related industries for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To conduct this study, 14 basic job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 The needs priority for 14 basic job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a total of 174 representative industries related to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priority, the three priority techniques--importance analysis,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IPA-based needs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 main analysis results, first, basic job competencies were different by industries related to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Second, in all industries tenacity and responsibility ar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mportant as basic job competencie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basic job competencies that should be invested immediately are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field,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science and engineering related industries,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ve ability in social science related industries, responsi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humanities related industries, and the spirit of challen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arts and sports related industries. The result of needs priority analysis for basic job competencies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establishing, inspecting, or improving the university s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xt,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diagnosing the degree of lack of basic job competency of workers, hiring talent people, and developing and improv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Professional Basic

        Young-Hyun Cha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7 No.4

        This paper develops and builds an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Professional Basic. The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for basic job competency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s developed to conduct examination by means of computers,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e system can be used for the basic job competency test, examination for online cyber universities, job competency examination for enterprises, and the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test in the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examination and is even better in terms of facility investment and saved operating costs as well as efficient use of space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evaluation schemes. Even greater synergy effect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support for the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for basic job competency in connection with the NCS qualification system. The evaluation system has been tested and practiced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and can be applied to the NCS education evaluation of the college and four-year college and to the selection examination of new employees of the company.

      • KCI등재

        치기공과 교육과정 제고를 위한 치과기공사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분석

        정효경,박남규 대한치과기공학회 2019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41 No.1

        Purpose: This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dental technology’s sub-major curricula by determining and researching dental technicians'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tance. Methods: 170 dental technicians working in Daegu, Korea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9 January 2018 and 23 February 2018. Results: 1. The highest level of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elements by the awareness levels of importance in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was shown in the occupational ethics, followed by technological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elf-development levels, problem-solving skills, information skills, resource management skills and skills for understanding groups, communication skills, and mathematical skills. 2. Female dental technicians put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on writing documents and managing time, while males stressing on basic statistics. 3. Dental laboratory CEOs and managers put high values on resource management skills, while head technicians valuing information skills more. 4. The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importance in some dental technology fields did not match those of the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in the fields of porcelain, crown and bridge, and orthodontics.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wareness levels concern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tance in some fields of dental technology differ from those of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Developing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urriculum, it seem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for the respective fields of dental technology.

      • KCI등재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 개발

        장은실,오경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As a result of current trends, a level of SW⋅AI competency for digital innovation has become a necessity, not a choice, SW-AI competency has also developed as a purpose not only for training specialist personnel, but also for providing universal SW⋅AI basic education. Howev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al SW⋅AI basic education, it is advisable that we systematically educate SW⋅AI basic education in stages. A university offers various elective courses related to SW⋅AI for all students. Schools have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SW⋅AI basic education after they have completed the required elective courses. However,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SW⋅AI basic education does not automatically strengthen their skills. Therefore, educators are aiming to strengthe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skills by developing evaluation tools for core competencies in SW⋅AI elective courses and by applying these skills in algorithm courses. A performanc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in SW⋅AI basic education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higher-order thinking and for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clarifying class goals, developing core challenge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developing and applying assessment tools,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The tool was applied in an algorithm course for problem solving and helped learners understand what to focus on when performing challenges. It also provided them with guidance for learning to enhance their various competencies through feedback. Indeed, a survey of self-assessment by learner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showed that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solving core challenges had improved.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were not majoring in SW⋅AI basic education stated that having to program in order to solve problems and being responsible for programming in team projects was a burden for them. In this study, we found that if the learner’s ultimate competencies are concretely embodied as behavioral indicators and challenges are set based on this criterion, the learner can concentrate more on practical competency enhancement. However, in regards to the SW⋅AI basic education subject,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us to clarify the core challenge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In the future, we will apply various core competency performance evaluation tools to various SW⋅AI basic education subjects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continuously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W⋅AI basic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enhance competencies thereby. 디지털 혁신을 위해 필요한 SW⋅AI 역량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는 전문 인재 양성 목적 외에도 보편적 SW⋅AI 기초교육을 위한 목적으로도 발전하게 된 것이다. 보편적 SW⋅AI 기초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SW⋅AI 기초교양 교육을 단계별로 체계화하여 교육하는 것이 좋다. A대학교에서는 전교생이 수강할 수 있는 다양한 SW⋅AI 관련 선택교양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즉, SW⋅AI 필수교양 교과목을 이수한 뒤 학습할 수 있는 SW⋅AI 기초교육의 참여기회를 확대하여 제공하였다. 그러나 SW⋅AI 기초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 제공한다고 해당 역량이 강화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알고리즘교과목에 적용하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인 고차적 사고와 정보 및 기술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성과평가도구는 수업 목표의 명확화, 핵심 과제 개발, 평가 준거 개발, 성과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평가결과 분석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한 성과 평가도구를 문제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교과목에 적용해 본 결과, 학습자들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고, 피드백을 할 때도 성과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안내하여 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진행한 학습자 자기평가 설문조사의 역량 변화 결과를 통해서도 핵심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역량들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SW⋅AI 기초교양에서 비전공자가프로그래밍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과 팀프로젝트에서 프로그래밍을 담당하는 역할은 큰 부담이 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궁극적으로 강화해야 할 역량을 행동지표로 구체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제를 설정하여 수업을 진행할 경우, 학습자의 실질적인 역량 강화에 보다 집중할 수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SW⋅AI 기초교양 교과목에서는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핵심 과제와 평가 준거를 보다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를 다양한 SW⋅AI 기초교양 교과목에 적용하여 개선점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SW⋅AI 기초교육의 효과를 높일 것이며, 이를 토대로 SW⋅AI 기초교육을 체계화하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비대면 수업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성과분석 연구

        김순남(Kim, Soon Nam)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언택시대 대학 비대면 수업으로 실시한 교양교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대학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2회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성과를 분석하고 비대면 수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소속 대학에서 개설된 교수자의 교양과목 2개 강좌 2개반씩 총 4개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연구 방법은 교수자가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설명 자료를 만들고, 직업기초능력의 10개 요인과 34개 요소에 대해 Lykert식 5점 척도를 활용한 진단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첫 주 사전진단 평가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을 설명하고 제작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사이버캠퍼스에 올렸다. 학생들이 이를 다운 받아 자기 평가하여 진단지를 작성한 후 교수 메일로 보냈다. 똑 같은 방식으로 수업 마지막 주에도 사후 평가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를 하여 수업 전후 직업기초능력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는 10개의 직업기초능력 및 34개의 하위요소들은 .0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년별 및 교과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조사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효과적이라는 반응은 31%, 비효과적 이라는 반응은 69%로 나타났다. 비대면 동영상 수업 유형의 장점으로는 반복 청취가 67.7%, 시간 활용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점으로는 주별과제 부담이 44.3%, 교수학생 관계형성 미흡이 20.6%, 수강생 소통 부족이 17.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의 적당한 비율에 대해서는 20%이상 50%미만 구간에 대해 49.4%로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 이상의 학생들의 수업전후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결과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를 근거로 학생, 교수, 대학과 국가 수준의 향후 정책을 제안하였다. 학생은 국가직업기초능력 자기 진단과 성과 관리를 주기적으로 시행 관리해야하며 교수는 교양교육 과목을 통한 국가직업기초능력 신장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은 사이버시스템 업그레이드와 국가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관리시스템 정착이 필요하고, 국가는 사이버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 확대와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교양교육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집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instruction and the implication of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basic competency evaluation of non-face instruction in the “untact”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theorectical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and the different analysi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elf-evaluation surve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enrolled in two Leadership instructional programs and two interpersonal relations instruc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at Shinhan Universit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f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0.01 level in all 10 vocational basic competency categories and 34 sub-ele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ame to the grade and subject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survey o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31%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effective, while 69% said such classes were ineffective. The 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67.7% for repeated listening and 22.9% for tim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as follows: 44.3% for the burden felt by weekly tasks, 20.6% for the lack of rapport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and 17.5% for the lack of student communication. As for the appropriate ratio of untact classes, 49.4% responded that a proper ratio would be in the range of 20% to 50%. Based on the above students self-evaluation resul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s regarding untact classes, future policies are proposed at the student, professor,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Students need to self-diagnose and manage their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lso, professors ne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ency ability, and strengthen their untact online class capabilities. Universities need to upgrade their cyber systems,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and develop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The state needs to expand its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cyber systems and to develop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well as to compile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o enhanc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 KCI등재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 진단

        이찬,이용환,이윤조,신재호,홍윤선,최홍주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는 새터민의 고용현황 및 문제점을 고찰하고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을 진단하여 직업능력개발 방향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 진단을 위한 도구는 관련 문헌 고찰과 pilot test 및 새터민 교육ㆍ지원 담당자의 안면타당도 검증 등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하나원에서 사회 적응교육 및 직업교육을 받고 있는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을 진단함으로써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을 파악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새터민들의 기초직업능력 중에서 직업윤리능력은 상당히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정보능력,즉 컴퓨터 사용능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둘째,성별에 따라서는 기초직업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에 따라서는 정보능력과 수리 능력,조직이해능력 영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학력에 따라서는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수리능력,대인관계 영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새터민의 취업을 위한 기초직업능력 개발에 있어 정보능력,수리능력,의사소통능력의 비중 확대,수준별ㆍ맞춤형 교육프로그램개발,새터민을 위한 취업 및 사업정보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HRD issue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assess their level of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he assessment tool for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ilot tests from the North Korean refugees. The face validity was verified by educators and counselors for the North Korean refugees.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the level of vocational ethics was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teachnology competency was the lowest. Second, the North Korean refugee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y gender. Territories of information competency, mathematical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y age. Third, territories of problem-solving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mathematical competency, mathematical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Fourth, to develop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1) exte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thematical,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2) develop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by competency level,; and 3) offer the employment inform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 KCI등재

        전문대학 학생대상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

        한현우(Hyun Woo,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생애관점에서의 직업기초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HRD/역량 연구자와 기업체 현직자 15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역량 구성요소 및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기 위해서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고 둘째, 전문대학 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최종 확정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975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 결과 6개의 구성요소 총 27개의 문항으로 정리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문제해결역량 8문항, 협업역량 5문항, 문화역량 4문항, 공동체역량 4문항, 소통역량 4문항, 가치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측정도구는 실사용자에게 맞춤으로서 활용성과 타당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구과정에서 전문가집단과 실제 사용자인 학생과의 인식 차를 이해하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요인분석 결과 기업가정신, 컴퓨팅사고 역량은 문제해결역량에 통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실사용자인 학생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인식 차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측정도구 개발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한 이론적 엄밀성과 사용대상자의 활용성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문화역량에 관한 높은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Z세대로 분류되는 학생들은 이전세대와는 다르게 디지털환경에서 자라온 세대이며, 온라인을 통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 거부감이 없는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직업기초역량으로서 문화역량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직업기초역량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ssessment for future. Methods First,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was defined through reference research. Second, the sub-elemen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nd preliminary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hrough the Delphi.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were ver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The reliability of final assessment was found to be .975 and consisting of 27 items of 6 components was settled. More specifically, the assessment consisted of 8 questions for problem-solving competency, 5 questions for collaboration competency, 4 questions for cultural competency, 4 questions for community competency, 4 question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2 questions for value. Conclusions Assessments are tailored to actual users, not only for the usability but also for the validity. In this respect, there wer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the expert group and the student group about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entrepreneurship and computing thinking competency were integrated into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student group had a high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They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hesitation to other cultures through the internet. So, I hope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as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an be redefined, also programs and the competency are developed.

      • KCI등재

        혁신(사업)을 위한 역량교육이냐, 역량교육을 위한 혁신이냐?-역량과 혁신 담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조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the concept of competency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which is linked to the 3rd cycle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are indeed vali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implemented in the name of autonomous innovation (this is a sentence fragment and doesn’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whether universities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truly innovating when it comes to education. Although competency is a competency that must be cultivated in all curricula, regardless of whether that entails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r a major curriculum,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handbook of universities reduces the concept of competency to the concept of generic skills and divides competencies into major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tendency has further solidified the dichotomy of the curriculum and has caused distortion within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these reasons, it is difficult to find innovation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that uniformly operate a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a given manual for evaluation. However, looking at the case of Minerva University, which is innovating education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we find first that competency is presented as an ability to be cultivated not only in the cornerston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ut also in the major curriculum. This is different from the dichotomy approach of competencies as taught at Korean universities. Second, the core competency of the University of Minerva is a tool for achieving sub-competence and competency,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C (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 the acces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competency, ease of practice, and measurability are all increased. This enables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o overcome the ambiguity of the core competency concept a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core competency as practical knowledge.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of Korean universities. Third,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ore competencies are conducted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tools and self-rubrics to enable feedback of evaluation results at the level of learner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is is different from the self-reported core competency diagnosis of learners at Korean universities. Despite the advantages of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reduces individuals to skills. Second, it takes a segmented approach to core competencies rather than a holistic approach, and finally, it is limited in regards to education because it fosters customized talents which meet the demand, not talents which create social demand. True innovation in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individual learners’ self-innovation, not top-down government-led innovation. In other words, innovation in education begins when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 worl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cquire self-organization skills. 본 연구는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와 연계된 대학 혁신 지원사업에서의 역량(핵심역량, 전공능력, 학습능력) 개념과 역량 구분이 과연 타당한지를 논하는 동시에, ‘자율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되는정부 주도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시행하는 대학들이 과연 교육의 혁신을 이루고 있는지를 성찰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과 전공 교육과정을 불문하고 모든 교육과정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편람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일반적 기술(generic skill)의 개념으로 환원하고 역량을 이분화함으로써 전공과 교양 교육과정의 이분화를 더욱 공고히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왜곡을 야기하였다. 때문에 평가를 위해 주어진 매뉴얼에 따라 역량 기반의교육과정을 일률적으로 운영하는 대학들에게서 교육의 혁신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역량 기반 교육을 통해 교육 혁신을 이루고 있는 미네르바 대학의 사례를 살펴보면 첫째,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코너스톤 코스는 물론 전공 교육과정에서도 함양되어야 할 능력으로제시된다. 이는 한국 대학의 역량의 이분법적 접근과 차이가 있다. 둘째,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은하위역량 및 역량 성취를 위한 도구로서 HC(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의 설정을 통해역량의 측정 가능성과 적용성, 실천의 용이성, 진단과 환류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는 교수자와학습자 모두에게 핵심역량 개념의 모호함을 극복하고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도를제고하게 만든다.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과 하위역량 설정 구도와 차별되는 점이다. 셋째, 핵심역량의진단과 평가는 학습자 차원에서 평가 결과의 환류가 가능하도록 객관적인 평가 도구와 자체적인 루브릭을 통해 진행함으로써 학업성취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이는 한국 대학에서 이뤄지는 학습자의자기보고식 핵심역량 진단과 차별된다. 이러한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장점에도불구하고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은 첫째, 개개인을 기능으로 환원하고 둘째, 핵심역량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성과 측정을 위해 핵심역량에 대해 분절적으로 접근하게 만들며마지막으로, 사회의 수요를 창출하는 인재가 아니라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진정한 교육의 혁신은 탑다운 식의 정부 주도 혁신이 아닌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혁신을 통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하여 주변 세계와 소통하며자기 구성 능력을 획득할 때에 교육의 혁신은 비로소 시작된다.

      • KCI등재

        산업수학 역량을 고려한 직업기초능력 평가도구 축소본 개발: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김성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을 디지털 시대의 기술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수학 역량을 고려한 NCS의 직업기초능력 평가도구 축소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반응이론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협의회에서 선정한 1차 예비문항들은 산업수학 역량을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차 예비문항들로 구성된 산업수학 역량을 고려한 직업기초능력 평가도구 축소본은 기술능력, 문제해결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개발능력, 직업윤리의 6개 영역과 각 영역 내 5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문항반응이론 분석 결과, 문항 변별도는 높고, 문항 난이도는 대체로 쉬운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정보함수를 통해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의 산업수학 역량을 추정할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직업윤리 영역에서 2문항을 교체하여 30문항으로 직업기초능력 평가도구 축소본을 확정하였다. 넷째, Cronbach’s α및 공인타당도 분석을 통해 직업기초능력 평가도구 축소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이 미래 직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업수학 역량을 고려한 직업기초능력 평가도구 축소본의 활용방안에 대해 개인 차원과 학교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assessment tool for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hich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to foste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s technological talents and protagonists of the digital age, considering industrial mathematical competencies. Data were collec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 expert committee confirmed the content validity, and investigations into exploratory factors, item response theory,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arried out.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reliminary items selected by the expert committee was found to accurately represent industrial mathematics competency. Seco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hort form of the assessment tool for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comprised of 30-second preliminary items, included six domains: technical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mathematic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evelopment competency, and occupational ethics, with five items in each domain. Third, the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showed that item discrimination was high and item difficulty was generally easy. Through the test information function, the test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competencies of students at various levels, and two items in the occupational ethics domain were ultimately replaced with the final short form of the assessment tool. Fourt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of the assessment tool for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were secured using Cronbach's α and criterion validity analyse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utilization plans of the short form of the assessment tool for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considering industrial mathematical competencies were discussed at both the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uture car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